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숫자로 보는 '도시국가' 싱가포르… 면적 692㎢·인구 556만명 1인당 GDP 5만6113달러
싱가포르는 과거에 ‘테마섹(Temasek)’으로 불렸다. 열대우림 기후였지만 토지는 척박해 농사를 짓기 어려웠던 곳이다. 일찍부터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를 사이에 둔 지리적 이점을 이용해 중계무역이 활발했다. 싱가포르라는 국명은 수마트라의 왕자가 테마섹에서 사자를 잡았다고 해서 붙여진 사자의 도시 ‘싱가푸라’에서 유래한다. 싱가포르 국토 면적은 692㎢(세계 192위)로 서울(605㎢)보다 조금 더 ...
-
커버스토리
싱가포르 성공 방정식…엄격한 사회규율속에 경제적 자유 최대보장
‘싱가포르의 국부’ 리콴유가 설계하고 만든 이 작은 도시국가의 성공방정식은 무엇일까. 나라가 작아 해법이 간단해 보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가장 작은 수식인데도 300여년 동안 풀리지 않았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처럼 다가온다. 서울 면적보다 조금 더 크지만, 서울 인구의 절반밖에 안되는 작은 나라 싱가포르.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 아래에서 10년 가까이 허덕이는 한국에 5만6000달러를 훌쩍 ...
-
커버스토리
법치·강력한 리더십…가난한 어촌을 强小國으로 만든 '거인'
지난 23일 타계한 리콴유(李光耀) 전 싱가포르 총리(92)는 강력한 경제개발 정책으로 작지만 강하고 살사는 싱가포르를 만든 인물로 평가받는다. 시장에 기반한 경제모델을 추진하면서도 서구식 자유민주주의가 아닌 법치와 강력한 리더십에 바탕한 ‘아시아적 발전모델’을 강조한 것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정적 탄압, 지나친 통제 등으로 ‘독재자’라는 비판도 받았다. 그가 추구한 ‘아시아적 가치&rsqu...
-
경제 기타
제22회 한국청소년 디자인 전람회 출품작 모집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하는 ‘제22회 한국 청소년 디자인전람회’에서 전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출품작을 모집한다. 이번 전람회는 미래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에게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창의력과 재능을 겸비한 디자인 인재를 조기에 발굴, 차세대 디자인 스타로 육성하기 위해 열리는 공모전으로 올해로 22회째를 맞이한다. 고등부는 5월4일부터 5월13일까지, 초·중등부는 5월26일부터 ...
-
경제 기타
중학·고교시절의 꿈…'생글기자' 뽑습니다
20만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드디어 ‘생글기자 선발시즌 11’이 돌아왔습니다. 그동안 전국에서 많은 학생과 학부모, 교사들이 문의했습니다. “생글기자 언제 선발하나요.” 생글생글은 독자 여러분의 관심에 맞춰 예년보다 앞당겨 ‘제11기 고교 생글·4기 중학 생글기자’ 100명 선발 일정을 확정했습니다. 고교생 70명, 중학생 30명입니다. 이번 기자 선발은...
-
경제 기타
'건국 1세대' 송인상 전 재무장관 별세
재무부 장관을 지낸 경제계 원로 회남(淮南) 송인상 한국능률협회 명예회장이 지난 22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101세. 강원 회양 출신으로 선린상업학교와 경성고등상업학교(서울대 상대 전신)를 졸업한 송 명예회장은 한국 경제 근대화의 선도자이자 한국 경제외교의 산증인이다. 한국은행 부총재를 거쳐 이승만 정부 시절 부흥부 장관과 재무부 장관을, 박정희 정부에서는 초대 수출입은행장 등을 지냈다. 송 명예회장은 1950년대 산업 태동기 이승만 정...
-
교양 기타
"정부를 통해 평등을 달성하려 말라…선택할 자유를 파괴하게 될 것이다"
밀턴 프리드먼이 쓴 ‘선택할 자유’는 “정부가 모든 문제 해결의 중심이라고 믿는 정부개입주의는 맹신 이며 잘못된 것”임을 밝힌다. ‘선택할 자유’는 통제를 앞세운 정부가 어떻게 잘못된 결과를 가져오는지, 소비자의 선택을 제한하는 것이 얼마나 잘못된 일인지를 알려준다. 이 업적으로 밀턴 프리드먼은 1976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다.세계 경제는 1930년대부터 이어진 정부개입주의로 인...
-
경제 기타
무상급식 중단은 잘한 일인가요
경상남도가 무상급식 예산 지원을 중단했다. 새누리당 소속인 홍준표 경남지사는 예산을 좀 더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써야 한다며 지방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무상급식 중단을 선언했다. 그는 학교는 밥 먹으러 가는 곳이 아니라 공부하러 가는 곳이라며 서민 가정 아이들의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해당예산을 더 쓰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 야권은 물론 새누리당 내에서조차 반대 목소리가 없지 않다. 여론 역시 찬성과 반대로 극명하게 나뉘어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