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테샛 공부합시다
"신문과 친해지면 경제지력도 쑥쑥" 한경 NIE 경진대회에 도전하세요
한국경제신문이 신문을 활용한 경제교육 활성화를 위해 개최하는 ‘한경 생글 NIE 경진대회’ 출품작 접수 마감이 이달 말로 다가왔다. 한국언론진흥재단 후원으로 열리는 이번 대회는 초·중·고·대학생들이 신문과 친숙해져 올바른 경제지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것으로 △경제신문·시사경제 스크랩 △경제신문 만들기 △NIE 경제과목 우수 지도안 등 3개 분야로 나눠 진행된다....
-
경제 기타
"밖에서 싸게 살 수 있는 물건은 집에서 만들지 말라" - 무역이 필요한 이유
나무로 자동차를 만들 수 있을까요? 과학이 훨씬 더 발달하게 될 먼 미래에는 모르겠지만 현재 과학으로는 말도 안되는 소리입니다. 그런데 경제학자들은 이것이 가능하다고 말합니다. 경제에서는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요? ‘폐쇄경제’ 국내 생산품으로 자급자족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와 무역을 하지 않고 있다면 지금 우리 앞에 놓여있는 밥상이 어떻게 달라질지 생각해 볼까요? 우리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농수산물만 먹고 살아야 하므로 밀...
-
경제 기타
(27) 새로운 영리기회의 출현과 회사 설립
개항은 분명히 심각한 위기였다. 값싼 면제품의 수입으로 재래 면업이 타격을 입었고, 쌀 수출로 쌀값이 올라 쌀을 사 먹던 사람들은 생계가 어려워졌다. 국가에 공물을 납부하던 공인들도 물가 상승으로 손해를 보았으며, 외국 상인들이 서울에서 활동하기 시작하자 시전상인의 특권이 위태로워졌다(26회 참조). 그렇지만 개항기를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에 의해 경제가 악화되기만 하였던 시기라고 이해한다면 너무 일면적이다. 개항은 경제적 선택에 결정적인 영향...
-
경제 기타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등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경기도 학교의 9시 등교는 의정부여중 3학년 학생들이 ‘지방선거 수업’에서 9시 등교를 놓고 토론한 내용을 경기교육청 홈페이지에 정책 제안을 했고, 이재정 경기교육감이 이를 전격 수용하면서 비롯됐다. 경기교육청은 지난 1일부터 경기도 내 2250개 초·중·고교 가운데 85.9% 수준인 1932개교가 9시 등교를 시행했다고 발표했다. 초등학교 1195곳 가운데 110...
-
학습 길잡이 기타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 - 신비로운 '하노이 탑의 전설' 조계성 선생님은 현재 하나고 에 근무하신다. 명덕외고, 대성학원에서도 수학을 가르쳤다. 전국연합모의고사 출제위원도 맡고 있다. 서울대에서 수학교육을 전공했으며 연세대에서 수학교육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개념+유형 시리즈’ 등 다수가 있다. 1883년 프랑스 수학자 루카스(E. Lucas)가 제시한 ‘하노이 탑 ...
-
경제 기타
22년 전통의 입양아 방문 행사 '경주고 짱!' 등
22년 전통의 입양아 방문 행사 '경주고 짱!' 최근 경주 고교에서 입양아 방문 행사가 있었다. 지난 6월과 7월이었다. 경주고교 2학년 학생들이 행사를 준비하느라 고생을 많이 했다. 교실을 풍선으로 꾸몄다. 칠판에 정성껏 ‘웰컴(welcome)!’이라고 적었다. 경주고교는 이 행사를 1993년부터 시작했다. 올해 22년째. 전통있는 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CHFS라는 미국 입양단체가 미국으로 입양된 ...
-
경제 기타
영어 절대평가제 도입 아직 이르다
교육부는 최근 수능영어를 절대평가로 바꾸겠다고 발표했다. 현재의 중학교 3학년이 치를 수능부터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절대평가는 1, 2점 차이로 등급을 나누는 상대평가와 달리 90점 이상이면 모두 1등급을 주는 형태의 평가방식을 말한다. 절대평가에 반대하는 기사 2건이 들어와 싣는다. 변별력 사라져 입시 더 혼란 2013년 통계청은 교과별 사교육비 자료를 냈다. 사교육비는 국어 1조2638억원, 영어 6조3318억원, 수학 5조7762억원에...
-
경제 기타
뜨거운 감자 '사내유보금 과세'
◆사내유보금 과세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지난 16일 정부의 기업 사내유보금 과세 방침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히고, 규제완화나 규제철폐 등을 통해 기업을 도와줌으로써 투자를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나성린 의원이 주도하는 ‘국가재정연구포럼’의 주최로 열린 ‘기업 사내유보금 과세의 바람직한 방향’ 토론회에 참석해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 9월17일 한국경제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