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숫자로 읽는 세상
재택근무 확산으로 사라지는 '넥타이 부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재택근무가 확산되자 ‘넥타이 부대’가 자취를 감추고 있다. 근무 복장 자율화를 도입하는 회사가 늘어 넥타이를 비롯한 남성 정장 수요가 매년 감소해왔지만 올해는 그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지난 27일 신세계백화점에 따르면 올 들어 넥타이 매출은 25.4% 감소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18.8%)보다 감소폭이 더 커졌다. 넥타이 매출은 2017년 8.1%, 2018년 8....
-
시사 이슈 찬반토론
5년뒤 시행하자며 '재정준칙' 도입한다는데…
[찬성] 건전재정을 위한 노력의 가시화…일단 제도 도입부터 코로나 위기 대응 과정에서 재정의 건전성이 악화된 것은 사실이다. 가뜩이나 1인당 국내총생산(GDP) 3만달러 시대에 들어서면서 성장세가 장기간 둔화되고, 국내외 경제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닥친 코로나 쇼크로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은 과거 어느 때보다 커졌다. ‘관제 일자리’라는 비판 속에서도 고용을 창출하고 경제적 약자들을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
-
숫자로 읽는 세상
학령인구 감소+코로나 장기화…대입 수시 경쟁률 하락
학령인구 감소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올해 대입 수시모집 경쟁률이 일부 학과를 제외하고 지난해보다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일 입시전문업체 유웨이, 진학사 등에 따르면 올해 수도권 주요 대학의 수시전형 경쟁률은 지난해보다 다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는 올해 수시경쟁률이 5.63 대 1로 전년도 6.76 대 1보다 하락했다. 성균관대 21.26 대 1(전년도 25.57 대 1), 한양대 21.77 ...
-
경제 기타
경제 상황·고객 신용도 등에 따라 금리가 정해져요
은행에 가보면 '신용대출 최저 △.△%'와 같이 금리를 기준으로 홍보하는 문구를 볼 수 있다. 금리는 돈의 이자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저축할 때는 높은 금리를 받고, 대출할 때는 낮은 금리로 빌리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면 이 금리들은 어떻게 결정되는 걸까? 금리에도 적용되는 수요공급의 법칙 상품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금리도 마찬가지로 금융시장에서 자금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경기가 좋아 기업들이...
-
디지털 이코노미
디지털 전환을 통한 질적 성장의 추구
파푸아뉴기니의 바이닝족을 이해하는 데는 100년 가까운 시간이 필요했다. 관심을 갖던 연구자 대부분이 우울증에 걸려 연구가 계속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 1920년대의 유명 인류학자인 그레고리 베이트슨, 1960년대의 제러미 풀 모두 마찬가지였다. 원인은 지루함이었다. 그들의 문화는 지독하게 지루했던 탓에 바이닝족과 함께 생활하던 연구자들은 우울증에 빠져 귀국할 수밖에 없었다. 미래 사회의 최대의 적, 지루함 바이닝족의 사회는 매우 따분했다....
-
시네마노믹스
정보는 '빽'이자 '덫'…개인 투자자를 향한 냉혹한 경고
영화 ‘돈’ 속 작전세력들이 펼치는 주가조작 작전에서는 증권사 직원의 ‘실수’가 핵심 요소로 등장한다. 주인공 조일현(류준열 분)이 참여한 첫 작전에서 한영증권의 김 대리(김강현 분)는 실수로 위장해 선물 만기 하루를 앞두고 시장 가격보다 한참 낮은 가격에 대량의 스프레드 매도 물량을 내놓는다. 일현과 세력은 이 물량을 대부분 받아가고 이후 시장이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막대한 차익을 누린다. 한영증권은 ...
-
커버스토리
기술의 진화…미래 직업은 어떻게 변할까
데이터 분석과 마케팅 등 광고 관련 업무 전반을 대행해 유튜버 등이 양질의 콘텐츠 생산에 집중하도록 돕는 ‘크리에이터 광고 관리사’, 고령자들이 농촌에서 스마트농장을 운영하도록 지원하는 ‘실버 리부터(rebooter)’, 지역사회 문제를 공공·민간·시민협력을 통해 해결하도록 이끄는 ‘적정기술 리빙랩 전문가’….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 20일 &...
-
경제 기타
꿀잠을 팝니다…3兆 시장으로 자란 '슬리포노믹스'
최근 서울 강남 신세계백화점에서 열린 ‘세계 4대 명품침대 특별전’. 장인이 수백 시간에 걸쳐 천연소재로 한땀 한땀 수작업했다는 초고가 침대들이 한데 모였다. 스웨덴 왕실에 공급된다는 한 브랜드는 저렴한 제품이 2000만원, 비싼 것은 1억원을 넘는 것으로 유명하다. 올 상반기 이 백화점의 고급 침대 매출은 1년 전보다 30% 증가했다. “편안한 잠자리에 아낌 없이 투자하는 소비자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rdq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