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늘어도 줄어도…지구촌 화두 '인구의 딜레마'

    토머스 맬서스(1766~1834)는 《인구론》(1798년)에서 인류의 재앙을 경고했다. 생존에 필수인 식량 증가엔 한계가 있지만 인구는 빠르게 늘어나니 인류의 기근이 불가피하다는 논리였다. 그는 산술급수(식량), 기하급수(인구)란 용어까지 써가며 재앙의 필연성을 강조했다. 그의 예언은 빗나갔다. 하기야 ‘우울한 전망’이 어긋나는 건 인류에 축복이다. 21세기 지구촌엔 식량이 넉넉하다. 다만 분배의 지혜가 부족할 뿐이다. 인...

  • 경제 기타

    특목고·자사고 입시설명회 25~26일 개최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겨울방학이 끝나고 학년을 바꿔야 하는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중·고교 진학이 코앞에 다가왔습니다. 이런 중차대한 시기를 맞아 한국경제신문과 교육업체인 플로우교육이 ‘2016 특목고·자사고 입학담당관 초청 입시설명회’를 엽니다. 이번 설명회는 급변하는 입시환경 속에서 정확한 정보와 전략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특목고와 자사고에서 근무하고 있...

  • 경제 기타

    한경 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2월 28일 동국대서 만나요

    한국경제신문이 주최하는 ‘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가 2월28일 서울 동국대(경영대학 L101)에서 열린다. 기업인, 최고경영자(CEO), 경제·경영학자 등을 꿈꾸는 고교생을 위한 고교 경제 캠프는 참가자들의 만족도가 높아 같은 학교에서 여러 명이 참가하는 등 성황을 이루고 있다. 올 들어 처음 열리는 2월 고교생 경제 캠프는 올해 입학하는 SKY대학 새내기 대학생들이 멘토로 대거 나서는 점이 특징이다. 박종호...

  • 커버스토리

    72억 지구촌 인구…대륙별 분포는

    인구는 일정한 지역(국가) 내에 있는 주민 전부를 포괄하는 의미다. 인구는 국민·인종·민족과 다른 개념이다. 시대와 나라에 따라 구성·제도·형태 등이 끊임없이 변화한다. 인구 증감이나 이동 또는 인구 구조에 의해 변화의 성격을 알 수 있다. 인구 증감은 출생과 사망의 차에 의한 자연증감과 전입·전출의 차에 의한 사회증감의 합으로 나타난다. 작년 1월1일 독일세계인구재단(DSW)은 ...

  • 커버스토리

    '저출산' 늪에 빠진 한국…약해지는 '성장 동력'

    인구는 사람 숫자 이상을 의미한다. 인구(사람)는 생산 투자 소비, 즉 경제 3대 주체의 핵심이다. 사람은 생산자이면서 소비자, 투자자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대표적 저출산국가다. 인구 증가 속도가 너무 느리고, 몇 년 후부터는 오히려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다. 인구가 줄어든다는 건 소비자가 감소하고 생산자 역시 줄어든다는 뜻이다. 경제의 역동성이 그만큼 떨어질 수밖에 없다. ‘저출산의 늪’에 빠진 대한민국의 미래가 불안한 ...

  • 커버스토리

    '인구폭발=종말'을 깨는 두 권의 책

    ‘인구폭발=인류멸망’이라는 비관적 등식에 대해 의문을 가진다면 두 권의 책을 읽어야 한다. 고교에서 읽기 어렵다면 대학에 가선 반드시 읽기를 바란다. 첫 번째 책은 ‘회의적 환경주의자’다. 저자는 한때 그린피스라는 공격적인 환경단체에서 일하다 자기가 알았던 환경문제가 과장됐다는 점을 깨달은 비요른 롬보르다. 최근 그는 미국 월스트리트 신문에 기고를 했다. 기후재앙이 과장됐고, 이로 인해 정책이 잘못 세...

  • 커버스토리

    '인구 폭발=인류 종말'…멜서스의 인구론은 틀렸다

    인구폭발, 인구절벽(급감)은 공통적으로 종말론 냄새를 풍긴다.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해도, 급감해도 인류가 위기를 맞는다는 걱정이다. 하지만 이것은 ‘적응-변이-진화 DNA’를 가진 인간의 본질을 무시한 허무맹랑 그 자체다. 현재의 인구는 토머스 맬서스(1766~1834)가 ‘인구론’(1789)에서 경고했던 적정 인구 수에 비하면 지구를 수차례 멸망시키고도 남을 규모다. 현재 인류는 어떤 상태인가. 역...

  • 교양 기타

    경제위기는 시장실패가 아닌 정부 개입에서 발생한다

    ‘자본주의는 어떻게 우리를 구할 것인가’의 저자 스티브 포브스는 격주간 경제잡지인 포브스(Forbes)의 발행인이다. 이 잡지는 미국 부자 명단(The Forbes 400)과 세계 백만장자 명단(The World’s Billionaires List)을 발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 책에서 스티븐 포브스는 공동저자인 엘리자베스 아메스와 함께 민주자본주의(democratic capitalism)의 원칙들을 잘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