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생글생글
-
생글로 준비하는 대입 논술
778호 생글생글은 12월 초까지 이어지는 2023학년도 수시 논술고사에 수험생들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커버스토리로 다뤘다. 4면은 논술고사에 출제될 가능성이 있는 주제를 선별해 실었다. 5면은 논술고사에 응할 때 수험생들이 주의하고 집중해야 할 대응 전략을 일곱 가지로 분석해 제시했다. 상경계 진학을 원하는 학생이라면 생글 커버스토리 1년치를 홈페이지에서 찾아 읽어볼 것을 권했다. ‘숫자로 읽는 세상’은 ‘세계인구 80억 명 돌파…15년 후 90억 명’ 소식을 전했다. ‘대입 전략’은 2023학년도 정시 지원 전략을 분석했다.
-
한국도 핵을 가져야 하나
777호 생글생글은 ‘북한이 핵무기를 가졌다면 우리도 핵무장해야 할까’라는 주제를 커버 스토리로 다뤘다. 북한은 핵무장을 완성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한국에서는 핵무장 여부를 놓고 여러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생글은 북한과 대화해 핵무기를 없애자는 주장, 우리도 핵무장하자는 주장, 미국의 핵무기 체제에 머무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핵우산’ 주장 등을 소개했다. 시사 이슈 찬반 토론은 이태원 사고를 계기로 ‘국가 무한 책임론’을 짚었다. 대입 전략은 정시와 수시 논술시험 사이에서 고민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
시진핑 3연임과 중국의 미래
775호 생글생글 커버스토리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3연임’ 의미와 정치·경제적 파장을 분석했다. 10년(5년+5년) 연임 제한을 깨고 3연임한 것은 중국 공산당 일당 독재에 시진핑 1인 독재를 더한 것이어서 ‘자유와 민주’라는 현대문명 조류에 역행한다는 점을 짚었다. 또 시진핑이 내건 국가 주도와 공동부유론이 중국 경제 발전에 독이 될지, 약이 될지도 생각해 봤다. 대학생이 쓰는 ‘생글이 통신’은 수능을 앞두고 수험생들이 유념해야 할 것을 정리했다. 권도연 한양대생과 박인서 서울대생이 필자로 나섰다.
-
카카오, 안녕하신가요?
774호 생글생글은 최근 네트워크 불통 사고를 낸 ‘카카오의 생태계’를 다뤘다.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한 불이 어떻게 생태계에 타격을 가했는지와 그 후유증을 분석했다. ‘수능에 나오는 경제·금융’은 대출금리를 결정하는 방식을 쉽게 설명했다. ‘경제학원론 산책’은 생산비용과 비용함수가 이윤 극대화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