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알바형 학생 근로'에도 근로계약서 작성 필요한가
현대 민주사회에서 근로관계는 ‘계약’에 의해 성립된다. 고용주와 피고용자 모두 자유의사에 따른 계약이 기본이다. 당사자 간 자유의사가 최대한 보장받고 존중받는 곳이 미국 같은 나라다. 반면 상당수 국가에서는 이 고용관계에 정부가 개입한다. 한국도 국가가 강하게 개입하는 편이다. 사적 자치 영역이든, 정부가 개입하는 공적 영역으로 보든, 통상 서면으로 된 근로계약이 기반이 된다. 이에 따라 고용주(근로기준법상 ‘사...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조세부담률
[문제] 국민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 납부하는 국세와 지방세를 합산한 규모가 경상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한계세율 ② 조세부담률 ③ 국민부담률 ④ 사회보장부담률 ⑤ 등가세전수익률 [해설] 조세부담률이란 국민이 소득 중에서 얼마만큼을 세금으로 부담하느냐를 나타내주는 지표다. 국내총생산(GDP) 또는 국민소득에서 국민이 낸 세금(국세+지방세)이 차지하는 비중을 말한다. 조세부담률은 국민의 평균...
-
커버스토리
한 달에 한 권 읽기…생글과 함께 도전!
1년에 책 열두 권을 읽는 고교생이 얼마나 될까요? 한 달에 한 권꼴인데요. 통계가 매년 바뀝니다만 많지 않은가 봅니다. 학교 수업, 인강, 수능 공부에 쓸 시간도 부족한데 독서 시간을 따로 빼기 어렵다는 학생들이 적지 않아요. 임인년 새해, 우리 좀 달라져 볼까요? 2022년 1년 동안 생글과 함께 ‘책 12권 읽기 프로젝트’를 실행해보면 어떨까요? 문해력, 이해력, 사고력, 탐구력은 독서에서 온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
-
생글기자
세상의 흐름 트렌드…새해 계획에 참고해볼까
2022년 새해가 밝았다. 이맘때면 새해에 대한 기대와 흥분 속에 여러 가지 전망이 나온다.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는 지난해 10월 《트렌드 코리아 2022》라는 책에서 올해 주목할 만한 트렌드를 ‘TIGER OR CAT’으로 요약하고, 각 알파벳 머리글자마다 한 가지씩 총 10가지 트렌드를 예측했다. 그중에서도 ‘Gotcha Power’(득템력), ‘Revelers in Health-He...
-
영어 이야기
that·one, 앞 문장 일부 대체하는 대명사, 단어 반복 줄여주는 경제적인 표현 도구
Sometimes art therapists do things that do not involve patients or clients, such as teaching, supervision, consultation, and research. The fundamental principles in each are identical to those for direct service, and follow the same sort of sequence....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한 자·1척·영척은 30cm 이르는 말…전통적 단위어들, 일상 속에 살아있죠
임인년 새해가 밝았다. 지난해 말에는 한국이 수출 6400억달러를 넘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는 낭보로 한 해를 마무리했다. 무역 규모는 1조2600억달러로, 이탈리아를 제치고 세계 8위로 뛰어올랐다. 수출 최전선에는 오대양을 누비는 대형 컨테이너선들이 있다. 국내 1위 해운선사인 HMM(옛 현대상선)은 세계 최대인 2만4000TEU급 컨테이너선 등을 포함, 지난해 선복량 80만TEU를 돌파했다. 야드법 기반 TEU, 세계적으로 통용돼 수출...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변증법 몰라도 국어능력으로 지문 이해할 수 있죠
08. <보기>는 헤겔과 (나)의 글쓴이가 나누는 가상의 대화의 일부이다.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보 기 > 헤겔 : 괴테와 실러의 문학 작품을 읽을 때 놓치지 않아야 할 점이 있네. 이 두 천재도 인생의 완숙기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최고의 지성적 통찰을 진정한 예술미로 승화시킬 수 있었네. 그에 비해 초기의 작품들은 미적으로 세련되지 못해 결코 수준급이라 할 수 없었는데, 이는 그들이 아직 지적으...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세계 최대 전자·IT쇼 'CES'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2’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5일(이하 현지시간)부터 7일까지 열렸다. 행사를 주최한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에 따르면 올해 전시회에는 160개국, 2200여 개 업체가 참여했다. 한국은 역대 최대 규모인 500여 개 기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가해 인공지능(AI), 로보틱스, 수소 등 첨단기술을 선보였다. 2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열린 CES는 오미크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