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으로 보는 세상
“시험 잘 보게 해주세요”…어머니들의 수능 기도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여드레 남겨둔 지난 9일 부산 홍법사에서 어머니들이 수능을 앞둔 자녀들을 위해 정성껏 기도하고 있다. 뉴스1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효종과 서인들의 실천 의지에 의구심 생기는 북벌론 국론 통일에는 효과적 수단…추후 나선정벌로 연결돼
효종의 ‘북벌론’은 비록 꿈이었을지라도 우리에게 위안을 준다. 이성계는 1388년 음력 5월 하순, 압록강가에서 말머리를 돌렸다. 그가 탄 말의 눈빛과 꼬리짓, 울음소리는 어땠을까. 이후 이종무가 1419년 잠시 대마도에 발을 디뎠고, 세종 때 김종서와 최윤덕은 멀리서 그림자만 봤을 뿐이다. 이후 조선은 ‘남정북벌’을 꿈꾼 적은 없다. 한정된 인식과 무능함, 현실에 안주하는 습성 때문이었다. 남한산...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불만 가득한 남자의 어쩐지 설득되는 이야기
우리 시대 최고의 작품이라고 평가받는 <콘트라바스>는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출세작이다. <향수> <좀머씨 이야기>를 펴낸 세계적인 작가 쥐스킨트도 이 작품을 내기 전에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는 무명작가였다. 1984년 스위스에서 <콘트라바스>를 발표한 뒤 유명 작가 대열에 올랐으며 지금까지 독일어권에서 가장 자주 무대에 올려지는 희곡으로 사랑받고 있다. 명계남, 박상원 같은 배우가 열연을 펼쳐 우리...
-
키워드 시사경제
누군가는 덜 받아야 한다면…나? 내 자녀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연금개혁에 다시 시동을 걸었다. 프랑스인이 연금을 받기 시작하는 나이를 현행 62세에서 2031년 65세로 높이는 게 핵심이다. 의회에서 법이 통과돼야 가능한데, 야당과 노동조합이 반대하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마크롱 대통령은 “우리가 오래 살기 때문에 일도 오래 할 수밖에 없다”며 법안 통과에 협조를 당부했다. 그는 3년 전 연금개혁을 추진하다가 전국적 저항을 극복하지 못하고 논의를 중단...
-
과학과 놀자
유성생식은 유전적 다양성 확보로 생존확률 높여
1859년, 다윈은 <종의 기원>을 발간해 '자연선택'을 세상에 소개하며 유럽 사회에 엄청난 충격을 줬다. 인간이 침팬지와 비슷한 영장류 조상으로부터 진화했다는 그의 주장은 당시 유럽 사회의 세계관과 윤리관을 뒤엎는 것이었다. 다윈의 자연선택론은 동물 중 어떤 개체는 살아남아 자신의 유전자를 대물림하고, 어떤 개체는 자손을 남기지 못하고 죽는지에 대해 비교적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새는 암컷...
-
디지털 이코노미
효율성 높은 반도체산업, 회복성 낮은 이유는?
효율성과 회복성은 상충관계다. 효율성을 추구할수록 회복성이 떨어진다는 의미다. 카카오의 데이터센터 화재로 일상이 멈췄던 사건도 같은 맥락이다. 백업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반복 및 중복으로 비효율적인 일이다. 추가 비용을 발생시키고, 운영 효율성을 떨어뜨리며, 순익을 갉아먹는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더딘 회복으로 이어지는 이유다. 비단 카카오 사태만이 아니다. 다양한 측면에서 효율성과 회복성의 상충을 찾아볼 수 있다. 반도체 산업도 그중 하...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초호황기 102층 설계…대공황 여파로 '공실' 고통
1920년대 미국 경제는 장밋빛이었다. 1차 세계대전 당시 전시체제로 운영되던 경제가 정상화되면서 내수 소비가 급증했다. 1920년대 미국 공업생산은 약 90% 증가했다. 소비자의 구매력이 커지면서 자동차와 가전제품 같은 내구 소비재 소비가 늘었다. 인구는 꾸준히 늘어난 반면 물가는 안정됐다. 1920년대에 사치품이었던 자동차는 범용제품이 됐다. 1914년 자동차 생산은 126만 대 수준이었지만 1929년이 되자 미국 자동차 업체들은 560만...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이태원 충격'…또 제기된 '국가 무한책임론', 타당한 것인가
상상도 못한 ‘이태원 참사’로 많은 국민이 충격과 슬픔에 빠졌다. 이런 초대형 사고나 큰 재난이 발생할 때면 불거지곤 하는 것이 ‘국가 책임론’이다. 국가의 ‘무한책임론’까지 나온다. 참사나 재앙적 사고에 대한 피해 수습과 더불어 나라가 경제적 보상을 충분히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국가 배상론이다. 하지만 유무형의 배상에 대한 책임을 물으려면 법적으로 어떤 부분이 잘못됐고, 무엇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