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다산칼럼) 정당정치의 효용성

    ☞한국경제신문 6월5일자 A39면 이번 지방선거의 투표율은 지난번 대선이나 총선에 비해 몹시 낮게 나타났다. 무슨 이유일까? 투표 전에 이미 대세는 한나라당 쪽으로 기울어졌다고 했다. 만일 한 사람이 한나라당 지지자라면 그는 투표를 위해 시간을 낭비하느니 그 시간을 다른 목적으로 쓰려 했을 것이다. 자기의 한 표 없이도 한나라당이 이기는 데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을 테니까. 열린우리당 지지자도 마찬가지다. 자기가 애써 투표장에 나가 열...

  • 진학 길잡이 기타

    2008학년도 연세대학교 논술 시험 예시문 (2) 자연계열

    다음 제시문을 읽고 아래 문제를 논술하시오. (150분.답안지 본문에 본인을 알릴 수 있는 어떠한 표기도 하지 마시오.) [ 도표는 6월 12일자 생글생글 지면 14페이지 참조 ] (가)향후 우리나라는 출산율 저하 및 사망률 감소 등으로 인하여 고령인구의 급속한 증가가 예상된다. 아래에 제시한 도표들은 통계청에서 발표한 국내 인구 변화와 관련한 자료들이다. <도표1>은 2004년까지의 총 출생아 수 및 합계출산율 자료이며 합...

  • 52. 논술의 기본 형태이지만 다양한 질문 가능

    논술에서 특정한 사안이나 주어진 읽기 자료에 대하여 說明을 요구하는 形態의 문제 類型이다. 이때 설명의 대상이 되는 사안은 구체적인 事物일 수도 있고 개념이나 의견일 수도 있다. 논술에서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생각할 수 있지만 문제 상황의 설정에 따라 매우 높은 난이도를 지닐 수도 있고 다양한 방식의 질문이 가능한 문제 유형이다. 이 유형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므로,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1) 단순 설명형 설명형 논술의 가장 기...

  • 52. 어림수의 허실

    대화할때 약간의 수치곁들이면 "아! 그렇구나" 대화를 할 때 약간의 수치를 곁들이면 그 내용을 빠삭하게 알고 하는 말처럼 들린다. 두서없는 주장이라도 그 속에 몇 개의 수치를 인용하면 사람들은 쉽게 수긍을 한다. 이처럼 숫자는 과학적이라는 이미지와 설득력있는 힘을 갖기 때문에 노련한 말꾼들은 필요한 경우에 숫자를 갖다 붙인다. 그러나 그런 숫자들은 대부분 어떤 근거도 없는 어림수인 경우가 많다. 자기의 주장을 인상적으로 보이게 하거나 ...

  • 경제 기타

    영어교육 이제 바뀔때도 되지 않았나요?

    "Could you give me a hand?" "Sorry. Sorry. I can't English!!!" 거리에서 외국인이 도움을 청해올 때 자신있게 도와준다고 나설 수 있는 학생은 얼마나 될까? 그저 '쏘리'를 연발하며 꽁무니를 빼는 게 우리 모습 아닐까? 영어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떼려고 해도 뗄 수 없는 부분이 됐다. 75개국 7억5000만명이 영어를 모국어나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 웬만큼 의사 소통이 ...

  • 경제 기타

    '서울 디지털포럼' 유감

    지난달 24일부터 26일까지 서울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는 3일 동안 서울 국제 디지털 포럼이 열렸다. 국내 굴지의 방송사가 주최한 이번 행사에는 세계적인 대기업 최고경영자(CEO)들과 국내외 정·재계 유명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기업들로부터 협찬받은 막대한 예산이 투입돼 언론에도 수차례 보도가 나는 등 겉으로 보기에는 성공리에 진행이 이뤄졌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미숙하고 비효율적인 행사 진행에서 오는 문제점들이 산재해 있었다. 행사...

  • 경제 기타

    지방선거, 투표율 51.3% 이대로 좋은가… 정치무관심 갈수록 심해

    지난달 31일 치러진 지방선거가 끝나고 당선자들이 발표됐다. 예상대로 야당의 압승,여당의 완패였다. 광역단체장 16명 중 12명,자그마치 75%가 한나라당의 승리로 나타났다. 나머지 비례대표나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도 역시 한나라당의 싹쓸이였다. 2년 전 지방선거에 비해 투표율이 다소 오르긴 했지만 이번에도 평균 투표율은 51.3%라는 저조함을 면치 못했다. 문제는 이같이 저조한 투표율로 뽑힌 당선자들을 과연 국민의 대표자라 할 ...

  • 교양 기타

    2006학년도 서울대 수시 특기자 전형문제 (44)

    이혼 늘어난 현대사회 … 행복은 무엇인가? * 연령별 인구 및 이혼율의 추이에 반영된 사회변화를 고려해 볼 때, 이 사회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행복해졌다고 할수 있는가? 제시문을 비판적으로 참고하여 논술하시오. [제시문 A] 인류는 苦痛과 快樂이라는 자연의 두 主權者에게 지배당해 왔다. 지금 무엇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지 지시하고,또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은 바로 그 고통과 쾌락인 것이다. 한편으로는 善惡의 기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