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기타
한강 수상택시, 어디로 가야 하나 등
한강 수상택시, 어디로 가야 하나 한강 물은 고요하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 때부터 추진된 한강 르네상스 사업을 통한 수상 이용 활성화의 한 부분인 한강 수상택시 사업이 최악의 상황을 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한강사업본부에 따르면 도입 당시에는 하루 평균 예상 이용객이 870명이었으나 작년 하루 평균 이용객은 35명밖에 되지 않았다. 올초 예상 이용객의 4%인 27명에 불과했다. 날이 갈수록 이용객이 줄어드는 형편이다. 그렇다면 수상택시 이용객...
-
경제 기타
지난 여름 매미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았다 등
지난 여름 매미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았다 무더위가 계속되던 지난 여름. 매미들은 꾸중을 들어야 했다. 자기들이 우는 소리가 소음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너무 시끄러워 잠을 잘 수 없다는 민원도 들어야 했다. 요즘은 매미도 욕 듣는 반자연적 인간세계가 된 것일까. 우리나라에는 여러 종류의 매미가 산다. 참매미와 말매미, 애매미, 유지매미 등이다. 참매미는 우리가 흔히 듣는 '매앰~매앰~매에에에엠~' 하고 우는 매미로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
-
경제 기타
“정부 개입해 복지국가 실현”…의무교육·최저임금제 도입 근거
(37) 사회적 자유주의 창시자 레너드 홉하우스 20세기 전환기에 영국을 비롯한 유럽사회는 시민의 복지 향상을 명분으로 정부의 시장개입이 일상화돼 갔다. 자유주의 진영에선 정부의 시장개입이 개인의 자유를 침해할 뿐이라고 지적하며 정부는 가격, 임 금, 생산 등을 시장에 맡기라는 불개입 원칙을 주장했다. 자유주의만이 사회와 개인에게 번영을 가져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주장에 정면으로 맞서 자유주의가 변화된 경제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고...
-
경제 기타
기초연금제 논란과 나랏빚…빚 내서 복지 늘린다?…그럼 나라살림은?
내년 7월부터 65세 이상 노인 가운데 소득 기준 하위 70%에 매월 10만~20만원의 기초연금이 지급된다. 지난 9월25일 정부의 기초연금 최종 도입안에 따르면 기초연금 대상자는 자산 조사를 통해 파악된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하위 70%로 결정됐다. 정부안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소득상위 30%를 제외한 노인의 90%인 약 353만명이 20만원을 받게 된다. - 9월26일 한국경제신문 기초연금제를 둘러싸고 논란이 한창이다. 주무 부처인 보건복...
-
경제 기타
일본서 도난된 우리 불상 돌려줘야 하나요
올초 문화재청은 일본 쓰시마 가이진신사와 관음사에서 도난당한 후 국내에 반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통일신라 시대 금동여래입상과 고려말 관음보살좌상 등 2점의 불상을 회수했다고 밝힌 적이 있다. 이들 불상은 원래 우리 문화재였던 것인데 일제시대 때 일본으로 반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김모씨를 비롯 일당 4명은 지난해 10월 일본에서 이들 불상을 훔쳐 국내로 들여와 판매하려다 문화재청과 경찰청에 의해 적발됐다. 문제는 이들 도난 불상을 일본에 돌려줘야 ...
-
경제 기타
<5> 사회경제적 변화로 주목받는 유망직업, 자산운용가
과거 자산 형성은 부자들에게만 해당하는 이야기로 인식됐다. 경제 규모가 커지고 국민소득이 증가한 오늘날에도 이런 인식에는 크게 변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자산을 자산가와 혼동하고 있거나 자산이라는 말에서 왠지 모를 거리감을 느끼고 있기 때문인 듯하다. 하지만 더 이상 자산 형성을 부자들의 전유물로만 치부해서는 안 된다. 사회 환경과 개개인이 처한 상황이 사람들로 하여금 자산을 형성하도록 내몰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제는 누구라도 자산 형성...
-
경제 기타
불거진 美 정치 리스크…셧다운에 '디폴트 시한폭탄'까지
미국 정치권이 오바마케어(건강보험 개혁안) 존폐 문제로 씨름을 벌이다 2014 회계연도(10월1일~내년 9월30일) 예산안 처리 시한을 넘김에 따라 연방정부가 끝내 셧다운(일시적 업무 정지) 상황에 돌입했다. 이에 따라 연방정부 기관은 정치권이 잠정 예산안에 합의할 때까지 200만명의 연방 공무원 가운데 필수 인력을 제외한 80만~120만명의 직원을 당장 '일시해고'(무급휴직)해야 한다. 미국이 셧다운 사태로 치달은 것은 빌 클린턴 행정부 시절...
-
커버스토리
콩도르세·보르다·애로…다수결에도 약점이 있다
민주주의는 다수결로 의사 결정을 한다. 대통령 선거든, 국회의원 선거든, 심지어 학교 반장 선거든 표를 많이 얻는 사람이 이긴다. 다수결만큼 합리적인 의사결정 방법도 없다는 게 우리의 상식이다. 하지만 이런 생각을 해보자. 사형제 폐지를 놓고 투표하는 경우다. 연쇄살인을 저지른 범인이 잡힌 날 사형제 유지를 국민투표에 부친다면 절대 다수는 찬성할 것이다. 반대로 살인죄로 사형이 집행된 뒤 진범이 잡힌 날 투표한다면 사형제는 폐지될 가능성이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