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아프가니스탄 난민 수용 때 생각해봐야 할 것들

    지난 8월 15일 아프가니스탄에서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인 탈레반이 대통령궁을 장악한 뒤 승리를 선언했다. 아프간 시민들은 앞다퉈 국경을 빠져나가려 하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간 인구의 5.3%에 달하는 약 200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 한국은 지난달 25일 과거 한국 정부를 도왔던 아프간 난민 약 380명을 수용했다. 이후 아프간 난민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난민 수용은 대한민국의 경제성장에 이바지할 수 있다. ...

  • 테샛 공부합시다

    경기고 홍성진 학생 고교 1위…주니어 테샛 1등 김예림 학생

    테샛관리위원회는 최근 성적 평가회의를 열고 제68회 테샛 부문별 성적 우수자를 확정해 테샛 홈페이지에 발표했다. 응시자들은 개인별 자격 등급과 성적표를 테샛 홈페이지에서 출력할 수 있다. 홍성진 학생, 고교 개인 대상의 영예 이번 68회 테샛 고교 개인 대상은 경기고 2학년에 재학 중인 홍성진 학생이 수상했다. 2등인 최우수상은 서울고 1학년 김주영 학생이 받았다. 우수상이 주어지는 3등은 박영록(한국항만물류고 3년), 강다인(한민고 2년)...

  • 테샛 공부합시다

    국내총생산(GDP)

    [문제] 어느 해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국내총생산(GDP) 추계에서 재고 항목이 전년도에 비해 증가했고 하자. 재고 항목의 증가는 우리나라 GDP 구성 요소에 어떻게 반영되는가? ① 수출의 증가 ② 수입의 증가 ③ 정부 지출의 증가 ④ 총자본 형성의 증가 ⑤ 가계 소비지출의 감소 [해설] 국내총생산(GDP)은 한 나라의 국경 안에서 가계·기업·정부 등 경제 주체들이 일정 기간 생산한 최종생산물의 가치를 시장...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민족 최대의 명절은 추석? 설?

    해마다 이맘때가 되면 궁금해지는 게 있다. 민족 최대의 명절은 추석일까 설날일까? “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을 맞아 고향을 찾는 귀성객들이….” 언론에서는 추석을 앞두고 관련 보도를 쏟아낸다. 설 때가 되면 같은 문장에 ‘추석’ 대신 ‘설날’만 바꿔 넣은 말이 반복된다. 그래도 우리는 별 거부감 없이 받아들인다. 명절은 법 아니라 관습으로 지켜온 행사 그만큼 우리 ...

  • 생글기자

    효과적인 여드름 치료 방법은 무엇인가

    코로나로 마스크를 장기간 착용하면서 여드름을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다. 피지가 과도하게 분비되거나 피지가 빠져나올 모공이 막히면서 피부 내에서 피지가 굳고 여드름이 생긴다. 마스크로 인해 위생 관리가 안되기 때문이다. 여드름은 나이가 들면서 서서히 없어지기 마련이다. 문제는 흉터다. 빨간색 혹은 갈색 흉터는 여드름이 가라앉는 과정에 발생하는데, 길면 몇 년이 걸릴지라도 자연스럽게 없어질 수 있다. 여드름을 짜는 과정에서 딱지가 앉은 경우에도 흉...

  • 경제·금융 상식 퀴즈

    9월 13일 (722)

    1.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과 같이 국가가 운영 주체가 되는 연금을 가리키는 말은? ①연기금 ②개인연금 ③공적연금 ④사적연금 2. 현직 일본 총리인 이 사람이 취임 1년 만에 물러나기로 했다. 코로나19 사태 대응 부실로 지지율 급락에 시달려 온 이 사람은? ①아베 신조 ②스가 요시히데 ③니카이 도시히로 ④구로다 하루히코 3. 수입품에 부과하는 조세를 말한다. 자유무역협정(FTA)이 확산하면 인하 또는 철폐되기도 하는 이 세금은...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이야기를 담은 시를 통해 이성과 감성의 조화를 이루다

    (가) 노래는 심장에, 이야기는 뇌수에 박힌다 처용이 밤늦게 돌아와, 노래로써 아내를 범한 귀신을 꿇어 엎드리게 했다지만 (중략) 노래하고 싶은 시인은 말 속에 은밀히 심장의 박동을 골라 넣는다 그러나 내 격정의 상처는 노래에 쉬이 덧나 다스리는 처방은 이야기일 뿐 이야기로 하필 시를 쓰며 뇌수와 심장이 가장 긴밀히 결합되길 바란다. - 최두석, 『노래와 이야기』 - (나) 돌담으로 튼튼히 가려 놓은 집 안엔 검은 기와집...

  • 생글기자

    게임 셧다운제, 긍정적인 효과만 있나

    게임 셧다운제 폐지 논의가 최근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셧다운제의 경제적, 사회적 영향과 청소년들이 얻는 이득은 뭘까. 세상은 달라졌다. 어렸을 때 뛰어놀던 골목길은 없어지고, 청소년들은 학원을 찾아다니며 지쳐가고 있다. OECD가 조사한 행복도에서도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행복도는 최하위로 나타났다. 서울 대치동 학원가에선 밤 10시에야 집으로 향하는 학생들이 많다. 심지어 주말에도 학원을 가야 하는 것이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현실이다. 이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