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생글기자
학생 주도 '대구 영어 토크 콘서트'가 주목받는 이유
올해 9회째를 맞는 ‘대구 영어 토크 콘서트 톡!톡!’은 대구시 교육연수원 글로벌 교육센터가 개최하는 학생 주도형 영어 말하기 대회다. ‘가치 있는 아이디어의 공유’를 위한 대구 교육형 TED 모델이라 볼 수 있다. 이 행사의 최대 특징은 대회 참가자 외에 운영위원과 연사팀, 청중평가단도 모두 학생이 주도한다는 점이다. 매년 50개 넘는 팀이 참가 신청을 할 정도로 관심이 높은 이유다. 예심을 통과한...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敬而遠之 (경이원지)
▶ 한자풀이 敬: 공경할 경 而: 어조사 이 遠: 멀 원 之: 갈 지 존경하되 가까이하지는 않는다 겉으로는 공경하되 속은 멀리하다 - <논어(論語)> 공자는 평소 귀신이나 죽음, 괴이한 일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제자 자로가 귀신 섬기는 일을 묻자 공자가 답했다. “사람도 제대로 섬기지 못하거늘 어찌 귀신을 섬길 수 있겠느냐?(未能事人 焉能事鬼)” 자로가 다시 공자에게 물었다. &ld...
-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기업·근로자간 이슈 조율…산업발전하며 주목 받아
노동자의 권리를 대변해주고 부당해고 등 구제 지원과 더불어 기업 노무 관리 및 상담·지도 등을 하는 ‘노무사’는 최근 산업이 가파르게 성장하면서 주목받는 직업이다. 김소영 노무법인 신유 대표노무사를 만나 직업의 세계를 들어봤다. ▷노무사는 어떤 직업인가요. “한마디로 사람과 조직을 연결하는 전문가라고 생각해요. 크게는 노동법에 대해 법률적으로 지원하고, 대리해주는 직업입니다. 업무로 나눠보면 기업...
-
대학 생글이 통신
학생부 '세부특기사항'에 수상·독서 등 자연스럽게 녹여야
대입 준비 과정에서 작년과 달리 학생부 평가 항목이 축소되면서 자기 역량을 어필할 방법이 점점 사라지고 있습니다. 자기소개서가 폐지되고, 수상 및 독서 기록도 기재되지 않는 게 수시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겠죠. 이런 상황으로 어려움을 겪을 친구들을 위해 수시 대비 학생부 작성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3년 동안 읽은 책을 올해 입시부터 기재할 수 없다는 것, 수상 기록도 넣을 수 없는 것은 독서와 대회 참여가 아닌 다른 곳에 시간을 쓰게끔 ...
-
과학과 놀자
낙뢰는 구름과 땅 사이에서 발생하는 방전 현상
지난 6월 10일 강원 양양군에서 낙뢰 사고가 발생했다. 서핑을 즐기던 6명이 낙뢰를 맞아 1명이 사망하고 5명이 다쳤다. 이토록 위험한 낙뢰는 왜 발생하는 것일까? 낙뢰의 과학적 원리와 사고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낙뢰는 구름과 땅 사이에서 발생하는 방전 현상이다. 방전이란 전기가 방출돼 흐르는 현상이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겪는 방전 현상으로 정전기가 있다. 정전기는 마찰 등을 통해 전기가 쌓인 것을 말한다. 쌓인 양이 많아져 전위차(전기...
-
생글기자
환경 중시 '엠제코' 세대 등장…기업 등도 미래 대비해야
MZ(밀레니얼+Z)와 에코가 합쳐진 신조어 ‘엠제코’는 환경보호에 열심인 MZ세대를 뜻한다. 이들은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친환경 소비를 중시하고, 산책하며 쓰레기를 줍는 ‘플러깅’ 등 활동을 SNS에 올려 주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려 한다. 청소년기후행동 등 자신들만의 환경단체까지 만들고 있다. 이는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청소년들도 피부로 느끼고 있다는 방증이다. 한 청소년 대상 설문조사에...
-
경제 기타
회원국끼리 달러 대신 결제할 때 쓰려는 통화죠
화폐와 관련된 문제는 수능 경제 관련 지문 중 단골 소재입니다. 기축통화뿐 아니라 최근에는 공동통화라는 개념까지 언급되는 만큼 관련 개념을 익혀두는 게 좋습니다. 공동통화란 5개 개발도상국 모임인 BRICS(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가 공동통화 논의를 시작했다는 소식이 나왔습니다. 이르면 오는 8월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리는 BRICS 정상회의에 앞서 새로운 공동통화가 출...
-
키워드 시사경제
금리 격차 더 벌어질 수도…고민 깊어진 한은
미국 중앙은행(Fed)이 지난해 3월부터 15개월 연속 인상해온 기준금리를 6월에는 동결했다. 다만 올해 말까지 두 차례 추가 인상할 수 있다는 뜻을 강하게 내비쳤다. ‘마침표’가 아닌 ‘쉼표’라는 얘기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연 5.00~5.25%, 한국은 연 3.50%다. 미국 금리가 한국보다 1.75%포인트 높은데, 이런 금리 역전 현상은 자주 발생하는 일이 아닐뿐더러 그 격차도 사상 최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