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를 잘 알고 중국 정치 등의 변화를 면밀히 살펴야 중국의 기침에 한국이 감기 걸리지 않을 것이다.
중국 경제의 부실이 부동산 분야에서 불거질 것이란 예상은 과거에도 많았다. 그런데 미국이 중국에 세계 패권이 넘어가지 않게 공급망까지 봉쇄하면서 악재가 겹쳤다. 경제성장률 목표도 5%대로 내릴 정도로 힘든 형국이다.
우리나라와 중국은 정치 외교적 관계가 헐거워지고 갈등 양상마저 나타난다. 중국에 대한 미래세대의 관심도 떨어지고 있다. 외국어고나 대학 언어계열 학과를 보면 중국어과 선택률이 낮아지고 있는 게 대표적이다.
그럼에도 중국은 한국에 가장 가까운 나라다. 비구이위안 사태가 지속될 경우 우리나라의 실물경제와 금융시장도 적지 않은 영향을 받을 것이다. 중국 경제를 잘 알고 중국 정치 등의 변화를 면밀히 살펴야 중국의 기침에 한국이 감기 걸리지 않을 것이다. 중국의 역사와 문화, 언어에 대한 관심도 지속되는 게 바람직하다. 중국과 뭔가 멀어지려 할 때 중국 쪽에서 자신의 커리어나 전공을 찾아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소동혁 생글기자(양정중 3학년)
![[생글기자 코너] 대입 공정성 해치는 '입시 카르텔'](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802.3.jpg)
![[생글기자 코너] 인형 뽑기 인기, 경제위기 징조일까?](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803.3.jpg)
![[생글기자 코너] 소방대원 '마음 건강' 대책 시급하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801.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