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28) 재정능력 함정과 갑오개혁

    조선왕조는 500년을 유지한 발군의 내구성을 지닌 국가였지만, 개항의 충격에 대응하기에는 국가역량(state capacity)이 부족한 ‘약한 국가’(weak state)였다. 국방과 치안을 비롯한 공공재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였으며, 시장경제에 필요한 제도를 갖추고 공업화를 위한 산업정책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하였다. 무엇보다 국가역량의 기본이 되는 ‘재정능력’(fiscal capacity)...

  • 학습 길잡이 기타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 - 사실은 인도에서 만들어진 '아라비아 숫자' 일상에서 아주 편하게 사용하고 있는 숫자 1, 2, 3, 4, 5, 6, 7, 8, 9, 0을 아라비아 숫자라고 부른다. 이름만 들어서는 이 숫자가 애초에 아랍에서 만들어졌고 현재에도 아랍에서 주로 사용되는 숫자라는 느낌을 받게 된다. 하지만 이 숫자는 이름과 달리 인도에서 만들어졌으며 아라비아 사람들은 다만 이 문자를 유럽에 전파하는 역할을...

  • 경제 기타

    '초이노믹스'는 과연 꺾인 경기를 살릴까 등

    '초이노믹스'는 과연 꺾인 경기를 살릴까 박근혜 정부 내각 2기 출범에 맞춰 최경환 새누리당 의원이 경제부총리에 임명됐다. 세월호 참사로 내수가 급랭하고 급기야 성장률 저하까지 나타나 우리나라는 이른바 ‘소프트패치(경기가 회복되는 국면에서 본격적인 후퇴는 아니지만 일시적인 어려움을 겪는 현상)’를 겪었다. 이에 따라서 최 부총리는 취임 후 줄곧 강도 높은 경기부양책을 시행할 것이라고 밝혀왔다. 하반기 경기...

  • 경제 기타

    영어 절대평가는 과도한 사교육을 막는다 등

    영어 절대평가는 과도한 사교육을 막는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에서 절대평가제도가 도입될 예정이다. 절대평가는 일정 점수 이상이면 같은 등급을 주는 방식이다. 한 문제 차이로 등급이 갈리는 현행 평가 방식과 다른 것이다. 현재 중학교 3학년이 수능을 치는 일정에 맞추는 모양이다. 절대평가제의 도입은 비정상적인 사교육비의 절감, 영어교육의 정상화라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학부모의 사교육은 경제력이 바탕이 되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수능 ...

  • 경제 기타

    ELS지수펀드까지…저금리시대 각광받는 ELS

    ◆ ELS지수펀드 자산운용업계가 ELS에 투자하는 펀드를 잇따라 내놓고 있다. 1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ELS 발행 규모는 2010년 25조원에서 지난해 말 45조7000억원으로 급증했다. 올 들어 8월 말까지 발행액은 39조4000억원으로 지난해 발행액을 앞지를 것으로 전망된다. - 9월12일 한국경제신문 ☞ ELS가 투자자들 사이에 인기를 모으면서 최근 ELS지수펀드란 상품도 새로 선보였다. ELS가 뭐길래 이렇게 각광받고 있는 ...

  • 스도쿠 여행

    (324) 스도쿠 여행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 sgsg.hankyung.com )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323회 스도쿠여행 정답: ⓐ-3 ⓑ-4 ⓒ-9 ⓓ-6 ⓔ-5 ⓕ-6 ⓖ-2 ⓗ-5 ⓘ-3 ★ 322회 당첨자: 심수미 함정빈 윤소현

  • 경제·금융 상식 퀴즈

    9월29일자

    1. 투자 목적으로 모았지만 실제 투자 집행이 이뤄지지 않은 자금을 뜻한다. 총포류 발명 초창기 전쟁 준비를 위해 마른 화약을 비축했던 것이 현대 금융시장으로 쓰임이 확대된 이 말은? (1) 드라이 파우더 (2) 핫 머니 (3) 콜드 터키 (4) 버블 세븐 2. 새로 부임한 최고경영자(CEO)가 전임 CEO 재임 기간에 쌓인 손실이나 향후 잠재적 부실 요소를 회계장부에 한꺼번에 반영해 털어버리는 것을 뜻하는 용어는? (1) 어닝 쇼크 (2...

  • 학습 길잡이 기타

    (57) 음식을 먹고 마시지 않는 사람이 없지만 맛을 진정으로 아는 이는 드물다 - 중용

    『중용』에 실린 글로 “도가 행해지지 못하는 이유를 내가 알았으니, 지혜로운 자는 지나치고 어리석은 자는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중략) 사람들이 음식을 먹고 마시지 않는 사람이 없건만 맛을 아는 이는 적다”의 일부예요. 음식에 대해 잘 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음식 맛을 분석하느라 정작 식사에 집중하지 못해요. 또 음식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은 조미료가 잔뜩 들어간 음식을 맛있다고 엄지를 세워보이지요. 그렇다면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