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K컬처와 마셜아츠의 선봉 태권도, 그 시작과 성공

    <태권, 그 무극의 길>은 ‘2022 무예소설문학상 대상 수상작’이다. 그동안 나온 무예 소설은 역사적 전쟁이나 무사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됐다. 이 소설은 우리나라 국기인 태권도의 태동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과정을 현대 인물 이준구를 중심으로 펼쳤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이충호 작가는 무예를 ‘자연의 이치를 배우고 그것을 이용하는 방식’이라고 정의했다. 사료를 발굴해 한 줄 한 줄 역사서를 ...

  • 숫자로 읽는 세상

    반도체 수출, 14년 만에 30%대 감소

    무역수지에 비상이 걸렸다. 올 들어 20일 만에 무역수지 적자가 100억달러를 넘어서면서다. 한국의 간판 상품인 반도체 수출이 14년 만에 30% 넘게 급감한 데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국제 에너지 가격도 고공행진하고 있어 당분간 무역수지 개선이 쉽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반도체 수출 급감에 무역수지 ‘휘청’ 24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무역수지는 102억63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 과학과 놀자

    한강이 얼었어도 결빙으로 보지 않는 이유는?

    2022년 크리스마스는 많이 추웠다. 23일, 24일 서울 하루 최저기온이 영하 13도보다 낮았다. 한강이 일부 얼어 있었는데, 기상청에서는 25일에야 올겨울 처음으로 한강이 결빙됐다고 발표했다. 2021년 크리스마스에도 25일은 영하 14도, 26일은 영하 15도보다 낮았고, 역시 한강은 일부 얼어 있었다. 그런데 2022년 3월 한강이 2년 만에 또다시 얼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한강이 얼었다는 기준은 무엇일까. 결론은 기상청이 정한 감시구...

  • 커버스토리

    기술 한계는 어디까지? 상상 초월 'CES 2023'

    인류는 지금 ‘제2의 태양’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태양 만들기에 성공하면 인류는 석유, 가스, 석탄과 같은 화석 에너지에 집착하지 않아도 됩니다. 태양은 핵융합을 통해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생산하는데요. 지구에서 태양을 만들려면, 즉 핵융합이 일어나도록 하려면 1억 도 이상의 초고온 상태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답니다. 진전은 있습니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은 30초 동안 1억 도를 유지하는 기술을 ...

  • 숫자로 읽는 세상

    "美경제 골디락스 신호" vs "침체 불가피"

    미국 월가에서 ‘골디락스(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은 이상적인 경제 상황)’ 논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발단은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고용지표였다. 신규 고용이 예상보다 늘어난 반면 임금인상률은 전망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반론도 만만치 않다. 절대적인 기준으로 물가는 높은 수준인 데다 쉽게 떨어지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다. 이에 따라 미 중앙은행(Fed)이 금리를 높은 수준으로 오랫동안 유지하면 경기 침체로...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짧지만 심오하게 파고드는 시로 풍성해지는 마음

    <시를 읽는 오후> 작가의 말은 ‘오랫동안 시를 잊고 살았다. 내가 시를 놓을 무렵에, 시가 나를 불렀다’로 시작한다. 바쁘게 지내다 보면 시인도 시를 잊는다지만 문득 ‘시를 읽어야 하는데…’라는 조바심이 들 때가 있다. 짧고 명료한 글로 복잡한 마음을 다스리면서 새롭게 전열을 가다듬고 싶기 때문이다. 최영미 시인은 ‘생의 길목에서 만난 마흔네 편의 시’라...

  • 교양 기타

    함민복 시인을 울린 우편배달부 아저씨

    우표 함민복 판셈하고 고향 떠나던 날 마음 무거워 버스는 빨리 오지 않고 집으로 향하는 길만 자꾸 눈에서 흘러내려 두부처럼 마음 눌리고 있을 때 다가온 우편배달부 아저씨 또 무슨 빚 때문일까 턱, 숨 막힌 날 다방으로 데려가 차 한 잔 시켜주고 우리가 하는 일에도 기쁘고 슬픈 일이 있다며 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어린 나이에 또박또박 붙여오던 전신환 자네 부모만큼 고마웠다고 어딜 가든 무엇을 하든 열심히 살라고 손목 잡아주...

  • 디지털 이코노미

    디지털 전환으로 완성되는 애덤 스미스의 가치

    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는 기업의 책임을 그 누구보다 먼저 강조했다. 경제학자이기 전에 18세기 스코틀랜드 출신 철학가였던 그는 “소비는 모든 생산의 유일한 목표이자 목적”이라고 강조하면서 “생산자의 이익은 소비자의 이익을 증진하는 데 필요한 범위 내에서만 존중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기업의 이익은 언제나 소비자 이익 다음이라는 의미다. 초기의 자본주의 애덤 스미스가 기업의 이익보다 소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