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선택과목 고를 땐 목차보고 나와 잘 맞는 과목 택하세요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는 탐구과목 총 17과목 중 2과목을 선택해 응시하는 것으로 개편됐습니다. 선택 범위가 넓어진 만큼 탐구 과목을 선택하기 위해 오늘도 고민하고 있을 후배님들을 위해 선택과목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저는 사탐 과목 중에서 한국지리와 세계지리 과목을 선택했습니다. 개편 이전의 수능이라 총 9과목 중에서 2과목을 선택하는 것임에도 결코 쉽게 결정하지 못했습니다. 탐구 과목을 미리 준비하면 좋다는 생각에,...

  • 커버스토리

    "끝없는 혁신으로 한계 뛰어넘자"…초일류 경영 '뚝심'

    “변화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는 시장과 기술의 한계를 돌파해야 합니다.” 이건희 삼성 회장이 2014년 급성 심근경색으로 병상에 눕기 전에 마지막으로 발표한 그해 신년사입니다. 지난해 별세할 때까지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내지 못한 점을 감안하면 혁신으로 한계를 돌파하자는 이 회장의 2014년 신년사는 그의 마지막 어록이 되었습니다. 이미 삼성전자를 세계 1등 기업으로 키운 그이지만 생의 마지막 순간에서도 끝없는 혁신을 강...

  • 숫자로 읽는 세상

    대체육 스타트업 성장판 열렸다

    대체육 시장에 뭉칫돈이 몰리고 있다. 식물성 대체육 전문 스타트업 바이오믹스테크가 200억원 투자를 유치했다. 대체육 분야 최대 규모다. 건강 식습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대세로 떠오르는 상황에서 국내 대체육 시장이 꿈틀거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바이오믹스테크는 지난 7일 키움프라이빗에쿼티(키움PE), 키움인베스트먼트 등에서 200억원의 투자를 받았다. 이번 투...

  • 커버스토리

    'R&D 강국' 한국, 노벨상 왜 못받나

    커버스토리매년 10월이면 세계가 주목하는 ‘발표’가 있습니다. 바로 그해 노벨상 수상자들이 누구냐 하는 것이죠. 지난 4일 온도와 촉각 수용체를 발견한 데이비드 줄리어스 미국 캘리포니아대 교수와 스크립스연구소의 아르뎀 파타푸티언 교수가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것을 시작으로 11일 경제학상까지 6개 부문 13명의 수상자가 모두 발표됐습니다. 아쉽게도 한국인 수상자는 올해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2000년 고(故) 김대중...

  • 진학 길잡이 기타

    "여러 제시문이 하나의 입장이면, 저마다 고유한 역할 있을 것"

    지난 시간의 문제에 대해 풀어 보겠습니다. 첫 번째 문제는 통합요약 유형으로, 성균관대 논술의 전형적 유형입니다. 그 외에도 한국외국어대 1번 유형이 이와 유사하며, 다른 학교들에서도 가끔씩 질문으로 던져지는 쉬운 듯하면서 어려운 물음입니다. 이 문제의 핵심은 ‘입장’을 요약하는 것입니다. 여러 제시문이 하나의 입장을 구성한다면, 각 제시문마다 고유한 역할이 있을 것입니다. 어떤 제시문은 일반적이고 포괄적으로 입장을 대변한...

  • 숫자로 읽는 세상

    글로벌 디지털세 2023년 도입…구글, 한국에 세금 더 내야

    글로벌 기업이 외국에 사업장을 두지 않고 판매만 하더라도 해당 국가가 세금을 걷을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세가 채택됐다. 구글 페이스북 등은 국내에 더 세금을 내야 하는 반면 삼성전자 등 국내 대기업은 디지털세 명목으로 외국에 수천억원의 세금을 더 낼 전망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 9일 OECD·주요 20개국(G20) 포괄적 이행체계(IF) 13차 총회를 열어 디지털세와 법인세 최저한세율에 대한 최종 합의문을 내놨다....

  • 커버스토리

    기초과학 약한 한국, 노벨상 '빈손'…"그래도 희망은 있다"

    국제 학술지 네이처는 2016년 ‘한국 과학자가 노벨상을 못 받는 이유’ 다섯 가지를 소개했습니다. 활발한 토론이 어려운 경직된 연구실 분위기, 기업에 의존하는 응용학문 중심의 연구개발(R&D) 투자, 시류에 편승하는 주먹구구식 투자, 인재 해외 유출, 정부 R&D 투자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한 논문 수 등이었습니다. 당시엔 한국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R&D 투자 비중이 세계 1위일 정도로 엄청난...

  • 경제 기타

    산유국 똘똘 뭉쳐 "추가증산 없다" 못 박자…국제유가 7년 만에 최고

    코로나19 사태 이후 바닥까지 떨어졌던 기름값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지난 4일 미국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원유(WTI)는 2.3% 오른 배럴당 77.6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2014년 11월 이후 7년 만의 최고치다. 브렌트유 선물 가격도 81.26달러로 3년 만에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했다. 산유국들이 원유 생산량을 추가 확대하지 않기로 한 여파다.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는 겨울철이 다가오고 있어 유가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