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요서지역서 두각을 나타낸 고구려 유민 출신 이정기, 당 혼란기에 산둥반도 장악…제나라 건국으로 이어져

    사래 긴 논밭을 일구며 식구들과 소박하게 살아가는 삶이 있는가 하면, 격동과 해일, 절망과 환희, 죽음과 죽임을 오가는 역사의 삶도 있다. 고구려를 부활시킨 대조영, 고선지, 그리고 망각된 이정기 같은 삶 말이다. 781년 뜨거운 여름날 그는 당나라의 수도인 장안을 지척에 두고 대공세를 준비하고 있었다. 고구려 유민들을 주력으로 산둥지역을 지배하고, 영역을 넓히면서 오랫동안 숨기고 준비해 온 유민들의 한과 희망을 폭발시키려는 순간이었다. 당나...

  • 경제 기타

    18일부터 청소년 코로나 백신 접종…이득·위험 충분히 판단해 '자율 접종'

    국립중앙의료원 의료진이 지난 12일 고령자와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백신 추가 접종(부스터샷)을 받고 있다. 18일부터는 12~17세 277만 명에 대한 예방접종도 시작된다. 청소년은 부작용이 드물게 발생할 수 있으나 코로나19에 감염되면 교육기회 감소 등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접종에 따른 이득과 위험을 충분히 판단해 자율적으로 접종해야 한다. 본인 또는 대리인이 개별적으로 예약한 뒤 보호자 동의를 기반으로 화이자 백신을 ...

  • 시네마노믹스

    그리스의 유로존 가입은 '판도라의 상자'였나, 실업·난민·고물가…일상이 된 위기와 '덧없는 사랑'

    2010년대 초반의 아테네. 카메라는 세 쌍의 연인을 순차적으로 비춘다. 이들은 오늘날 우리가 ‘그리스 경제위기’와 ‘유럽 난민 사태’라고 부르는 두 사건 속에 살아가고 있다. 대학에서 정치학을 전공하는 다프네(니키 바칼리 역할)는 귀갓길에 난민들로부터 폭행을 당하고, 자신을 구해준 시리아 난민 청년 파리스(타우픽 바롬)와 사랑에 빠진다. 위태로운 결혼과 매각 직전인 회사 상황으로 우울증에 시달리는 지...

  • 생글기자

    세종대왕의 걸작 '한글'이 위대한 이유

    지난 9일 한글날을 보내며 한글의 위대함을 다시 한번 생각해봤다. 훈민정음은 1446년에 반포된 조선의 문자다. 훗날 일제강점기에 한글학자 주시경 선생이 ‘한글’이라는 이름으로 문법을 비롯한 전반적인 부분을 정리했다. 한글은 과학적이면서도 실용성을 극대화한 문자다. 한글의 전신인 훈민정음은 중국의 한자로는 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백성들을 위해 누구나 배우고 쓰기 쉽게 만들었다. 컴퓨터가 일상화된 지금도 한글은 사용하기에 매...

  • 테샛 공부합시다

    재정수지와 국가부채

    [문제] 정부의 재정수지와 국가부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재정적자는 필연적으로 국가부채를 증가시킨다. ② 이자율이 하락하면 정부의 재정수지는 개선될 수 있다. ③ 국가부채를 줄이기 위해서는 균형재정을 항상 달성하여야 한다. ④ 정부지출이 고정되어있는 경우, 경제성장률 상승은 국가부채를 줄일 수 있다. ⑤ 노인연금을 지급하는 나라에서 고령화 심화는 재정수지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해설] 재정수지란 정부가...

  • 테샛 공부합시다

    백신고 이예준 학생, 고교 개인 대상 수상…최우수상 권시온 학생

    테샛관리위원회는 최근 성적 평가회의를 열고 부문별 성적 우수자를 확정해 테샛 홈페이지에 발표했다. 응시자들은 개인별 자격 등급과 성적표를 테샛 홈페이지에서 출력할 수 있다. 이은지 씨 전체 수석 이번 69회 테샛 고교 개인 대상은 백신고 2학년에 재학 중인 이예준 학생이 수상했다. 최근 고교 부문에서 68회에 이어 69회에도 S등급 대상 수상자가 잇따라 나왔다. 2등인 최우수상은 서울여자상업고 2학년 권시온 학생이 받았다. 우수상이 주어지는...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606)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100년간 써온 '기대난망', 사전에 없는 까닭

    “애초 집단면역은 기대난망이었는지 모른다”라고들 한다. “미친 집값 잡기, 정녕 기대난망인가?” 이런 제목의 신문기사도 눈에 띈다. 끝모를 코로나19 사태로 사회 분위기가 가라앉은 탓인지 ‘기대난망’이란 말을 자주 접한다. 그런데 이 말은 좀 특이한 구성이다. 국어사전에 나오지도 않는다. ‘기대’와 ‘난망’이 결합해 의미상 중복 표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