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금융 상식 퀴즈
3월 3일자
1. 이번 4월 총선에 100명이 넘는 교수들이 공천을 신청했다. 정치에 뛰어드는 교수를 지칭하는 신조어는 다음 중 무엇인가? ① 폴리테이너 ② 폴리페서 ③ 폴리크라트 ④ 폴리널리스트 2. 다음 중 싱송외교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 뉴욕필하모니 평양 공연 ② 바이올린 외교 ③ 미국·중국 간 문화교류 ④ '성조기여,영원하라' 연주 3. 다음 중 그랜드슬램과 연관이 없는 것은 무엇인가? ① 테니스 ② 아카데미상...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38)
18세기 스위스의 천재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고안한 스도쿠(Sudoku)는 가로와 세로 9×9의 상자 안에 1부터 9까지 숫자를 수직·수평은 물론, 작은 3×3 상자 안에서도 서로 겹치지 않게 써 넣는 퍼즐게임입니다. 어느 한 곳의 숫자가 틀리면 스도쿠는 실패하게 됩니다. 스도쿠는 푸는 재미는 물론, 자신도 모르게 논리적·수학적 지능을 높이는 효과도 있어 세계적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생글생글 독자들의 높은 수준을 감안해 다소 ...
-
커버스토리
안락사, 품위있는 죽음인가 의학적 살인인가
[#1] 1975년 카렌 앤 퀸란은 다이어트 중 음주로 뇌 손상을 입어 식물인간이 됐다. 카렌의 부모는 딸이 품위 있게 죽을 수 있도록 인공호흡기 제거를 요청했으나 담당의사와 병원은 이를 거부했다. 결국 뉴저지주 대법원은 가망 없는 카렌에게 인공호흡기를 거부할 권리가 있다고 판결했다. 카렌은 정작 호흡기를 떼고도 식물인간 상태에서 9년을 더 살다가 1985년 폐렴으로 사망했다. [#2] 테리 윌리스는 1984년 교통사고로 머리를 다쳐 식...
-
경제 기타
철강 등 중간재 사재기 열풍…제2의 물가파동 오나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과 주요 수출국의 금수조치로 관련 제품 가격이 크게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 산업계 곳곳에서 철강 식료품 시멘트 등 중간 생산재의 '사재기'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철강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매점매석 1차 합동단속'에 나섰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철강과 식료품을 중심으로 사재기 현상이 확산될 조짐이다. 오는 4월부터 철광석 수입가격이 65% 인상되는 데다 유연탄값도 급등할 것으로 예고돼 있어 ...
-
경제 기타
FRB, 올해 미국 성장률 하향 조정 外
⊙ FRB, 올해 미국 성장률 하향 조정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올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3~2.0%로,지난해 10월 전망치(1.8~2.5%)보다 0.5%포인트 낮췄다. FRB는 지난 20일 공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주택경기 침체와 신용위기가 경제에 여전히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어 작년 10월 내놨던 올 성장률 전망치를 0.5%포인트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FRB는 반면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은 작년 1...
-
경제 기타
10년만의 정권교체, 의미는 무엇일까
이명박 정부 25일 출범 정권은 정부를 구성하고 이끄는 권한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정권교체는 정권을 주도하는 세력이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선거를 통해 정권을 주도하는 정당이 바뀐다는 의미도 담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같은 대통령 중심제에서는 대통령을 배출한 정당이 바뀔 때 정권교체라고 일컫는다. 예컨대 2002년 16대 대통령 선거에서 노무현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됐지만 김대중 전 대통령과 같은 정당 출신이었기 때문에 정권...
-
커버스토리
인간은 편안한 죽음을 선택할 권리를 갖고 있는가
안락사 찬성론자든, 반대론자든 논거로 드는 것이 인간의 존엄성이다. 반대론자들은 기독교와 칸트 철학의 전통 아래 인간의 존엄성은 인간이란 사실 자체에서 생기며, 인간이 마음대로 다룰 수 있는 게 아니라고 주장한다. 윤리적으론 타당해 보이지만 비용 등 현실적 문제에는 해답이 없다. 반면 찬성론자들은 인간이 인간답게 사는 것이 존엄한 것이며, 인생의 질은 고려하지 않고 양(시간)만 연장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맞선다. 그러나 인위적으로 죽음에...
-
커버스토리
생글기자 지상토론 - 안락사
생명을 정말로 존중한다면 허용해야 찬 영화 '밀리언 달러 베이비'를 보면 주인공 프랭키는 사지가 마비된 채 안락사를 원하는 매기의 마지막 소원을 들어준다. 힐러리 스웽크의 고난했던 삶과 진정한 사랑의 결과란 것을 알게 된 관객들은 누구나 프랭키의 '범법행위'에 공감할 것이다. 이처럼 안락사는 경우에 따라선 누구나 공감하고 필요성을 느끼는 것이기도 하다. 안락사 제도가 존재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환자 스스로가 존엄하게 죽을 자기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