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물러설 곳 없는 막다른 상황에서 죽기를 각오하고 싸움에 임하다 - 사기 -

    ▶ 한자풀이 背 등 배水 물 수之 갈 지陣 진칠 진한나라 군사를 이끈 한신은 위나라를 격파한 여세를 몰아 조나라로 진격했고, 조나라는 20만 군대를 동원해 조로 들어오는 좁은 길목에서 방어에 나섰다. 한신은 2000여 기병을 뒷산에 매복시키고 1만여 군대는 강을 등지고 진을 치게 했다. 이른바 배수진(背水陣)을 친 것이다. 한신이 명을 내렸다. “주력 부대는 내일 싸움에서 거짓으로 도망친다. 그럼 적이 패주하는 우리 군사를 추적하려고 성을 비울 것이고, 그때 기병대는 조나라 성채를 급습해 한나라 깃발을 꽂아라. 거짓으로 패주하는 군사는 강을 등진 군사와 합류해 조 군대에 맞서라.” 한신의 계책은 적중했다. 조나라 군사들은 도망치는 한나라 군사를 서둘러 쫓았고 그 틈에 기병대는 성채에 한나라 깃발은 높이 내걸었다.전투가 끝난 뒤 부장들이 한신에게 물었다. “병법은 산을 등지고 물을 앞에 두고 싸우라 했는데, 물을 등지고 싸워 이처럼 대승을 거두다니 어찌된 일입니까.” 한신이 답했다. “병서에 이르기를 자신을 사지(死地)에 내몰아 살길을 찾을 수도 있다고 하지 않았습니까. 오합지졸 병사들을 생지(生地)에 뒀다면 그냥 흩어져 버렸을 겁니다.” ‘살기를 도모하면 죽고 죽기를 각오하면 산다(生卽死 死卽生)’는 이순신의 말을 떠올리게 되는 대목으로, 《사기》 회음후열전에 나오는 고사다.‘물을 등지고 진을 친다’는 배수지진(背水之陣)은 막다른 곳에서 죽음을 각오하고 싸운다는 뜻이다. 어떤 일에 임하는 결기를 의미한다. 인간은 때로 극단의 상황에서 더 큰 용기가 생긴다.신동열 한경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위원 shins@hankyung.com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윗사람을 농락해 권세를 멋대로 휘두르다 - 사기 -

    ▶ 한자풀이 指 가리킬 지鹿 사슴 록爲 위할 위馬 말 마조고는 중국 천하를 통일한 진시황을 섬기던 환관이다. 간신은 거짓충성을 다하다 주군이 죽으면 바로 돌아선다. 조고가 그랬다. 그는 진시황이 죽자 유서를 위조해 태자 부소를 죽이고 호해를 2세 황제로 세웠다. 어리석은 호해를 황제에 올려놓고 권력을 마음대로 휘둘렀다.승상(재상)까지 꿰찬 조고는 어느 날 중신들의 속내가 궁금했다. 그는 사슴 한 마리를 어전에 갖다 놓고 호해에게 말했다. “이것은 참으로 좋은 말입니다. 폐하를 위해 어렵게 구했습니다.” 호해는 어처구니가 없었다. “승상은 농담이 심하시오. 어찌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하시오(指鹿爲馬).” “아닙니다. 이건 분명 말입니다.”조고가 짐짓 우기자 호해가 중신들을 둘러보며 물었다. “공들의 눈에도 저게 말로 보이오?” 조고가 두려운 대다수 중신은 말이라 했고, 뜻이 굳은 일부만 사슴이라 했다. 조고는 사슴이라 한 모두를 다른 죄를 씌워 죽였다. 역사에 뒤가 맑은 간신은 거의 없다. 그는 유방의 군대가 진의 수도 함양으로 올라오자 호해를 죽이고 부소의 아들 자영을 3세 황제로 옹립했다. 자영은 호해와 달랐다. 그는 등극 즉시 조고를 주살해버렸다.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한다’는 지록위마(指鹿爲馬)는 《사기》가 출처다.스스로 높아지려고 애쓰는 자는 남들이 그를 끌어내린다. 이름을 들어 말하지 않고, 지위를 들어 말하지 않고, 인맥을 들어 말하지 않아도 남들은 안다. 그가 누구인지를. 권세는 남이 보기에 아름다워야 빛이 난다. 세상에 홀로 빛나는 건 적다. 태양이 있기에 그 빛이 고운 것이다.신동열 한경 경제교육연구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사무친 원수를 갚으려고 온갖 괴로움을 참고 견디다 - 사기 -

    ▶ 한자풀이 臥 누울 와薪 섶 신嘗 맛볼 상膽 쓸개 담춘추시대 월나라와 오나라는 앙숙이었다. 월왕 구천과 싸워 크게 패한 오왕 합려는 상처 악화로 목숨을 잃었다. 합려는 숨을 거두며 구천을 쳐 원수를 갚아달라고 태자 부차에게 유언했다. 왕에 오른 부차는 아버지의 유언을 잊지 않았다. 섶 위에서 잠을 자고(臥薪), 자기 방을 드나드는 신하들에게 부왕의 유언을 외치게 했다.월왕 구천이 이 소식을 전해듣고 부차를 먼저 치기로 했다. 참모 범려가 극구 만류했지만 듣지 않았다. 복수심에 찬 오나라 군대는 거침이 없었다. 회계산에서 대패한 구천은 목숨을 부지하고자 항복을 청하고 부차의 신하가 됐다. 오나라 중신 오자서가 간했다. “후환을 남기지 않으려면 지금 구천을 죽여야 합니다.” 부차 역시 간언을 묵살했다. 구천의 ‘거짓 몸종 행세’에 속은 부차는 구천을 월나라로 돌려보냈다. 이번엔 구천이 이를 갈았다. 옆에 놔둔 쓸개의 쓴맛을 맛보며(嘗膽) 부차에게 당한 치욕을 떠올렸다.구천은 20년간 복수의 칼을 갈아 부차를 무릎 꿇리고 회계산의 굴욕을 되갚았다. 부차는 오자서의 간언을 듣지 않은 것을 후회하며 스스로 목을 베었고, 구천은 천하를 거머쥐었다. 섶에 눕고 쓸개를 씹으며 원수를 갚기 위해 온갖 어려움을 견딘다는 와신상담(臥薪嘗膽)은 《사기》가 출처다.승패는 병가지상사(勝敗兵家之常事)라 했다. 싸움에서 이기고 지는 건 늘 있는 일이다. 설령 오늘 패한다 해도 잊지 않고 참고 견디면 기회가 온다. 어제의 실패 교훈을 잊으면 내일도 오늘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명심하자.신동열 한경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위원 shins@hankyung.com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여럿이 한목소리를 내면 거짓도 진실인 듯 보인다 - 한비자 -

    ▶ 한자풀이三   석 삼人   사람 인成   이룰 성虎   호랑이 호전국시대 위나라 대신 방총이 인질로 조나라 수도 한단에 가는 태자를 수행하게 됐다. 자신이 위나라에 없는 동안 신하들의 음해를 우려한 방총이 출발을 며칠 앞두고 혜왕에게 물었다.“전하, 지금 누가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하면 믿으시겠습니까.” “믿지 않을 것이오.” 방총이 재차 물었다. “하오면, 두 사람이 똑같이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하면 어찌하시겠습니까.” “그 또한 믿지 않을 것이요.” 방총이 다시 물었다. “만약 세 사람이 똑같이 아뢴다면 믿으시겠습니까.” “그땐 믿을 것이오.”방총이 말했다. “전하,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날 수 없음은 불을 보듯 명확한 사실입니다. 하오나 세 사람이 똑같이 아뢰면 호랑이가 나타난 것이 됩니다. 신이 가게 되는 한단은 저잣거리보다 억만 배나 먼 곳입니다. 더구나 신이 떠나면 신 뒤에서 참언하는 자가 세 사람만은 아닐 것입니다. 간절히 바라옵건대 그들의 헛된 말을 귀담아듣지 마십시오.”아니나 다를까. 방총이 떠나자 신하 여럿이 왕 앞에서 그를 헐뜯었다. 수년 뒤 태자는 볼모에서 풀려났다. 하지만 혜왕이 의심을 깊이 품은 방총은 끝내 고국땅을 밟지 못했다. 의심은 독보다 빨리 퍼지는 법이다. 《한비자》 내저설편에 나오는 얘기다.삼인성호(三人成虎), 세 사람이면 없는 호랑이도 만든다. 여럿이 하는 거짓은 참으로 믿기 쉽다. 니체는 “거짓을 말하는 사람은 보통 사람보다 말이 많다”고 했다. 속이는 자는 잡다한 수다로 주의를 다른 데로 쏠리게 한다는 거다. 민주주의의 가늠자라는 여론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남의 권세나 위세를 자기 것인양 과시하다 - 전국책 -

    ▶ 한자풀이狐 여우 호假 거짓 가 虎 호랑이 호威 위엄 위전국시대 초나라에 소해휼이라는 재상이 있었다. 북방 나라들이 그를 몹시 두려워했다. 초나라 선왕은 이웃 나라들이 그를 그렇게 두려워하는 이유가 궁금했다. 어느 날 강을(江乙)이라는 신하에게 그 이유를 물었다. “북방 국가들이 어찌 소해휼을 그리 두려워하는가?”강을이 말했다. “전하, 이런 얘기가 있습니다. 호랑이가 여우 한 마리를 잡았습니다. 잡아 먹히려는 순간 여우가 말했습니다. ‘잠깐 기다리게나. 천제(天帝)가 나를 모든 짐승의 왕으로 임명하셨네. 거짓이다 싶으면 나를 따라와 보게. 모두 내가 두려워 달아날 테니.’ 호랑이는 여우 뒤를 따라갔습니다. 여우의 말대로 모든 짐승이 놀라 달아났습니다. 사실 짐승들은 여우 뒤의 자신을 보고 달아난 것이지만 호랑이는 그걸 깨닫지 못했습니다. 북방 국가들이 소해휼을 두려워하는 것도 이와 같습니다. 실은 소해휼의 뒤에 있는 초나라의 막강한 군세를 두려워하는 것입니다.”전한의 유향이 전국시대 책략가를 엮은 《전국책》에 나오는 얘기로, 여우(狐)가 호랑이(虎)의 위세(威)를 빌려(假) 다른 짐승을 놀라게 한다는 호가호위(狐假虎威)는 여기에서 유래했다. 남의 위세를 마치 자기 것인 양 훔쳐다 쓰는 게 어디 여우뿐이겠는가. 입만 열면 인맥 과시로 이야기를 채우는 사람, 틈만 나면 자기 자랑을 촘촘히 끼어넣는 사람…. 모두 ‘내 것’이 아니라 ‘남의 것’으로 자신을 과시하고자 하는 자들이다.재물 권력 명예 지식, 그게 뭐든 자랑삼아 내보이지 마라. 자긍과 자존은 안으로 품을 때 더 빛이 나는 법이다. “공작은 사람들 앞에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복이 화가 되기도 하고 화가 복이 되기도 한다 - 회남자 -

    ▶ 한자풀이塞   변방 새翁   늙은이 옹之   갈 지馬   말 마중국 국경 지역에 한 노인이 살고 있었다. 어느 날 노인이 기르던 말이 국경을 넘어 오랑캐 땅으로 도망쳤다. “이를 어찌합니까.” 동네 사람들이 노인을 위로했다. 노인은 의외로 태연했다. “이 일이 복이 될지 누가 압니까.” 몇 달이 지난 어느 날, 도망친 말이 오랑캐의 준마를 데리고 돌아왔다. “참으로 어르신이 말씀하신 그대로 입니다.” 이웃들의 축하에도 노인은 여전히 기쁜 내색을 하지 않았다. “이게 화가 될지 누가 압니까.”며칠 뒤 노인의 아들은 그 말을 타다 떨어져 다리가 부러졌다. 마을 사람들이 걱정스러운 표정으로 노인을 위로했다. 노인은 이번에도 무표정이었다. “이게 복이 될지도 모르는 일이오.” 아들이 다리가 부러진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북방 오랑캐가 침략했다. 나라에서는 징집령을 내려 젊은이들을 모두 싸움터로 내몰았다. 하지만 다리가 부러진 노인의 아들은 전장에 불려나가지 않았다. 중국 전한의 회남왕 유안이 쓴 『회남자』에 나오는 얘기다.인간만사 새옹지마(塞翁之馬)다. 변방 노인(塞翁)의 말(馬)은 인간의 길흉화복이다. 오늘의 길(吉)이 내일은 흉(凶)이 되고, 오늘의 화가 내일은 복이 되는 게 인생이다. 알 수 없는 게 내일이고, 알 수 없는 게 인생이다. 삶은 단색이 아니다. 길도 아니고 흉도 아닌 길흉이고, 복도 아니고 화도 아닌 화복이다. 복 속에 화가 있고, 화 속에 복이 있다.위기(危機)는 위태로움(危)과 기회(機)가 붙어 있다. 위태로움을 뒤집으면 기회가 보이고, 기회에서 방심하면 위태로워진다. 그러니 위태로움에 처하면 기회를 보고, 잘나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취하자니 이익이 작고 버리자니 아까운 것 - 후한서 -

    ▶ 한자풀이鷄 닭 계 肋 갈비 륵계륵(鷄肋)은 누구나 아는 고사성어다. 말 그대로 닭(鷄)의 갈비(肋)니, 먹자니 먹을 게 없고 버리자니 왠지 좀 아까운 거다. 큰 쓸모나 이익은 없으나 그렇다고 팽개치기는 아까운 거다.중국 후한시대가 저물어 가고 삼국시대에 접어들 무렵, 한중(漢中)은 위나라 조조와 촉나라 유비의 각축장이었다. 토지가 비옥하고 생산물이 풍부해 향후 ‘땅 싸움’을 가늠할 전략적 요충지였다. 유비가 한중을 공략해 조조가 아끼던 장수 하후연을 죽이고 성을 차지했다. 격노한 조조가 대군을 이끌고 한중 수복작전에 나섰다. 한데 유비 측 방어는 철벽이었다. 식량은 줄어가고, 병사를 마냥 한중에만 배치할 수도 없고…. 조조의 고민은 깊어갔다.그러던 어느날 조조의 저녁으로 닭국이 올라왔다. 조조는 먹자니 먹을 게 없고 버리기는 아까운 닭 갈비가 자신이 처한 상황과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마침 그때 하후연의 형 하후돈이 암호를 물으러 왔다. “계륵으로 하게.” 조조가 툭 던졌다. 군의 행정 실무를 보던 양수(楊修)가 그 말을 전해듣고 조조의 속마음을 알아챘다. “조만간 한중에서 철수할 터이니 미리 짐들을 챙겨놔라.” 병사들이 그 까닭을 물었다. “닭 갈비는 먹을 게 없지만 버리기도 아깝다. 주군께서는 돌아가기로 결심하신 것이다.” 조조는 자신의 심중을 귀신처럼 꿴 양수를 ‘군심 교란죄’로 처형하고 태연히 철수했다. 《후한서》 ‘양수전’에 나오는 얘기다.계륵은 몸이 마르고 허약한 사람을 가리키기도 한다. 죽림칠현(竹林七賢) 중 한 명인 유영(劉怜)이 술에 취해 시비를 걸었다. 화가 난 상대가 주먹을 휘두르자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비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해도 본질은 아주 다른 것 - 맹자 -

    ▶ 한자풀이似   닮을 사而   말 이을 이非   아닐 중국 고전의 사서(四書) 중 하나인 《맹자》 ‘진심’편에 맹자가 제자 만장과 대화를 나누는 대목이 나온다. 만장이 스승 맹자에게 묻는다. “공자는 자기 고장에서 행세하는 선비인 향원(鄕原)을 덕을 해치는 자라 했습니다. 한 마을에서 칭송받으면 어디를 가나 마찬가지일 터인데 어째서 그들이 덕을 해친다 했는지요?” 맹자가 답한다. “향원은 비난하려 해도 지적할 게 없는 듯하고, 꼬집으려 해도 꼬집을 게 없는 듯하고, 행동이 청렴결백한 것 같지만 속내를 감추고 세속에 영합한다. 그러므로 덕을 해치는 자라 한 것이다. 공자는 비슷한 듯하지만 아닌 것(似而非)을 미워하셨다. 가라지를 미워하는 건 곡식의 싹을 어지럽힐까 염려하신 때문이다.”사이비는 비슷하지만(似), 그러나(而), 같지는 않은 것(非)이다. 공자는 사이비는 진짜와 가짜의 경계가 모호해 사람을 현혹한다고 했다. 오늘날도 그렇지만 2500년 전에도 여전히 사이비가 사람들을 속인 모양이다.공자는 문질빈빈(文質彬彬)을 강조한다. 문체(文)와 바탕(質)이 어긋나지 않아야 빛이 난다(彬)는 뜻이다. 문체는 언변, 외모, 포장, 디자인이다. 바탕은 인성, 자질, 콘텐츠다. 부실한 콘텐츠를 화려한 포장으로 가리는 것도 사이비고, 허접한 영혼을 능수능란한 언변으로 가리는 것 역시 사이비다. 우리 사회는 유독 사이비가 판을 친다.맹자는 공자의 말을 빌려 사람을 네 형태로 분류했다. 중용의 도리에 부합해 지나침도 모자람도 없는 사람, 품은 뜻은 크나 실행이 이에 못 미치는 사람, 나름 지조가 있어 악은 행하지 않되 소심한 인물, 위선적인 처세로 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