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학습 길잡이 기타
기구한 세상길 내가 좋아하는 것을 쫓아야지. - 정약용
다산 정약용이 쓴 ‘오연범주(烏淵汎舟)’에 실려 있는 시구로, ‘가람산 구름 빛이 몇 봉우리에 걸려 있고, 길고 긴 밤 여울소리 객의 잠을 깨는구나. 협곡의 호랑이를 막으려 성문은 일찍 닫혔고, 민물 생선을 기다리느라 시골아낙은 저녁상을 늦게 차린다. 기구한 세상길 내가 좋아하는 것을 쫓아야지. 순진한 늙은 농부 그가 바로 현자(賢者)일세.’의 일부예요. 인생은 물질인 육체와 비물질인 영혼이 함께 가...
-
경제 기타
[정책의 맥] 성숙한 한미동맹, 동북아 평화로 승화시킬 것
‘외교의 계절’이라고 불리는 올가을, 한·중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창설 70주년 유엔총회를 계기로 한 글로벌 외교에 이어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동북아, 글로벌 외교가 종합적으로 이뤄졌다. 하이라이트는 지난주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訪美)였다. 한·미 우호의 밤 행사는 강력한 한·미 동맹을 가능케 한 영웅들을 위한 무대였다. 뿌리 깊은 나무처럼 한·미 동...
-
커버스토리
"대한민국 역사교과서가 아니다"
“저도 교과서를 분석하기 전까지는 우리 국사교과서가 이 정도로 심각한 상태인지 몰랐습니다. 직접 교과서를 보지 않았으면 저도 믿지 못했을 겁니다. 한마디로 우리 아이들이 10여년 전부터 이런 교과서로 공부했다는 것이 정말 큰 충격이었습니다. 이건 대한민국의 국사교과서라고 하기에는 사관, 용어, 기술방식 등에서 북한의 역사책과 너무도 유사한 부분이 많은 교과서입니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국사학자들이 이런 상황을 어떻게 그냥 지켜보고 있었...
-
진학 길잡이 기타
SW교육 강화하는 성균관대
성균관대학교(총장 정규상)는 요즘 상승기류를 타고 있다. 최근 발표된 세계대학 순위(미국 유에스뉴스앤드월드리포트 조사)에서 성균관대는 연세대와 고려대를 제치는 기염을 토했다. 정규상 총장은 ‘건학 617주년 비전’을 통해 또 한번의 도약 청사진을 내놨다. 경기도 판교에 정보통신기술 대학원을 설립하고 전교생에게 소프트웨어 교육을 시킨다는 계획이다. 1996년 삼성이 재단을 맡으면서 나타나는 변화다. 재학생들이 ‘6...
-
경제 기타
2017학년도 대입논술 비율 확대…생글논술대회 "참가하세요"
“시험 상황에서 글을 써볼 수 있어 점검해볼 기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19회 수상자 고양외국어고 김민선 양) “논술도 얼마든지 할 수 있다는 확신과 자신감이 생겼다.”(18회 수상자 대륜고 백지훈 군) “실전처럼 주어진 시간 내에 제시문을 해석하고 답안지를 작성하면서 시간 분배에 대한 감각을 익힐 수 있었고, 첨삭 후 동봉되는 성적표에 전국 백분위 등의 수치도 나와 대학 지원전략에...
-
경제 기타
중·고교생 틴 경제 세미나
민사고(ECORUM), 대원외고(Economia),외대부고(The Economist) 경제동아리가 공동 주최하는 틴(Teen) 경제 세미나가 대원외고에서 오는 25일 열린다. 행사는 오전 9시부터 오후6시까지 진행된다. 이번 세미나는 한국경제신문이 후원하는 중고교생을 위한 경제교육행사다. 다양한 경제상식, 행동경제학, 기업경영전략에 대해 토론하고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100여명의 학생들이 참가해 경제·경영 전문가 강의 ...
-
경제 기타
앵거스 디턴 교수 "일시적 불평등 대가로 중국·인도 수십억명 빈곤 탈출"
올해 노벨경제학상은 ‘경제성장의 힘’을 집중 조명해 온 앵거스 디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에게 돌아갔다. 자본주의와 성장이 인류를 어떻게 궁핍에서 벗어나게 했는가를 역설한 ‘위대한 탈출(The Great Escape· 한국경제신문 펴냄)’의 저자로 유명하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12일 “소비와 빈곤, 그리고 복지 분석에 대한 공로를 인정해 디턴 교수를 수상자로 결정했다...
-
커버스토리
대한민국 건국 부정…한반도 유일 합법정부 왜곡…
학생들이 배우는 역사교과서는 어떻게 쓰여 있을까. 무엇이, 어떻게 기술돼 있길래 국정교과서로 가자는 이야기까지 나오는 것일까. 학생들은 가르치는 대로 배우기 때문에 역사교과서의 좌편향을 쉽게 알기 어렵다. 좌편향이 왜 나쁠까? 그것은 성공한 역사인 대한민국을 실패한 역사로 보고, 실패한 역사인 북한의 민중·계급사관을 학생들에게 주입하기 때문이다. 하나 하나 짚어보자. ① 대한민국 건국 표기 없다 1948년 8월15일 대한민국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