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스티브 잡스, After 10년…

    지금부터 10년 전 인류는 한 위대한 인물을 잃었습니다. ‘애플 신화’의 주인공 스티브 잡스가 2011년 10월 5일, 56세에 세상을 떠난 것이죠. 잡스는 누구보다 극적이며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고, 남들이 생각하지 못한 새로운 기술과 제품을 만들어 내며 세상을 놀라게 했습니다. 세계 정보기술(IT)의 흐름을 한순간에 바꿔놓은 잡스는 그야말로 ‘혁신의 아이콘’이었습니다. 잡스는 1976년 애플을 창업...

  • 교양 기타

    멋진 스토리텔러가 되고 싶은 10대를 위한 창작공식

    틴에이저를 태풍의 눈에 비유하기도 한다. 엄청난 힘을 지닌 데다 어디로 튈지 모르기 때문이다. 방향을 제대로 잡고 질주하면 튼실한 열매를 맺을 가능성이 큰 그 시절을 어른이 되면 누구나 그리워한다. 적성을 빨리 발견하고 미리 준비하면 10대에도 작가가 될 수 있다. 《별들의 고향》 《고래사냥》으로 유명한 최인호 작가는 고등학교 2학년 때 신춘문예에 가작 입선했다. 요즘 웹소설을 연재하는 중·고등학생도 늘어나는 추세라고 한다. 일...

  • 테샛 공부합시다

    디플레이션

    [문제] 일본은 ‘잃어버린 30년’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경기 침체가 극심했다. 이는 정책금리를 내리는 시기를 놓쳐 경기 침체가 더욱 길어진 측면도 있다. 실제로 1990년 버블이 붕괴된 직후 금리 인하가 아닌, 인상을 택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A)이(가) 발생하면서 물가가 지속해서 하락하고, 실질금리가 오히려 올라가 기업과 가계의 투자 및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고 부채 부담을 늘려 경기 침체를 더욱 심화시켰다. (A...

  • 시사 이슈 찬반토론

    늘어나는 회사원 '야간 투잡'…용인될 일인가

    경기가 나빠지면서 한 사람이 두 가지 일을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른바 ‘투잡(two job)족’이다. 가뜩이나 경제가 장기 침체 상황이었던 데다 코로나 쇼크가 장기화되면서 현저해진 현상이다. 이를 어떻게 볼 것인가. 회사 소속 직장인이라면 회사는 이를 전면 허용해야 할까, 금지해도 될까. 금지한다면 강제로 막는 것은 정당한가. 취업 관련 업체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 가운데 부업 경험자가 20%를 웃돈다는 응답도 나왔...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파죽지세(破竹之勢)

    ▶ 한자풀이 破 : 깨뜨릴 파 竹 : 대 죽 之 : 갈 지 勢 : 기세 세 대나무를 쪼갤 때의 맹렬한 기세라는 뜻으로 세력이 강대해 대적할 상대가 없음을 비유 -《진서(晉書)》 사마염(司馬炎)은 조조가 세운 위(魏)나라를 없애고 스스로 제위에 올라 국호를 진(晉)으로 바꿨다. 그가 곧 무제(武帝)로, 서기 265년의 일이다. 이때는 유비가 세운 촉(蜀)나라도 이미 멸망한 뒤여서 삼국 중에서는 오찍 동쪽의 오(吳)나라만 남아서 버티고...

  • 경제 기타

    2020 열심히 활동한 '으뜸 생글기자' 뽑았어요!

    한국경제신문 경제교육연구소는 2020 생글기자 가운데 뛰어난 활동을 펼친 학생기자를 ‘2020 으뜸 생글기자’로 선정했습니다. 2020년 2학기부터 2021년 1학기까지 1년 동안 생글생글 지면에 게재된 기사 수를 기준으로 선정했습니다. 박민우 생글기자(동성고 3학년)는 이 기간 16건의 기사를 게재하는 남다른 성실함을 보여줬습니다. 궁호영 생글기자(일산국제컨벤션고 3학년)는 9건, 송정효 생글기자(대전신일여고 3학년)는 ...

  • 숫자로 읽는 세상

    韓 모바일게임 지출 '세계 1위'…이용자 90% 이상이 MZ세대

    한국 모바일 게임 이용자의 1인당 게임 지출액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모바일 게임 이용자의 90% 이상은 ‘MZ세대(밀레니얼+Z세대)’였다. 글로벌 모바일 플랫폼 조사업체인 앱애니는 이 같은 내용의 ‘2021년 상반기 모바일 게임 결산’ 보고서를 최근 내놨다. 국내 스마트폰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기준으로 올 상반기 기기 1개당 게임 소비 지출액은 월평...

  • 과학과 놀자

    지구상 모든 생명체가 의존하는 태양광 에너지…기후변화 촉발하는 과도한 화석연료 사용 경계해야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는 우리의 건강에 직접 영향을 주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가 많이 논의되다가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산불, 폭우, 폭염 등 이상 기후가 이슈가 되고 있다. 이상 기후의 원인으로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따른 기후 변화가 지목되고 있다. 기후는 대기의 온도, 바람, 비, 눈을 모두 아우른다. 태양광으로 대기가 가열되고, 지표에서 물이 증발해 구름이 되고, 대기압의 차이로 생긴 바람을 따라 이동한 구름이 다시 비와 눈이 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