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글기자
플라스틱 쓰레기, 안 쓰는 게 정답이다!
세계 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수입하던 중국이 쓰레기 수입을 차츰 중단하면서 세계는 쓰레기 처리 문제로 골치를 앓게 됐다. 그 가운데서 가장 문제가 된 게 플라스틱 쓰레기다. 프란스 팀머만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부원장은 일회용 플라스틱을 두고 이렇게 말했다. ‘만드는 데 5초, 사용하는 데 5분, 분해되는 게 500년!’ 900년을 살아남은 도깨비 ‘공유’만큼 질긴 플라스틱 쓰레기는 전 세계에서 한 해 동...
-
생글기자
Affirmative Action은 과연 옳은 정책일까?
현 21세기에 가장 다양한 인종이 모여 사는 나라는 어디일까? 이 질문을 들으면 누구나 ‘미국’이 떠오를 것이다. 메이플라워호가 닻을 올린 이래로 다양한 인종이 미국에 이민을 갔다. 이런 ‘인종의 용광로’ 미국에서도 인종차별 문제가 처음에는 심했지만 다양한 사람들의 노력으로 차별이 차츰 수그러들었다. 그런데 아시아계가 미국 대학 입학에서 인종차별을 당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Affir...
-
생글기자
어린이들 보는 TV 프로그램은 심의 강화해야
최근 신문에서 봤던 일화이다. 4살짜리 친구 아들이 ‘싫다’라는 의사를 표현할 때 엄마의 목을 조르는 시늉을 해서 깜짝 놀라 왜 저러냐고 물어봤더니, 텔레비전 만화에서 본 것을 그대로 따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다. 실제로 어린이들이 보는 많은 프로그램에서 폭력적인 장면이 꽤 나오고 있고, 어린이들이 이를 모방하는 행위는 현재까지 계속해서 문제가 되고 있다. 주 시청자가 성인인 프로그램과 달리 주 시청자가 어린이인 프로...
-
생글기자
Rebutting on the ambiguous theory called 'the ultimatum game'
William Witt once said “Whatever the subject is, if the word, curiosity is triggered, then catch that moment”. The maxim popped on my head while I was reading my Korean textbook at school. The topic was about ‘The Ultimatum’ w...
-
생글기자
대통령만 바뀌면 따라 바뀌는 교육정책들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은 현재 매우 당황스러운 교육정책을 받아들이고 있다. 2020학년도 수능에선 학생부종합전형 비중이 줄어들고 수능으로 대학을 가는 정시 비중이 늘어난다고 한다. 연세대는 2020학년도에 정시로 뽑는 학생을 1011명에서 1136명으로 늘린다고 발표했다. 학생부종합전형은 사교육을 많이 받는 학생이 좋은 성과를 얻는다고 하는 금수저 전형이라고 불리고, 내신 성적을 잘 못받은 학생의 경우 수능으로 만회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
생글기자
범죄자의 신상은 어디까지 공개해야 하나
지금까지 대한민국에서는 일부 흉악 범죄 피의자의 신상을 공개한 적이 있다. 이처럼 범죄자의 신상을 공개하는 것은 옳은 일일까? 혹은 나중에 무죄 판결을 받을지도 모르는 피의자의 인권 침해일까? 이 문제에 대한 사람들의 주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현재 증거가 명백한 흉악 범죄자에 한해서는 범죄자 신상 공개 조건에 따라 공익적 목적에서만 신상을 공개하고 있다. 범죄자의 신상 공개는 공익적 차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흉악범의...
-
생글기자
남북한에 놓인 갈등의 벽이 허물어지기를
현재 남한과 북한은 전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국가이다. 1953년에 남북은 6·25 휴전 선언을 하였고 현재까지 남한과 북한 사이의 긴장감은 계속되고 있다. 5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서로 다른 사회사상과 통치체제 속에서 남한과 북한은 점점 멀어져 갔다. 어렸을 때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라는 노래를 배웠던 것도 기억이 나고 북한을 한민족이라고 생각하면서 통일은 꼭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왔다. 하지만 점점 세월이 지나가면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
생글기자
한자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들
기차역 가판대에 놓여 있는 다양한 신문을 한번 흘깃 쳐다보자. 몇몇 신문은 우리가 바로 읽을 수 있는 한글로만 적혀져 있다. 그런데 몇몇 신문에는 한자로 표기된 단어들이 있다. 굳이 한글로 쓰면 될 것을 왜 한자를 쓰는 것일까? 더 나아가, 우리가 굳이 한자를 배워야만 할까? 이 글에서는 한자를 배워야 하는 이유, 그리고 배우지 않아도 되는 이유를 다루어 보고자 한다. 한자를 배우지 않아도 되는 이유는 꽤 많다. 일단 한글로도 단어들을 전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