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수능 D-16…올해도 불수능?

    제869호 생글생글은 커버스토리에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 방향과 난도를 전망해 봤다. 수능이 2주 앞으로 다가왔다. 올해 수능은 ‘역대급 불수능’으로 불린 2024학년도 수능 못지않게 어렵게 출제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의대 모집 정원이 확대돼 상위권 재수생이 증가하면서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서라는 것이 이 같은 전망의 근거다. 수능 막바지 준비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 국어 영역에 출제될 가능성이 있는 경제·경영 지문은 어떻게 대비하면 될지 살펴봤다.

  • 알고보면 '공짜' 아닌 무료배달

    제867호 생글생글은 정부의 시장 개입과 가격 왜곡을 커버스토리 주제로 다뤘다. 최근 외식 업체와 음식점들이 매장 가격과 배달 가격에 차이를 두는 ‘이중 가격제’를 적용해 논란이 일고 있다. 그동안 배달 플랫폼의 ‘무료 배달’에 숨어 있던 비용이 소비자에게 전가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 같은 가격 왜곡은 공공요금에서도 나타난다. 정부가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전기요금, 수도요금 등 각종 공공요금 인상을 막고 있지만, 이는 공기업의 막대한 적자로 돌아오고 있다. 포퓰리즘이 부른 가격 통제의 이면을 들여다봤다.

  • 전 세계에 부는 원전 르네상스

    제865호 생글생글은 원전 르네상스를 커버스토리에서 다뤘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거세게 불던 탈원전 바람이 잦아들고, 원자력의 가치에 다시 주목하는 원전 르네상스가 열리고 있다.스웨덴 이탈리아 스위스 등 탈원전을 선언한 나라들도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다시 추진하고 있다. 세계적 원전 르네상스의 배경은 무엇이며, 한국 원전은 어떤 경쟁력을 지니고 있는지 살펴봤다. 대입 전략에선 2025학년도 수능 접수자 통계를 바탕으로 정시 경쟁률 등 대입 판도를 점쳐봤다.

  • 치명적인 바이러스의 진화

    제861호 생글생글은 치명적인 바이러스의 진화를 커버스토리 주제로 다뤘다. 최근 코로나19 감염자가 다시 급증하고 원숭이두창으로 알려진 엠폭스(MPOX) 바이러스 환자가 늘어나는 등 감염병이 확산하고 있다. 감염병이 일상화한 시대라는 진단도 나온다. 감염병 일상화 시대의 사회·경제적 의미를 살펴봤다. 시사이슈 찬반토론에선 올림픽 메달리스트에게 주어지는 병역과 연금 혜택이 적절한지 따져봤다. 대입 전략에선 수험생 2016명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2025학년도 수시 지원 성향을 분석했다.

  • 한국 경제 60년 성장사

    제859호 생글생글은 ‘한국 경제 60년의 기적’을 커버스토리 주제로 다뤘다. 지금으로부터 60년 전인 1964년 한국 수출은 1억달러에 불과했다. 이후 60년간 한국 경제 발전사는 한 편의 드라마와 같았다. 한국 경제의 기적과 같은 성장을 가능하게 한 원동력은 무엇이었는지 살펴봤다. 한국경제신문이 창간 60주년을 맞아 지난 1일부터 진행 중인 ‘희망과 기적의 순간들’ 버스 사진전도 소개했다. 대입 전략에선 2025학년도 수시전형 선발 규모와 지역별·계열별 예상 합격선을 분석했다.

  • 인구 위기, 어떻게 대응할까?

    제857호 생글생글은 인구 위기 문제를 커버스토리 주제로 다뤘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19일 ‘인구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하는 등 저출산이 촉발한 인구 위기를 경고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노동력 부족과 지방 소멸 등 인구 감소가 몰고 올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미래 세대의 관점에서 살펴봤다. 시사 이슈 찬반 토론에선 정부의 전기·가스요금 인상 억제에 대한 찬반 의견을 정리했다. 대입 전략에선 6월 모의평가를 바탕으로 전국 의과대학과 서울권 대학 예상 합격선을 분석했다.

  • 중앙은행 무용론 왜 나오나

    제856호 생글생글 커버스토리 주제는 ‘중앙은행 무용론’이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금리 인하와 관련해 오락가락하는 행보를 보여 혼란을 주고 있다. Fed가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혼란만 초래하면서 중앙은행 무용론까지 나오고 있다. 중앙은행의 역할은 무엇이며 중앙은행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할 때 경제에 어떤 악영향을 미치는지 정리했다. 시사 이슈 찬반 토론에선 서울 광화문광장 국기 게양대 설치에 대한 찬반 주장을 살펴봤다. 대입 전략 코너에선 6월 모의고사를 분석했다.

  • 디지털 단두대와 캔슬 컬처

    제853호 생글생글은 ‘디지털 단두대와 캔슬 컬처’를 커버스토리 주제로 다뤘다. 소셜미디어에서 자기 의견에 반대되는 사람의 계정을 차단하거나 팔로우를 취소하는 ‘디지털 단두대’와 ‘캔슬 컬처’가 확산하고 있다. 이런 움직임이 토론을 위축시키고 표현의 자유를 가로막을 위험은 없는지 살펴봤다. 대입 전략에선 6월 모의평가 이후 대응 전략을 정리했다. 올해 6월 모평은 예년보다 까다롭게 출제된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영역별 등급 커트라인이 어떻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는지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