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K라면 60년…이젠 세계로
제85호 주니어 생글생글의 커버 스토리 주제는 라면입니다. 올해는 우리나라에 라면이 출시된 지 6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쌀과 잡곡을 대신할 서민의 대용식으로 개발된 라면은 고급화·다양화를 거쳐 세계로 뻗어나가는 수출 효자 식품이 됐습니다. 즉석라면을 만든 안도 모모후쿠에서 라면을 통해 바라본 한국의 발전상까지 여러 이야기를 재미있는 일러스트와 함께 볼 수 있습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코카콜라의 창업자 아사 캔들러를 소개했습니다...
-
키워드 시사경제
콘서트·테마파크…언제 이렇게 비싸졌어?
미국 아마존에서 일하다가 올 초 정리 해고를 당한 앤절라 웬팅크(48). 그녀는 딸에게 테일러 스위프트의 공연 입장권을 선물해주려다가 가격표를 보고 포기했다. 현재 미국에서 가장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톱스타인 스위프트의 콘서트는 천정부지로 가격이 치솟았다. 액면가 평균이 254달러(약 34만4000원)에 달한다. 이게 다가 아니다. 소비자가 티켓을 구입하기 위해선 ‘티켓 마스터’와 같은 입장권 판매 사이트에 적게는 49...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與世推移 (여세추이)
▶한자풀이 與: 더불 여 世: 인간 세 推: 옮길 추 移: 옮길 이 세상의 변화에 맞춰 변화해가다 시대의 흐름에 융통성 있게 적응함 -<어부사(漁父辭)>한자풀이 중국 전국시대 초(楚)나라에서 한때 삼려대부의 지위까지 올랐던 굴원은 제(齊)와 동맹해 강국인 진(秦)에 대항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정적들의 모함을 받아 좌천되었다. 결국 굴원의 간언을 무시하고 제나라와 단교하며 친진(親秦) 정책을 편 초의 회왕은 장의의 모략에...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모닥불'에 밀려난 '화톳불'
서리가 내리기 시작한다는 ‘상강(霜降, 10월 24일)’이 지나면서 기온이 급격히 떨어졌다. 어느새 ‘입동(立冬, 11월 8일)’을 일주일여 앞두고 있다. 절기상으론 이미 겨울의 문턱에 다가섰다. 날씨가 갑자기 추워지는 이맘때 더 자주 오르내리는 말이 ‘불멍’이다. 타오르는 불꽃을 보면서 아무 생각 없이 멍하게 있는 게 불멍이다. 불멍은 이른바 ‘멍때리기’의 ...
-
시사 이슈 찬반토론
불황에 고물가, 미국은 고금리…한은, 금리 올려야 하나
경제가 나쁘면 정부는 다양한 사업으로 돈을 풀고, 중앙은행은 양적완화로 이런 정책에 보조를 맞춘다. 이때는 금리가 내려간다. 반대로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렸거나 경기과열, 인플레이션이 분명할 경우 중앙은행은 돈을 거둬들인다. 금리인상이 단행되고, 자금시장에서 선제적으로 올라가기도 한다. 한국 경제가 장기 침체 와중에 고물가에 직면해 있다. 전자(불황)로 보면 금리인하가 자연스럽고, 후자(고물가) 관점에선 금리를 올려야 한다. 미국 중앙은행(Fe...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공공재와 공유자원
[문제] 공공재와 공유자원과 관련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막히지 않는 도로는 비경합성을 가지고 있는 재화다. ② 비경합성과 비배제성을 가지고 있는 재화를 사적재라고 한다. ③ 비경합성은 여러 사람이 재화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성질이다. ④ 무임승차는 재화가 비배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⑤ 경합성을 가진 재화가 비배제성을 가지고 있으면, 공유지의 비극이 발생한다. [해설] 공공재는 어떤 경제주체에 ...
-
역사 기타
'짝퉁 제국'이 남긴 건 인종청소와 헬게이트
남의 나라의 의사결정을 대신 해주는 나라를 ‘제국’이라고 부른다. 재미있으라고 지어낸 말이 아니다. 제국을 뜻하는 ‘empire’는 라틴어 동사 ‘imperare’에서 파생한 말로, 원래 의미는 ‘명령하다’ ‘지시하다’다. 그렇다고 제국을 지배와 권리 대행의 폭압적 존재, 영토와 자원에 환장한 약탈자로만 이해해서는 곤란하다. 그런 제국은 ...
-
경제 기타
어려운 나라 돕는 이면엔 국익 확보 경쟁
“아프리카에 한국의 벼 농업 기술과 종자 등을 전수하는 ‘K라이스벨트’ 프로젝트에 코트디부아르와 시에라리온이 참여하기로 했다. 애초 8개국이던 참여국은 10개국으로 늘었다. K라이스벨트는 한국이 통일벼를 아프리카 기후에 맞게 개량한 신품종과 재배 기술을 아프리카에 전수해 쌀 증산을 지원하는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이다.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에 들어가 2027년까지 연 3000만 명이 먹을 수 있는 200만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