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기타
中, 세계 금융시장 '달러 부자'로 급부상…부작용 우려
중국이 1조달러에 달하는 외환보유액을 앞세워 세계 금융시장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거인(colossus)'으로 부상하고 있다. 중국의 외환보유액 중 70%(약 7000억달러)가 미국 달러화 자산이란 점에서 중국의 외환정책 변화는 미국 경제를 뒤흔들 수 있는 폭발력이 있다. 보유 외환에서 달러화의 비중을 줄이고 유로화의 비중을 높이거나 막대한 외환을 원자재 확보에 쏟아붓는다면 세계시장에 큰 파장을 몰고 올 수도 있다. ◆이달 중 1조...
-
커버스토리
"열심히 일할 의지가 있는 사람에게만 대출"
한국에 맞는 새로운 복지모델은 무엇일까. 참여정부 들어 복지예산을 둘러싸고 좌·우 진영 간 치열한 사상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성장과 복지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려면 복지예산을 더 늘려야 한다"는 쪽과 "나라살림은 갈수록 빡빡해지는데 대책도 없이 복지예산만 늘린다"는 쪽의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이런 와중에 최근 2007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방글라데시 그라민(Grameem)은행의 무하마드 유누스 총재가 선출되면서 새로운 복지모델로...
-
커버스토리
"무조건 도와주자"보다 일자리가 '최선의 복지'
복지는 모든 나라가 안고 있는 숙제다. 어떤 나라든 더불어 사는 사회에서 국민을 행복하게 살게 하고 싶지 않을 정부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수단으로서 복지에 대한 접근법은 천차만별이다. 복지정책의 지향점이 기회의 평등인가,결과의 평등인가라는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복지천국이란 유럽 국가들은 과도한 복지로 인해 사회활력이 떨어지는 '유럽병'을 앓고 있고,효율성을 강조한 영미식 복지는 빈곤층이 두터운 개도국이나 저개발국에 적용하는 데 ...
-
경제 기타
선진국들 '비만과의 전쟁' .. 영국 '피트니스 장관' 임명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는 최근 캐럴린 플린트 보건부 차관을 피트니스 장관으로 임명한다고 발표했다. 보건부 차관과 피트니스 장관을 겸임하게 된 플린트는 "2012년 런던 올림픽이 열릴 때까지 모든 정부 부서를 총괄해 전 국민의 군살을 빼고 체력을 기르는 캠페인을 국가 차원에서 펼쳐나가겠다"고 선언했다. ○영국의 심각한 비만 증가 영국이 이처럼 비만과의 전쟁에서 나선 것은 영국의 비만 증가율이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영국은 2003년 이래 ...
-
경제 기타
(14) 김효준 BMW코리아 사장
2003년 6월20일 김효준 BMW코리아 사장(49)은 어둠이 깔린 서울 테헤란로를 걷고 있었다. 후텁지근한 공기에 한 줄기 소나기가 세차게 뿌리고 지나간 뒤였다. 강남 거리는 이제 막 불을 밝히고 있었다. 후두둑 후두둑…. 가끔 비 긋는 소리가 들렸지만 우산도 쓰지 않았다. 어디선가 바람이 불고 기분 좋은 밤이 오고 있었다. 그는 지금까지 여정을 돌아보며 스스로 질문을 던졌다. "나는 과연 꿈을 이뤘나. 여기가 그토록 도달하고자 ...
-
경제 기타
교원평가제 놓고 시끄러운데…
▷ 한국경제신문 10월21일자 A2면 정부는 현재 전국 67개 학교에서 시범 운영 중인 교원평가제를 2008학년부터 모든 초·중·고교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교육인적자원부는 20일 교원소청심사소위원회에서 공청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한 '교원능력개발평가 정책추진방향(시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이달 중 교원평가 시안을 확정하고 2007년까지 법제화를 마무리할 방침이다. 시안에 따르면 평가 대상은 모든 ...
-
경제 기타
사모M&A펀드가 잇따라 등장한다는데…
올해 하반기 들어 증권시장의 가장 큰 화두(話頭)는 역시 기업 인수·합병(M&A)과 '지배구조개선'이다. 특히 '장하성펀드'로 불리는 한국기업지배구조개선펀드가 상장사인 대한화섬의 지배구조를 문제삼으면서 증시에서 지배구조 관련주들이 테마를 형성하며 급등하고 있다. 이런 추세에 편승해 잇달아 등장하고 있는 세력들이 있는데,기업 M&A를 표방한 소규모 사모펀드가 바로 그들이다. 최근 한국경제신문 증권면을 보면 사모M&A펀드...
-
경제 기타
핵 실험한 북한 친구인가, 적인가
최근 북한의 핵실험으로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눈빛이 좋지 않다. 심지어 북한의 영원한 파트너로 여겨졌던 중국까지도 근신하며 눈치를 살피고 있다. 하지만 북한을 대하는 데 있어서 가장 혼란을 겪고 있는 이들은 바로 대한민국의 청소년이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반공교육을 탈피하여 화해 무드의 햇볕정책 교육을 받아 온 지금의 청소년들이 한 민족,파트너로만 생각했던 북한의 행동에 당황한 것이다. 한지연양(양정여고 3학년)은 "사실 수업시간을 통해 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