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략) 사람들이 음식을 먹고 마시지 않는 사람이 없건만 맛을 아는 이는 적다”의 일부예요.
음식에 대해 잘 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음식 맛을 분석하느라 정작 식사에 집중하지 못해요.
또 음식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은 조미료가 잔뜩 들어간 음식을 맛있다고 엄지를 세워보이지요.
그렇다면 이 둘 사이가 적당한 건가요?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상황에 따라 넘쳐야 할 때도 필요하고, 부족해야 할 때도 생기니까요.
살면서 수시로 바뀌는 적절한 지점을 매번 잘 찾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랍니다.
▶ 한마디 속 한자 - 味(미) : 맛, 맛보다
▷음미(吟味) 1. 시가를 읊조리며 그 맛을 감상함.
2. 어떤 사물 또는 개념의 속 내용을 새겨서 느끼거나 생각함.
▷흥미진진(興味津津): 넘쳐흐를 정도로 흥미가 매우 많음.
허시봉 < 송내고 교사 hmhyuk@hanmail.net >
![[재미있는 수학] '장미 그림'으로 시각화…통계로 세상 구한 나이팅게일](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524.3.jpg)
![[재미있는 수학] 숫자 대할 때 1이 자주 나타나는 이유는 뭘까요?](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705.3.jpg)
![[재미있는 수학] 2차 관계식은 도형의 완벽함 그려내는 마법 주문](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199308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