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이종수 현대건설 사장
"자신의 '성공' 잠재력 믿고 끝까지 도전하라" "누구나 자신의 능력을 100% 이상 발휘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어요. 최선을 다 하면 이루지 못할 게 없다는 얘기죠. '열정과 도전의식' 이것 만큼은 반드시 가져야 합니다." 이종수 현대건설 사장은 올해로 회사에 입사한 지 꼭 30년째가 된다. 경력사원으로 입사해 해외현장과 기획ㆍ관리ㆍ자금분야를 두루 거쳐 2006년 3월부터 국내 최대 건설회사인 현대건설 최고 사령탑(대표이사 사장)에 ...
-
경제 기타
특수고용직보호법 실효성 있을까요?
법안 취지는 좋지만 노동자에 도움될지 의문 시장서 통하지 않는 포퓰리즘 정책 그만둬야 ☞한국경제신문 6월16일자 근로자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보험설계사, 학습지 교사 등 특수고용직 종사자들은 앞으로 노동조합이 아닌 단체를 결성해 사업주와 계약 조건 등을 협의할 수 있게 된다. 또 사업주의 지휘, 감독을 받는 등 일정 조건이 충족되는 일부 골프장의 캐디들은 근로자로 간주돼 단결권과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 등 노동 3권을 보장받게 된다. 그...
-
경제 기타
주식시장은 어떻게 운영될까
주식을 사고 파는 곳이 증권거래소다. 우리나라는 증권선물거래소가 유일한 거래소이다. 미국이나 중국,인도 등은 복수의 거래소를 두고 있다. 우리나라 증권선물거래소 안에는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선물시장이 있다. 이들 시장은 상장 종목(주식)이나 거래되는 상품이 각각 다르다. 주식을 사고 팔도록 증권선물거래소에 개설된 주식시장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이다. 국내 주식시장은 언제 열리고 거래는 어떻게 이뤄지는지 알아보자. ◆주식시장은 언제 열리...
-
(54) 국어와 직업
언어감각 뛰어나다면 카피라이터 아나운서 도전을!!! 중고등학생들은 국어 공부에 많은 신경을 쓰고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그런데 이렇게 국어를 공부하여 어디에 활용할 것인가 궁금증을 한번씩은 가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한 방송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운데 우리말을 얼마나 올바로 알고 있는지를 주제로 한 것이 있는데 인기가 높은 것 같다.요즈음 우리나라 사회 전반적으로 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그 단적인 예로 최근 몇 년간 국...
-
경제 기타
글쟁이, 멋쟁이! 3기 생글기자 23명 선발
취재 교육 받은후 7월말부터 활동 생글생글은 7월 말부터 활동할 3기 생글기자 23명을 선발했다. 이번 3기 생글기자 모집에는 전국 100여개 고등학교에서 모두 294명이 지원,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경쟁률은 약 13 대 1에 달했다. 지난해 2기 생글기자 모집 때 지원자 220명 중 22명을 선발,10 대 1의 경쟁률을 보였던 데 비해 월등히 높아진 것이다. 이번 3기 생글기자 선발에는 전국 각지에서 많은 학생들이 지원해 생글의 전국적인 지...
-
경제 기타
3기 생글기자를 환영하며…즐겁게 최선 다하는 모습 보이길..
1기 선배들의 응원 메시지를 받으며 생글생글에 첫 기사를 작성하던 설렘이 채 가시기도 전에 3기 생글기자들을 맞이하는 기분이 참으로 묘하다. 2기들의 지난 1년간 활동에 대한 아쉬움과 격려의 마음이 겹쳐서 그런 것일까. 아니면 '새' 생글기자들이 생각보다 너무 빨리 찾아 와 놀란 것일까. 학생의 눈으로 기사를 쓰는 일은 쉽고도 어렵다. 자신의 목소리로 객관성을 유지하며 학생들을 대변하면 그만이지만 조금만 정신을 놓으면 어디선가 주워들은 논조로...
-
경제 기타
89년생 고3들은 허탈하다
1989년생,고3들은 요즘 허탈하다. 학기말고사와 수능이 초읽기에 들어갔지만,변덕스럽게 바뀌는 입시정책에 지칠 대로 지쳐 있다. 내신 반영비율을 높이라고 간섭하고,몇달 전에 확정된 입시안을 뒤늦게 바꾸라고 교육부가 대학들에 윽박지르는 바람에 고3들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참여정부는 출범 이후 공교육 정상화를 끊임없이 외쳐왔다. 대입에서 내신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면 공교육이 정상화되리라는 신념 하나로 2004년에 내신 비중을 강화한 ...
-
4. 도대체 창의적 답안이 뭐지?
서울대를 비롯한 여러 대학의 채점 기준에서 창의력이 가장 큰 점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서울대 채점 기준에 따르면 창의력은 30~40%를 차지한다. 도대체 창의력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여기에 대한 가장 보편적인 대답은 '창의적 발상'과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이라고 한다. 둘 중,특히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하다고 한다. 이 말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 가진 지식이나 정보를 최대한 활용하고 응용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