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우리말의 비과학적 요소들 ②빚쟁이

    "그는 빚 독촉에 시달리다 결국 집을 빚쟁이에게 넘기고 말았다." "그는 사업에 실패해 빚쟁이가 돼 도망 다니는 신세가 됐다." 흔하지는 않지만 우리말에서 한 단어가 서로 반대되는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 '빚쟁이'가 바로 그런 경우다. '빚쟁이'란 본래 '남에게 돈을 빌려 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다. 첫 문장에 쓰인 '빚쟁이'가 그것이다. 그런데 둘째 문장에 보이는 '빚쟁이'는 좀 다르다. 여기서는 '빚쟁이'가 ...

  • 학습 길잡이 기타

    권호걸의 통합논술 뽀개기 ⑤

    1. 들어가며 지난 시간에 한양대 2008학년도 2차 모의고사 [문제 1]을 살펴보았다. 지난주 지상 강의 끝부분에 한양대 측에서 공개한 예시 답안의 문제점을 지적한 부분이 있다. 지면 사정상 자세한 설명은 하지 못했지만 사실 대학 측에서 공개한 예시 답안도 가끔 잘못된 경우가 있다. 물론 채점을 하는 대학에서 자신들이 공개한 답안이 맞다고 주장하면 그만인 문제이기도 하다. 그러나 논술은 보편적인 '논리'를 근거로 하기 때문에 무조건 ...

  • 교양 기타

    (71) 동양고전의 세계를 찾아서 ①莊子

    사람은 소나 돼지를 먹고, 사슴은 풀을 먹고, 지네는 뱀의 골을 달게 먹고, 솔개와 갈가마귀는 쥐를 맛있게 먹는다. 이 넷 중에서 어느 존재가 '올바른' 맛을 아는가? 장자의 『장자(莊子)』는 방대한 분량에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통독을 하지 않고 한 토막의 짧은 구절만 읽어도 그 철학적 깊이와 문학적 유려함은 깊은 감동을 주기에 많은 이들이 저자인 장자를 '동양사상의 둘도 없을 귀재(鬼才)'라고 손꼽는다. 『장자』는...

  • 진학 길잡이 기타

    2009학년도 대입 준비 어떻게 ①

    2009학년도 대입제도 대변화? 큰 틀은 변하지 않는다 언론보도 맹신하지 말고 참조만 해야…대학별 주요 입시요강은 3~4개월 이후에나 발표 '예비 고3 수험생 학부모 혼란 혼선''교육 쓰나미''사교육비 급증''3불정책 완화''논술 폐지''본고사 부활'…. 요즘 주요 일간지의 사회면 교육 관련 기사들의 헤드라인이다. 당장 수능등급제가 폐지되고 본고사가 부활된다고 하는데, 예비 고3들은 어떻게 대입을 준비해야 할지 벌써부터 막막해진다. ...

  • 학습 길잡이 기타

    17. 신체부위에서 유래된 영어 표현 ②ear, nose, mouth, neck

    'neck and neck'은 왜 '막상막하'라는 의미로 쓰였을까 ⊙ be all ears 이야기를 하다 보면 상대방이 무언가 중요한 말을 해야 하는데 망설이며 우물대는 경우가 있다. 이러면 도대체 무슨 말을 할지 매우 궁금해진다. 이런 경우에 '귀를 기울이다'와 같은 뜻으로 쓰일 수 있는 말이 be ears이다. Go ahead with the story. We are all ears. 어서 그 이야기 계속해봐. 우리 모두 귀 기울...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문장들을 흐름에 맞게 배열해 보세요

    [문제] 순서가 흩어진 다음 문장들을 흐름에 맞게 배열해 보세요. ① 소설의 정신은 성숙한 남성의 원숙함이고, 소설 구조상의 특징은 비연속적 성격, 즉 내면성과 모험의 분리이다. ② 소설은 신에 의해 버림받은 세계의 서사시다. ③ 이러한 말들은 표현만 다를 뿐 결국은 같은 의미다. ④ 소설의 객관성이란, 의미는 결코 현실에 침투할 수 없지만, 그러나 현실 또한 의미가 없으면 아무런 본질도 지니지 않는 무(無)로 붕괴해버리리라는 것을 꿰뚫...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월 21일자

    1. 대통령 인수위원회가 정부조직개편안을 발표했다. 현행 18부4처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①14부2처 ②13부2처 ③14부3처 ④13부3처 2. 다음 중 '온랜딩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지원자금은 은행의 판단에 따라 차등 지원한다. ②차기 정부가 정한 중소기업 금융지원 방식. ③정부자금으로만 재원을 충당한다. ④도덕적 해이(모럴 해저드)를 막을 수 있다. 3. 다음 중 현행 실업자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33)

    18세기 스위스의 천재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고안한 스도쿠(Sudoku)는 가로와 세로 9×9의 상자 안에 1부터 9까지 숫자를 수직·수평은 물론,작은 3×3 상자 안에서도 서로 겹치지 않게 써 넣는 퍼즐게임입니다. 어느 한 곳의 숫자가 틀리면 스도쿠는 실패하게 됩니다. 스도쿠는 푸는 재미는 물론,자신도 모르게 논리적·수학적 지능을 높이는 효과도 있어 세계적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생글생글 독자들의 높은 수준을 감안해 다소 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