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중·고생 생글기자 뽑습니다…지금 도전하세요" 등

    고교생 60명·중학생 40명…5월 한달간 접수, 테샛 응시자 우대 안녕하세요 후배 여러분! 저는 서울 광남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경영학과에 입학한 정재희라고 합니다. 생글생글 지면으로 여러분을 만나뵙게 돼 매우 반갑습니다. 제가 후배님들을 찾은 이유는 한국경제신문이 선발하는 '생글생글 학생기자'에 꼭 도전해보라고 권해드리기 위해서입니다. 저는 제6기 생글생글 기자 출신입니다. 고교 2학년 때 학생기자가 된 저는 생글 활동을 통해 많이 성장했습...

  • 진학 길잡이 기타

    수시 총 2675명, 전체인원의 70% 선발

    정시 우선선발 인문계는 수능 언수외, 자연계는 수탐만 반영 성균관대는 4월17일 입학처 홈페이지를 통해 2013학년도 대학입학전형계획을 발표했다. 수시모집은 입학사정관전형, 특기자전형, 글로벌전형, 논술중심의 일반전형 등 크게 네 가지 전형으로 신입생을 선발하고 정시모집은 지난해와 동일하게 수능 중심의 선발방식을 유지했다. 수시와 정시 선발인원 비율은 각각 70%, 30%로 확정했으며 모집시기별 선발인원은 수시1차 1483명, 수시2차 119...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153>

    파레토, 지니, 로렌츠 [2009 서강대학교 수시 자연계 논술고사 문제 中]

  • 진학 길잡이 기타

    (6) 윤완구 한양대 미래자동차공학과 2학년

    "공모전에 도전해 자신감과 경험 키워라" 윤완구 군(20·사진)은 2011학년도 입시에서 한양우수과학인 전형으로 자신이 꿈꾸던 미래자동차공학과에 입학했다. 윤군은 기술발달의 속도가 가장 빠른 산업 중 하나인 자동차 분야에서 승부를 내보겠다는 당찬 포부를 밝혔다. #스펙은 한 분야에서 다양하게 “학생들이 흔히 걱정하는 '스펙'은 한 분야에서 다양한 것이 좋아요. 여러 분야에서 중구난방으로 하는 것보다 하나의 분야에서 깊이를 달리하는 활동이 ...

  • 경제·금융 상식 퀴즈

    4월 30일자

    1. 유럽 재정위기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최근 주요 20개국(G20)이 이 국제금융기관에 긴급 구제금융 재원을 확충하기로 합의했다. 한국은 구체적 지원금액을 밝힌 국가 중 세 번째로 많은 150억달러를 지원한다. 어디일까? ①세계은행 ②국제통화기금 ③유럽중앙은행 ④세계무역기구 2. 특정 상품군에 특화해 대부분의 브랜드와 상품을 갖춘 매장을 말한다. 전자제품의 하이마트, 신발의 ABC마트처럼 다양한 제품을 한곳에서 비교하며 살 수 있어 해당 ...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218)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www.sgsgi.com)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217회 스도쿠여행 정답: ⓐ-6 ⓑ-8 ⓒ-4 ⓓ-3 ⓔ-4 ⓕ-2 ⓖ-6 ⓗ-3 ⓘ-5 ★ 216회 당첨자: 한진주 임수진 이은영 설다은 최혜인

  • 학습 길잡이 기타

    (51) 나는 창가에 밝게 뜬 달

    옛글자 현재글자 이어공부하기 고사성어 - 명약관화(明若觀火) : 불을 보는 것 같이 밝게 보인다는 뜻으로, 더 말할 나위 없이 명백(明白)함 - 월명성희(月明星稀) : 달이 밝으면 별빛은 희미해진다는 뜻으로, 한 영웅이 나타나면 다른 군웅(群雄)의 존재가 희미해짐을 비유함. 이어공부하기 한자어 - 천명(闡明): 진리나 사실, 입장 따위를 드러내어 밝힘. * 闡(천): 열다 - 성명(聲明): 어떤 일에 대한 자기의 입장이나 견...

  • 경제 기타

    위험수위 넘어선 가계 빚…경제위기 몰고 올 수도

    디레버리징과 이자상환비율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수준이 임계치를 넘어섰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2일 '부채경제학과 한국의 가계 및 정부부채'라는 보고서를 통해 가계의 이자상환비율 이 작년 4분기 2.83%까지 높아졌다고 발표했다. -4월23일 한국경제신문 ☞21세기 들어 미국발 금융위기가 발생하기 전인 2008년 여름까지가 레버리징(leveraging)의 시대였다면 2008년 가을 이후는 디레버리징(deleveraging)의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