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학습 길잡이 기타
19. 민들레 홀씨 … 민들레에는 홀씨가 없다
10여년 전 한 침대회사에서 만든 광고."침대는 가구가 아닙니다. 과학입니다." 한국광고대상을 받기도 한 이 광고 문구는 광고로서는 성공했을지 몰라도 일반 언어생활에 끼친 부작용도 컸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초등학생들이 시험 때 '다음 중 가구가 아닌 것은?'이란 질문에 줄줄이 '침대'를 골랐다는 웃지 못할 얘기다. 대중매체 못지 않게 노랫말도 언중의 말글살이에 큰 영향을 미친다. "달빛 부서지는 강둑에 홀로 앉아 있네~ 소리 없이...
-
학습 길잡이 기타
(시론) 플리바게닝, 합법과 불법사이
하태훈 < 고려대 교수ㆍ법학 > 요즈음 우리는 전문가에게도 어려운 법률용어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다. '공판중심주의'가 한동안 화두(話頭)이더니 이제는 '플리바게닝(Plea Bargaining)'이다. 유죄협상제도라고도 불리는 플리바게닝은 피의자가 유죄자백을 하는 대가로 검사가 불기소 또는 가벼운 죄명으로 기소하거나 낮은 구형을 약속하는 것이다. 피해액이 사상 최고라는 제이유그룹 사건 수사과정에서 검사가 피의자에게 거짓 진술을 강...
-
학습 길잡이 기타
동짓달 · 섣달 그리고 정월
지난 18일은 음력으로 1월1일,설이었다. '설'이란 새해의 첫날을 명절로 이르는 말이다. 새해 첫날을 나타내는 말로는 한자로 '으뜸 원(元)'이나 '머리 수(首)''처음 초(初)'자를 써서 '원단(元旦:설날 아침),원일(元日),신원(新元),세수(歲首),정초(正初)'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도 설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말은 '정월 초하루'일 것이다. '정월(正月)'은 음력으로 한 해의 첫째 달이다. 그 첫째 달 첫날을 '정월 ...
-
진학 길잡이 기타
(3)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
1.선생님의 역할 흔히 교과목을 넘나드는 통합수업에 어려움을 겪는 쪽은 학생보다는 선생님들이라고 한다. 학생들은 하루에도 여러 과목을 공부해야만 하기 때문에 이미 과목 통합적 환경에 노출돼 있는 반면,선생님들은 본인이 일부러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이런 문제의식은 그 자체가 토론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오해에서 생기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선생님은 배경 지식은 물론 예시문제에 대한 접근법 제시,정확한 사고의 전개를 ...
-
진학 길잡이 기타
서울대 2008학년도 모의 논술 해설
◆서울대 논술 유형-방향은 정해졌다 지난 22일 실시된 서울대 모의 논술고사는 인문계의 경우 지난해 예시문항들보다 문제로서의 완결성이 다소 보완되었다고 볼 수 있다. 수험생들이 전보다 편하게 느낄 수 있게 구성되었다는 점도 특징이다. 지난해 발표된 1,2차 예시문항이 한 개의 대단히 긴 제시문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묻는 등 형태 면에서의 실험성이 그 특징이었던 데 반해,이번 모의고사에서는 교과서 제시문을 통해 논리적 상상력과 비판력 등을 ...
-
경제 기타
"지도자의 덕목 미리 배웁니다"
고등학교 학생회장들의 모임인 대한민국고등학교총학생회(대고총)가 5대 회장단을 구성하고 본격 활동에 나섰다. 대고총은 고교 학생회장들의 자발적인 의지에 의해 학생 참여, 학업증진, 정의사회의 3대 학생운동과 정의, 정직, 성실, 예의를 지키는 4대 학생정신을 통해 학생 권익증진을 도모하고 사회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2002년 10월 29일 설립한 순수 학생단체이다. 대고총은 지난 2월 14~16일 명동 유스호스텔과 국회회관에서 300여명의 회...
-
경제 기타
(기자수첩) 공소시효 필요한가
최근 어린이 유괴사건을 다룬 영화 '그놈 목소리'가 개봉되면서 공소시효 폐지 주장이 다시 강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배경이 된 사건은 1991년 서울 압구정동에서 유괴된 9살 어린이 이형호군이 44일 만에 한강 배수로에서 시체로 발견된 사건으로 개구리소년 실종 사건,화성 연쇄 살인 사건과 함께 3대 영구 미제 사건으로 알려져 있다. 결국 작년 1월 29일 15년의 공소시효는 만료되었고, 사건은 영원한 미궁 속으로 빠졌다. 공소시효란 일정한 ...
-
경제 기타
특성화 고교에 학생 몰리는데...
'특성화 고등학교'에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몰려 들고 있다. 특성화고는 다양하고 특화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학교로 기존의 실업계 고등학교가 전환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특성화고는 학생 개개인의 발달 과정을 살피고 특성을 개발하는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가능케 한다. 인지도가 높은 서울 선린인터넷고(구 선린상고)는 높아진 입학생들의 내신 성적에 2.96 대 1의 경쟁률을 기록, 특성화고의 성공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선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