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千載一遇(천재일우)

    ▶ 한자풀이千 : 일천 천載 : 해 재, 실을 재一 : 한 일遇 : 만날 우천 년에 한 번 만난다는 뜻으로좀처럼 얻기 어려운 기회를 의미 -《삼국명신서찬》중국 동진시대에 원굉(袁)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글재주가 뛰어났지만 집안이 어려워 배에서 짐꾼으로 일하던 어느 가을밤, 강에 나가 시 한 수를 읊었다. 마침 사상이라는 귀족이 배를 띄우고 달구경을 하다 그 시를 듣고 원굉을 찾았다. 이 인연으로 원굉은 동양군 태수가 되었다. 그가 쓴 《삼국명신서찬(三國名臣序贊)》은 삼국지에 나오는 20명의 건국 명신에 대한 행장기(行狀記: 일생의 행적을 적은 기록)다. 위나라 9명, 촉나라 4명, 오나라 7명을 담고 있는데 제갈량·방통 등 잘 알려진 인물도 있지만 낯선 인물도 많다. 명신을 예찬하는 내용 중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만 년에 한 번 있는 기회는 이 세상의 공통된 법칙이며, 천 년에 한 번 오는 만남은 현군과 명신의 진귀한 해후다(夫萬歲一期, 有生之通途, 千載一遇, 賢智之嘉會).”원굉은 이어서 “이 같은 기회를 누구나 기뻐하지 않고는 못 견디니, 기회를 잃으면 어찌 개탄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라고 하면서 현명한 군주와 뛰어난 신하의 만남이 그만큼 이뤄지기 어려운 것임을 강조했다. 그는 또 “말을 알아보는 사람을 만나지 못하면 천 년이 지나도 천리마는 한 마리도 나오지 못한다”고 했다.《삼국명신서찬》에서 유래된 천재일우(千載一遇)는 좀처럼 만나기 힘든 기회를 의미하며 만세일기(萬歲一期), 천재일시(千載一時), 천재일회(千載一會), 천세일시(千歲一時)라고도 한다. 사공견관(司空見慣)은 반대로 자주 보아 신기하게 여기지 않는다는 뜻이다. 여기서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千里眼 중국 위나라 광주 관청 앞이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관원이 놀라 물었다. “대체 무슨 일로 이리 소란이오?”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답했다. “오늘 관청 창고를 열고 저장된 곡식을 나눠준다고 들었소. 연속된 흉년으로 가족들이 모두 굶어죽을 지경이오.” 관원이 말도 안 된다며 손사래를 쳤다. “관청의 창고를 연다고? 누가 그런 황당한 소리를 했소?” 그때 뒤에서 점잖은 목소리가 들려왔다. “내가 그랬네.” 얼마 전 광주 지사로 부임한 양일(楊逸)이었다. 양일이 관리들에게 명했다. “관청의 창고를 열어 식량을 나줘주게.” 관리들이 멈칫했다. “나리의 명이라도 나라의 창고는 함부로 열 수 없습니다. 조정에 보고부터 해야 합니다.” “백성이 저리 죽어가고 있는데 절차가 뭐 그리 중요한가. 어서 창고를 열게.” 창고가 열리고 줄지어 기다리던 사람들이 식량을 받아갔다. 이런 소문은 조정에까지 알려졌다. 조정 대신들은 절차를 무시한 양일에게 죄를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왕의 생각은 달랐다. “백성을 먼저 생각한 처신이 기특하구나. 광주의 관리들을 불러 요즘은 백성의 생활이 어떤지 알아보도록 하라.” 왕의 명에 따라 광주의 관리들이 불려왔지만 이상하게도 하나같이 도시락을 싸 들고 와 조사를 받았다. 조사를 마친 뒤 음식이라도 대접하려 하면 거듭 사양하고 서둘러 광주로 돌아갔다. “큰일 날 소립니다. 그런 일을 양사군께서 아시면 혼쭐이 납니다.” “여기서 광주가 얼마나 먼데 그걸 어찌 알겠는가.” “양사군께서는 천리 앞을 내다보는 능력이 있으신데, 어찌 이를 속일 수 있겠습니까(楊使君有千里眼 那可欺之).” 남북조시대 북제의 위수가 편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盡人事待天命(진인사대천명)

    ▶ 한자풀이盡 : 다할 진人 : 사람 인事 : 일 사待 : 기다릴 대天 : 하늘 천命 : 목숨 명자신의 할 일에 최선을 다하고하늘의 명(命)을 기다린다는 뜻 《삼국지연의》《삼국지연의》는 명나라 때 나관중이 지은 장편 소설이다. 중국의 4대 기서 중 하나로 위·촉·오의 3국 정립을 거쳐 진(晉)나라 성립까지의 역사를 소설화했다. 진나라 진수가 편찬한 정사인 《삼국지》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위의 정통 왕조설을 일축하고, 촉나라를 후한의 정통을 잇는 나라로 내세우고 있다. 내용도 유비 관우 장비의 도원결의로 시작해 촉나라를 중심으로 서술되고 있으며, 여러 영웅 호걸의 활약상과 극적 장면의 연속으로 중국 역사 소설의 백미로 평가받는다.위나라와 초나라·오나라 연합군이 맞붙은 적벽대전에서 제갈량은 관우에게 화용도에서 기다리다 도주해 오는 조조를 죽이라고 했다. 하지만 관우는 옛정을 생각해 조조를 놓아주었고, 제갈량은 군령을 어긴 죄로 관우를 참하려 했다. 유비가 죄는 중해도 피로 결의한 형제를 죽일 수 없으니 살려 달라 간청했다. 이에 제갈량이 “제가 사람으로서 할 수 있는 방법을 모두 쓴다 해도 목숨은 하늘의 뜻에 달려 있으니 하늘의 명을 기다릴 뿐입니다(盡人事待天命)”라고 했다.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은 큰일을 앞두고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을 다 한 후에(盡人事) 하늘에 결과를 맡기고 기다린다(待天命)는 말로 좌우명으로도 많이 쓰인다.청나라 소설가 이여진이 쓴 《경화록》에는 진인사청천명(盡人事聽天命)이란 구절이 있는데 이 또한 의미가 같다.《삼국지》 《삼국지연의》는 고사성어의 보고다. 측근을 벌해 규율을 세운다는 읍참마속(泣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無爲而化(무위이화)

    ▶ 한자풀이無 : 없을 무爲 : 할 위而 : 어조사 이化 : 될 화아무것도 하지 않음으로써 교화함꾸밈이 없어야 백성들이 따른다는 의미 -《노자》무위(無爲)는 도가(道家) 사상의 핵심이다. 무위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뜻이 아니라 자연의 이치를 거스르는 일을 인위적으로 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도가를 설명하면서 자주 언급되는 무위자연(無爲自然)은 바로 이를 뜻한다. 도가는 인위적으로 선을 긋지 말라 한다. 선을 그으면 피아가 구별되고 선과 악, 높고 낮음, 밝고 어둠이 갈라지면서 세상을 이분법으로 보게 된다는 것이다. 상선약수(上善若水)는 지극히 착한 것은 마치 물과 같다는 뜻으로 노자 사상에서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면서도 다투지 아니하는, 이 세상에서 으뜸가는 선의 표본으로 여기어 이르던 말이다.《노자(老子)》 제57장 순풍(淳風)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나라는 바른 도리로 다스리고, 용병은 기발한 전술로 해야 하지만, 천하를 다스림에 있어서는 무위로 해야 한다.(중략) 그러므로 성인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내가 아무것도 하지 않으니 백성들이 스스로 감화되고(我無爲 而民自化), 내가 고요하니 백성들이 스스로 바르게 되며(我好靜 而民自正), 내가 일을 만들지 않으니 백성들이 스스로 부유해지고(我無事 而民自富), 내가 욕심을 부리지 않으니 백성들이 스스로 소박해진다(我無欲 而民自樸).’”노자는 문화를 인류의 욕심이 낳은 산물로 본다. 문화가 인류의 생활을 편하게는 하였지만 인간의 본심 또한 잃게 만들었으니 학문과 지식을 버리라고까지 한다. 현대인의 시각과는 어긋나지만 함의는 깊다. 무위이화는 무위이민자화(無爲而民自化)를 줄인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墨翟之守(묵적지수)

    ▶ 한자풀이墨 : 먹 묵翟 : 꿩 적之 : 갈 지守 : 지킬 수자신의 주의·주장·소신 등을융통성 없이 고집함을 비유 - <묵자>묵자(墨子)는 중국 전국시대 송나라 사람이다. 그는 생명이 있는 것을 두루 사랑하고 검소질박함을 숭상하는 묵가(墨家)의 시조다. 묵적(墨翟)은 묵자의 본이름이다.초나라가 성벽을 타넘을 수 있는 특수 사다리(운제계)를 개발하고 송나라를 치려 한다는 소식을 듣고 묵자가 급히 초나라로 갔다. 묵자는 먼저 초나라 실력자인 공수반을 만나 시치미를 떼고 말했다. “북쪽에 사는 어떤 자가 이 사람을 매우 모욕했습니다. 저는 힘이 없으니 상공께서 저를 대신해 그를 죽여주시지요.” 공수반은 불쾌한 듯 답했다. “나는 의(義)를 중히 여기는 사람이오. 남의 사사로운 원한에 개입해 살인할 사람으로 보지 마시오.” 이때다 싶어 묵자가 대꾸했다. “상공께서는 그토록 의를 중히 여기시면서 어찌하여 구름에 닿을 만큼 높은 사다리까지 만들어 아무 죄 없는 송나라 백성들을 죽이려 하시는지요?”대답이 궁해진 공수반은 묵자가 왕을 알현하도록 주선하고 한 발짝 물러났다. 묵자는 초왕을 설득하기 시작했다. “전하의 나라는 사방 5000리나 되고 송나라는 겨우 500리에 불과한데, 이처럼 명백한 우열에도 초나라가 송나라를 침공하는 것은 도적의 심보와 다를 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변명이 궁색해진 왕이 우물쭈물했다. “과인은 공수반이 운제계를 개발해 실험해 볼까 했을 뿐이오.” “외람된 말이오나, 그 운제계가 실은 별로 쓸모 없는 물건인 줄 압니다.” 그 말에 발끈한 공수반이 왕 앞에서 모의전을 벌여 그 결과를 가지고 전쟁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彌縫策(미봉책)

    ▶ 한자풀이彌 : 두루 미縫 : 꿰맬 봉策 : 꾀 책터진 곳을 임시로 깁는다는 뜻으로잘못된 것을 임시변통으로 처리함-《춘추좌씨전》춘추시대 주나라 환왕(桓王) 13년(BC 707) 때의 일이다. 환왕은 제후국들의 패권 싸움으로 명목상의 천자국으로 전락한 주나라의 위상을 다시 세우고자 정나라를 치기로 했다. 당시 정나라 장공(莊公)은 나라가 날로 강성해지자 천자인 환왕을 노골적으로 무시했다. 환왕은 침공에 앞서 장공의 위세를 꺾고자 왕실 경사(卿士)로서의 정치적 실권을 박탈했다. 장공은 이런 조치에 분개해 조현(朝見: 신하가 조정에 들어가 임금을 배알하는 일)을 중단했고, 환왕은 이를 빌미로 징벌군을 일으키고 제후들에게도 참전을 명했다.왕명을 받고 진나라 위나라 등 여러 제후국의 군사가 모이자 환왕은 자신이 총사령관이 되어 정나라 정벌에 나섰다. 천자가 직접 자기 군사를 거느리고 싸움에 나가는 자장격지(自將擊之)는 춘추시대 240여 년 동안 전무후무한 일이다. 정나라 수갈에 도착한 왕의 군대는 장공의 군사와 마주했다. 정나라 공자인 원(元)이 장공에게 진언했다. “지금 좌군에 속한 진나라 군사는 국내 정세가 불안해 전의를 잃었습니다. 하오니 먼저 진나라 군사부터 공격하십시오. 그러면 진나라 군사들이 달아날 것이고, 환황이 지휘하는 중군은 혼란에 빠질 것입니다. 그럼 채나라의 우군도 맞서지 못하고 퇴각할 것입니다. 이때를 노려 중군을 치면 승리는 우리 것입니다.”원의 진언은 적중했다. 장공은 물고기들이 떼를 짓는 것처럼 촘촘한 원형의 진을 쳤고 전차와 전차 사이의 틈은 보병으로 미봉(彌縫:두루 메움)했다. 결국 왕군은 대패하고 환왕은 어깨에 화살을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門外漢(문외한)

    ▶ 한자풀이門 : 문 문外 : 바깥 외漢 : 사내 한‘문 밖의 사람’이라는 뜻으로그 분야에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을 이름 -《오등회원》소동파는 북송 시대 최고의 시인이다. “독서가 만 권에 달해도 율(律:당대 정치가 왕안석의 율법)은 읽지 않는다”고 해 초유의 필화사건을 일으키기도 했다. 당나라 시가 서정적인 데 비해 그의 시는 철학적 요소가 짙다. 그가 동림사에 묵을 때 시 한 수를 지었다.“물소리는 모두가 부처님의 설법이고/산 빛 또한 부처님의 청정 법신이로다/밤새들은 부처님의 팔만사천 법문을/이후 사람들에게 어떻게 다 전할까”어느 날 증오 선사가 암원 선사를 찾아가 얘기를 나누다가 소동파의 이 시를 언급하며 그의 경지를 높이 평가하자 암원 선사가 말했다. “그의 설법에는 길이 없으니, 어디에 도달하려는 것인지 모르겠지 않은가.” 증오 선사가 반박했다. “그가 ‘시냇물 소리는 부처의 설법이오, 산 빛은 청정한 부처의 몸일세’라고 읊지 않았습니까. 경지에 이른 것이 아니라면 어떻게 이런 말을 할 수 있었겠습니까.” 암원 선사가 다시 말을 받았다. “문외한일 뿐이다(是門外漢耳).” 이에 증오 선사가 “그렇다면 스님, 부디 설법을 베풀어 주십시오” 하니 암원 선사는 “지금 여기 앉아 참선하며 구하다보면 네가 어디서 왔는지 알게 될 것이다”라고 했다.암원 선사의 말을 듣고 밤새 잠을 못 이루던 증오 선사는 이튿날 동틀녘에 갑자기 의구심이 풀려 “동파거사는 하고픈 말이 너무 많아/소리와 빛의 울타리 속에서 도달하려 하네/계곡물이 소리라면 산은 빛이니/산과 물이 없어야 수심 깊은 이에게 좋으리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欲速不達(욕속부달)

    ▶ 한자풀이欲 : 하고자 할 욕速 : 빠를 속不 : 아닐 부達 : 통달할 달빨리 하고자 하면 도달하지 못함급하게 하면 도리어 이루지 못함-《논어(論語)》공자의 제자 자하(子夏)가 거보라는 고을의 장관이 되자, 공자를 찾아와 정치를 물었다. 공자가 다스리는 방법을 일러주었다. “작은 이익만 보고 일을 서두르면 되레 이루지 못한다. 작은 일을 취하려 하면 결코 큰일을 이루지 못한다(見小利 欲速則不達 見小利則大事不成).”《논어》 자로편에 나오는 욕속부달(欲速不達)은 ‘일을 속히 하려고 서두르면 도리어 이루지 못함’을 이른다. 같은 대목에서 나오는 ‘잘 만들려고 너무 기교를 부리면 도리어 졸렬하게 된다’는 욕교반졸(欲巧反拙)도 뜻이 같다. ‘천천히 서둘러라’는 로마 속담도 서로 맥이 닿는다. 고대 로마 첫 황제 옥타비아누스는 정치를 하면서 이 말을 늘 마음에 새겼다고 한다.‘급하다고 바늘허리에 실 매어 쓸까’ ‘우물에 가 숭늉 찾는다’ ‘사흘 길을 하루에 가 열흘 드러눕는다’ ‘번갯불에 콩 볶아 먹는다’ 등 우리말에도 서두름을 경계한 속담이 많다.일상에서 자주 쓰는 조장(助長) 역시 조급증을 경계하는 고사성어다. 《맹자》에는 이런 얘기가 있다. 옛날 중국의 어느 마을에 성질이 급한 농부가 있었다. 늦봄이 되어 논에다 벼를 심기는 했는데, 벼이삭이 달릴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생각하니 한심한 생각이 들었다. 그러던 어느 날 논에 나가 보니 이웃집 논의 벼가 더 많이 자란 듯이 보였다. 조급한 마음에 머리를 굴렸다. 바짓가랑이를 걷어붙이고 논에 들어가 벼 포기를 하나하나 조금씩 뽑아올렸다.농부는 저녁에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