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양두구육(羊頭狗肉)
▶ 한자풀이羊:양 양頭:머리 두狗:개 구肉:고기 육양 머리에 개고기라는 뜻으로 겉과 속이 일치하지 않음을 의미-<오등회원> <양자법언>춘추시대 제나라 영공(靈公)은 여인들이 남장하는 것을 보기 좋아했다. 그의 특이한 취미가 온 나라에 전해지자 제나라 여인들이 온통 남자 복장을 하기 시작했다. 이를 전해들은 영공은 남장을 금지시켰지만 지켜지지 않았다. 그러던 중 당대 명성 있는 사상가인 안자(晏子)를 우연히 만나 금지령이 지켜지지 않는 까닭을 물었다. 안자는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군주께서는 궁궐 안에서는 여인들의 남장을 허하면서 궁 밖에서는 못하게 하십니다. 이는 곧 문에는 소머리를 걸어놓고 안에서는 말고기를 파는 것과 같습니다( 懸牛首於門, 而賣馬肉於 也). 어찌하여 궁 안에서는 금지하지 않으십니까? 궁중에서 못하게 하면 밖에서도 하지 않을 것입니다.”이 말을 듣고 영공은 궁중에서도 남장을 금하게 했고 한 달이 지나 제나라에 남장하는 여인이 없게 되었다. 송나라 때 지어진 <오등회원(五燈會元)> 등에 전해지는 얘기다.이후 여러 문헌과 구전에 의해 원문의 소머리는 양머리로, 말고기는 개고기로 바뀌어 쓰이고 있다. 양두구육(羊頭狗肉)은 이처럼 겉으로는 좋은 명분을 내걸고 있으나 알고 보면 실속 없이 졸렬한 것을 말한다. 양두마육(羊頭馬肉) 표리부동(表裏不同) 명불부실(名不副實)은 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이고, 명실상부(名實相符) 명불허전(名不虛傳)은 반대 뜻의 사자성어다.세상에는 속과 겉, 명분과 실제가 다른 경우가 허다하다. 자신의 사적 이익을 추구하면서도 ‘애국’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집단의 이익만을 위하면서도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식자우환(識字憂患)
▶ 한자풀이識: 알 식字: 글자 자憂: 근심 우患: 근심 환서서(徐庶)는 유비에게 제갈량을 소개한 인물이다. 유비가 제갈량은 얻기 전에는 유비의 군사로 있으면서 조조를 많이 괴롭혔다. 위나라 조조에 비해 세력이 크게 약했던 촉나라 유비가 ‘삼국’이라는 입지를 강화한 것은 제갈량의 공이 컸고, 그를 소개한 서서 역시 삼국의 지형을 바꾸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조조는 모사꾼인 정욱의 계락에 따라 서서가 효자라는 것을 알고, 그의 어머니를 이용해 서서를 어머니에게 돌아가게 하려고 했다. 하지만 학식이 깊고 명필인 데다 의리가 있는 서서의 어머니 위부인은 아들을 불러들이기는커녕 어머니 걱정은 말고 현군인 유비를 끝까지 한 임금으로 섬기라고 격려했다.조조가 꾀를 냈다. 중간에 사람을 넣어 교묘한 수법으로 위부인의 필체를 알아낸 뒤, 서서에게 어머니의 위조 편지를 전달하게 했다. 필체에 속아 서서가 집에 돌아오자 위부인은 어찌된 영문인지를 몰라 의아해했다. 아들에게 자초지종 설명을 들은 뒤 이 모든 것이 서서의 효심과 거짓편지 때문이란 것을 안 위부인은 “여자가 글씨를 안다는 것부터가 걱정을 낳게 한 근본 원인이다(女子識字憂患)”라고 한탄했다. <삼국지>에 나오는 얘기다.소동파의 시에도 “인생은 글자를 알 때부터 우환이 시작된다(人生識字憂患始)”는 구절이 있다. 식자우환(識字憂患)은 말 그대로 ‘아는 글자가 되레 근심이 된다’는 뜻으로 너무 많이 알면 쓸데없는 걱정도 그만큼 많이 하게 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는 어쭙잖은 지식 때문에 일을 망치는 것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한국 속담에 ‘아는 것이 병이다’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건곤일척 (乾坤一擲)
▶ 한자풀이乾: 하늘 건坤: 땅 곤一: 한 일擲: 던질 척건곤(乾坤)은 ‘주역(周易)’에 나오는 건괘(乾卦)와 곤괘(坤卦)를 이르는 것으로 천하 천지를 뜻한다. 건곤일척은 곧 천하를 걸고 한번 던져 승패를 겨룬다는 말이다. 중국 당나라 제일의 문장가 한유(韓愈)는 옛날 초나라 항우와 한나라 유방이 천하를 양분하는 경계로 두고 싸움을 한 홍구를 지나다가 ‘과홍구(過鴻溝)’라는 시를 지었다. 시의 마지막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용은 지치고 호랑이도 피곤하여 강과 들을 나누어 가지니(龍疲虎困割川原)이로 인해 억만창생의 목숨이 살아남게 되었네(億萬蒼生性命存)누가 임금에게 권하여 말머리를 돌리게 했는가(誰勸君王回馬首)참으로 한번 겨룸에 천하를 걸었구나(眞成一擲賭乾坤).’천하를 차지하기 위한 두 사람의 싸움은 수년간 계속되었다. 그러나 승부가 나지 않았고 홍구 지역을 기준으로 서쪽은 유방이, 동쪽은 항우가 갖기로 하면서 싸움은 마무리되는 듯했다. 유방이 철군하려 하자 참모인 장량과 진평이 간곡히 요청했다. “한나라는 천하의 태반을 차지하고 제후들도 따르고 있습니다. 반면 초나라 항우의 군사는 몹시 지쳐있고 군량마저 바닥이 났습니다. 이것이야말로 하늘이 초나라를 멸망시키려는 뜻이오니 당장 쳐부숴야 합니다.” 유방은 말머리를 돌려 천하를 걸고 단판 승부를 벌였고, 항우는 대패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한나라는 이렇게 중국 천하를 다시 통일했다.여기서 유래한 건곤일척(乾坤一擲)은 승패와 흥망을 걸고 마지막으로 결행하는 단판승부, 또는 운명을 걸고 어떤 일에 나서는 대범한 용기를 가리키기도 한다.‘레미제라블’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촌철살인 (寸鐵殺人)
▶ 한자풀이寸: 마디 촌鐵: 쇠 철殺: 죽일 살人: 사람 인말이 너절하면 힘이 없다. 글이 너절하면 뜻이 얕다. 길이 너절하면 발길이 헷갈린다. 최고의 맛은 담백하고, 최고의 소리는 고요하고, 최고의 덕은 은미한 법이다. 창이 너무 길면 적을 정확히 겨냥하기 어렵고, 말이 너무 길면 본질이 흩어진다.나대경은 남송의 학자다. 그의 <학림옥로>는 밤에 집으로 찾아온 손님들과 나눈 담소의 모음집이다. 천(天)·지(地)·인(人)으로 분류해 문인이나 선인의 말을 시화(詩話)·어록·소설의 문체로 실었다. 거기에 보면 종고선사(禪師·선종의 교리를 통달한 스님)가 선에 대해 말하는 대목이 나온다.“어떤 사람이 무기를 한 수레 가득 싣고 왔다고 해서 살인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나는 오히려 한 치도 안 되는 칼만 있어도 사람을 죽일 수 있다.” ‘한 치도 안 되는 칼로 사람을 죽인다’는 촌철살인(寸鐵殺人)은 이 문구가 출처다.여기서 ‘살인(殺人)’은 원래 무기로 사람을 죽이는 게 아니라 마음속의 속된 생각을 없앤다는 뜻이다. 번뇌를 없애고 마음을 모으면 ‘작은 것’ 하나로도 큰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는 얘기다. 촌철(寸鐵)은 손가락 한 개 폭 길이의 무기다. 상대방의 허를 찌르는 말 한마디, 깨달음과 감동을 주는 짧은 경구를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니체는 “거짓을 말하는 자는 수다스럽다”고 했다. 수다로 거짓을 가리고, 감추고 싶은 데로 쏠리는 타인의 시선을 다른 데로 돌리려는 심리가 작용하기 때문이라는 거다. 공자는 “말을 꾸미는 자에게는 인(仁)이 드물다”고 했다. 부풀리고 과장하고 왜곡하는 말은 거짓이 좋아하는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주위상계 (走爲上計)
▶ 한자풀이走: 달릴 주爲: 할 위上: 윗 상計: 셈할 계용기는 물러서고 나아가는 것을 아는 거다. 물러서야 할 때 물러서고, 나아가야 할 때 나아가는 거다. 물러서야 할 때 나아가는 건 만용이고, 나아가야 할 때 물러서는 건 비겁이다. 병사를 보전해야 후일을 도모하고, 힘을 모아야 큰일을 꾀한다. 진퇴를 아는 건 삶의 큰 지혜다.중국 남북조시대 제나라 5대 황제인 명제는 제나라를 세운 고제의 증손인 3, 4대 황제를 차례로 시해하고 제위를 찬탈했다. 즉위 후에는 고제의 직손은 물론 자기를 반대하는 자들을 무참히 죽였다. 개국 공신인 회계 태수 왕경측이 두려움에 떨었다. 명제 역시 그가 불안했다. 명제가 대부 장괴를 장군에 임명해 회계 인접 지역으로 파견하자 왕경측은 1만여 군사를 이끌고 제나라 도읍으로 향했고, 도중에 농민들이 가세해 병력이 10만여 명으로 늘어났다.병석에 누운 명제를 대신해 국정을 돌보던 태자 소보권이 피란을 서둘렀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왕경측이 껄껄 웃었다. “서른여섯 가지 계책 중 도망치는 게 최고의 계책(三十六計走爲上計)이라고 했다. 너희 부자에게 남은 건 이제 도망가는 길밖에 없느니라.” 한데 왕경측은 자신의 운명은 몰랐다. 그는 난전 중 관군에게 포위당해 목이 잘려 죽었다. <자치통감> <제서>에 전해오는 얘기다.<삼십육계>는 36가지 전술을 여섯 항목으로 묶은 병법서다. 5세기까지의 고사(故事)를 17세기 명나라 말에서 청나라 초기에 수집해 만든 것으로 전해진다. 고사와 교훈이 곳곳에 들어 있어 <손자병법>만큼이나 자주 인용된다. 여기에 나오는 전술 중 하나가 ‘세가 불리하면 도망쳤다가 후일을 도모하는 게 최상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정중지와 (井中之蛙)
▶ 한자풀이井: 우물 정中: 가운데 중之: 갈 지蛙: 개구리 와가을 홍수로 황하에 물이 가득했다. 황하의 신 하백(河伯)은 천하를 얻은 듯 뿌듯했다. 한데 강을 따라가다 동해에 이른 하백은 소스라치게 놀랐다. 동해의 넓고 깊음은 황하에 비할 바가 못 됐다. 하백이 북해의 신 약(若)에게 한숨 지으며 말했다. “‘백 가지 도리를 들으면 저만한 사람이 없는 줄 안다’는 속담이 바로 저를 두고 한 말인 듯합니다. 공자의 지식이 작고 백이의 절개가 가볍다는 말은 들었지만 지금까지 믿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지금 바다의 끝없음을 보니 큰일 날 뻔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마터면 크게 깨달은 자들에게 오랫동안 비웃음을 당할 뻔했습니다.”약이 말했다. “우물 안 개구리(井中之蛙)에게는 바다를 얘기해도 소용없는 일입니다. 평생을 우물에 갇힌 탓이지요. 여름 벌레에게는 얼음을 말해도 소용없는 일입니다. 여름에만 매여 산 때문이지요…. 세상에는 나보다 큰 물이 없습니다. 하지만 나 스스로는 크다고 여긴 적이 없습니다. 나 또한 하늘과 땅 사이에 있는 것이니 조그마한 돌멩이나 작은 나무가 거대한 산에 있는 격이지요…. 모든 것을 만물이라 부릅니다. 사람은 그 만 중에 하나일 뿐이지요.” <장자> 추수편에 나오는 이야기다.어쩌면 우리 모두는 ‘우물 안 개구리(井中之蛙)’인지도 모른다. 자신의 주제는 잊은 채 강을 말하고, 바다를 논하는지도 모른다. 시냇물이 목소리를 키우면 강이 되고, 강이 목소리를 키우면 바다가 되는 줄 착각하며 사는지도 모른다. 우물 안 개구리는 바다를 모른다(井中之蛙 不知大海). 평생을 좁은 공간에 갇힌 탓이다. 여름철 매미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전전긍긍 (戰戰兢兢)
▶ 한자풀이戰: 싸움 전戰: 싸움 전兢: 떨릴 긍兢: 떨릴 긍맨손으로 범을 잡을 수 없고 걸어서는 강을 건너지 못하네. 사람들은 그 하나는 알고 있지만 그외 것은 아무것도 모르고 있네. 두려워하고 조심하기를(戰戰兢兢) 마치 깊은 못에 임한 듯하고 살얼음 위를 걷는 듯하네.공자가 편찬한 <시경> 소아편 ‘소민(小旻)’의 마지막 구절이다. 임금이 간신에 둘러싸여 나라를 혼란에 빠뜨린 것을 풍자한 시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와 뜻이 맞물리는 ‘꾀하는 사람이 너무 많으면 꾀하는 일이 잘되지 않는다’도 소민에 나오는 시구다. 자신의 이익만을 좇는 신하가 많으니 나라가 임금의 뜻대로 다스려지지 않음을 비유한 구절이다.전전(戰戰)은 겁을 먹고 벌벌 떠는 모습이고, 긍긍(兢兢)은 지극히 조심해 몸을 움츠리는 태도다. 그러니 전전긍긍(戰戰兢兢)은 지나치게 두려워하고, 조심하는 몸가짐이다. 소민은 만용과 소심을 대비시킨다. 맨손으로 범을 잡고, 걸어서 강을 건너는 건 용기가 아니라 만용이다. 군주에게 만용을 부리면 단번에 목이 날아간다. 간신은 그걸 알기에 깊은 연못에 임하듯, 얇은 얼음 위를 걷듯 임금의 눈치만 살핀다. 나라에 약이 되는 쓴 말은 삼키고 임금의 귀에 달콤한 단 말만 뱉어댄다.“미래는 여러 이름을 가지고 있다. 약한 자에게는 불가능이고, 겁 많은 자에게는 미지(未知)이고, 용기 있는 자에게는 기회다.” 프랑스 소설가 빅토르 위고의 말이다. 빙판길에선 떨며 걷는 자가 더 자주 넘어진다. 두려움에 지면 뚜렷한 길이 흐려지고, 흐릿한 길이 아예 없어진다. 전전긍긍, 세상만사 너무 겁먹고 너무 소심하면 발을 내딛지 못한다.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백년하청 (百年河淸)
▶ 한자풀이百: 일백 백年: 해 년河: 물 하淸: 맑을 청춘추시대 정나라가 위기에 처했다. 초나라의 속국 채나라를 친 것이 빌미가 돼 초나라의 보복 공격을 받게 된 것이다. 정나라 대부들이 대책을 논했으나 의견이 팽팽히 갈렸다. 강대국 초나라와 맞설 수 없으니 화친을 맺어 백성을 살리자는 주장과 화친을 맺는다는 것은 초나라의 속국이 된다는 것이니 끝까지 싸우면서 진나라에 구원을 청해야 한다는 주장이 맞섰다. 양측 모두 일리 있는 주장이었다. ‘인간은 만물의 척도’라고 한 프로타고라스가 말하지 않았나. 모든 담론은 거대한 상반된 논리가 있다고.화친론과 주전론이 좀처럼 타협점을 찾지 못하자 대부 자사가 나섰다. 그는 먼저 ‘황하(黃河)의 물이 맑아지기를 기다린다면 인간의 수명으로는 부족하다. 점을 쳐 일하는 사람이 많으면 어수선해지고 그물에 걸려 움직이지 못한다’는 주나라 시를 인용했다. 그리고 본론을 말했다. “지금 진나라의 구원병을 기다리는 건 백년하청(百年河淸)일 뿐이오. 진이 우리를 도우려 초나라와 전쟁을 일으킬 이유도 없지 않소. 초나라와 화친을 맺어 백성을 불안에 떨지 말게 합시다.” 결국 정나라는 화친으로 큰 고비를 넘겼다.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얘기다.백년하청(百年河淸), 백 년을 기다려도 황하의 흐린 물은 맑아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아무리 기다려도 바라는 것이 이뤄질 수 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바로잡기 난망한 일, 가망이 없는 희망, 막연한 기다림 등을 비유한다.기다림이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막연한 기다림은 때론 시간낭비다. 숙성은 세월을 그저 흘려보내는 게 아니다. 익히고 단련해 스스로를 영글게 하는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