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SNU 멘토링…서울대에서 만난 소중한 인연 등

    SNU 멘토링…서울대에서 만난 소중한 인연 지난 8일 서울대에서 ‘SNU 멘토링 2014-2 서울대 탐방’이 열렸다. 120명(서울대 멘토 30명, 중·고등학생 멘티 60명, 멘티 인솔자 30명)이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서울대 탐방은 서울대 글로벌사회공헌단 ‘SNU멘토링’에 참여하고 있는 멘토-멘티들이 오프라인에서 보다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고 보다 친밀해지기를 바라는 뜻에서 ...

  • 경제 기타

    '헝거게임'을 읽고…'1984'의 빅브러더 재현 등

    '헝거게임'을 읽고…'1984'의 빅브러더 재현 최근 개봉된 ‘헝거게임: 모킹제이’는 원작 ‘헝거게임’ 시리즈를 영화화했다. ‘헝거게임’은 가상의 대륙인 판엠에서 독재자가 자신의 지배력을 더욱 강력하게 만들고 12개의 도시를 지속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도입된 게임이다. 1년에 한 번씩 12개 구역에서는 남녀 각각 1명씩이 조공인으로 뽑혀 서...

  • 경제 기타

    법인세는 올려야 할까요?

    여야 정치권에서 법인세 인상 여부에 대한 찬반 논란이 한창이다. 무상복지 시리즈의 후폭풍으로 재원이 곤궁해진 지방자치단체들이 잇따라 복지 디폴트를 선언하고 나서자 부족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법인세를 올려야 할지 여부가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이다. 법인세를 올릴 경우 세수가 늘어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만큼 기업 부담이 늘어난다. 기업 부담 증가는 기업 수익 감소로 이어지고 이는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세수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여야 정...

  • 커버스토리

    한·중 FTA 체결…자유무역 지평을 넓히다

    개방은 인류발전의 원동력이다. 인류의 역사는 개방의 역사다. 물론 개방을 바라보는 시각은 엇갈린다. 누구는 개방을 무역 영토를 확장하고 경쟁력을 높이는 촉매로 여기지만, 또 다른 누군가는 개방에 종속의 색깔을 입힌다. 개방의 변곡점마다 찬반이 갈리는 이유다. 역사는 많은 것을 함의한다. 인류는 과거에서 현재를 배우고, 미래의 지혜를 찾는다. 지난 반세기 대한민국의 경제성장은 개방에 힘입은 바가 크다. 기대와 우려가 엇갈렸지만 전자·...

  • 경제 기타

    대입정시 내달 원서접수…수시 합격자는 응시 못해

    2015학년도 대학 정시모집이 다음달 원서접수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충원 합격자를 포함해 수시모집에 최종 합격한 수험생은 등록 여부와 상관없이 정시에 지원할 수 없다. 교육부에 따르면 2015학년도 정시모집 인원은 12만7569명으로, 전년의 12만7624명보다 55명 줄었다. 그러나 전체 모집인원이 전년보다 감소함에 따라 정시 모집인원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34.8%로 전년(33.7%)보다 1.1%포인트 증가했다. 확정된 ...

  • 경제 기타

    "잘 풀릴 것이라는 긍정 바이러스 키우세요"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는 방법이요? 꿈을 한 번에 이루려 하지 말고 눈앞의 작은 목표부터 차근차근 도전해 보세요.”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 LA 다저스 투수 류현진 선수(사진)는 11일 오후 열린 삼성그룹이 개최한 토크콘서트 열정락서에서 자신이 꾸준히 성장해온 비결을 이렇게 소개했다. 1만2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이날 마지막으로 진행된 토크콘서트에는 류 선수와 함께 정갑영 연세대 총장, 신태균...

  • 경제 기타

    생글 홈피 '지난호 보기'로 논술 준비하세요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대입 수능이 끝났습니다. 잘 치셨는지요. 수능이 끝나자마자 수시2차가 시작되었군요. 이제부터가 더 중요한 시기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논술과 면접이 줄줄이 이어집니다. 매년 이맘때면 같은 일정이 반복됩니다만, 잘 준비해서 도전하는 길 외에 다른 것이 있겠습니까. 수능과 대입 논술이 인생의 전부는 아닙니다. 각자 자기가 잘할 수 있는 분야를 빨리 알아서 그 길을 묵묵히 걸어가는 것이 훨씬 중요합니다. 여...

  • 경제 기타

    스페인, 구글稅 통과…온라인 뉴스 저작권, 도마 위에 올랐다

    신문·잡지·방송 등 미디어 기업은 시시각각 발생하는 사건·사고와 정책 발표의 보도 등을 위해 끊임없이 뉴스 콘텐츠를 생산한다. 편중되지 않은 정확한 사실을 제공하고 호소력 있는 콘텐츠를 제공해야만 독자와 시청자들의 선택을 받을 수 있다. 한 번 생성된 뉴스 콘텐츠는 포털 사이트 등을 통해 언제든지 다시 검색하고 읽을 수 있다. 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개인 블로그 등을 통해 계속 확대 재생산되기도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