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뱅'(Big Bang)이라고 들어봤나요.
획기적인 금융혁신을 뜻하는 말이죠. 은행 증권 같은 금융업계에선 한편으론 '구조조정'과 동의어로 생각할 수도 있지요.
이 (금융)빅뱅이 지난달 말로 20주년을 맞았습니다.
그 역사를 개척한 영국 런던 금융가 '더 시티'(The City.이하 시티)가 세계 금융업의 메카로 부활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미국 월가에 몰렸던 기업공개(IPO.쉬운 말로는 증시 상장) 물량이 시티 쪽으로 선회하고 있고 헤지펀드 자산 운용의 중심지로도 각광받기 시작했다고 하는군요. 그러면 좋은 뜻으로 해석해도 괜찮을 것 같네요.
뉴욕타임스는 최근 아시아와 러시아에 고속 성장 기업들이 많아 이들이 지리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런던 증시가 뉴욕보다 선호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런던 소재 뉴욕은행의 마이클 콜 폰테인 전무는 "1980,90년대에는 미국 금융시장을 거치지 않고 거대한 금융거래가 이뤄지기 힘들었다"며 "이제는 그런 분위기가 사라졌다"고 말했다.
시티의 부활은 길게 보면 1986년 10월27일 영국 정부가 단행한 획기적 금융개혁 정책인 '빅뱅'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영국 금융당국은 주식매매 위탁수수료 자유화 등을 골자로 하는 금융회사 간 경쟁촉진 및 시장자유화 대책으로 위축돼 있던 금융시장 수술에 나섰다.
처음 10년간은 위태로운 순간의 연속이었다. 1990년대 초에는 불황이 찾아와 시티에도 감원바람이 불었다. 1995년 SG워버그가 더스위스(스위스 은행)에 매각되는 등 투자은행 2곳이 나가 떨어졌다. 영국이 유로화를 도입하지 않기로 하자 금융회사들이 시티를 떠나 유럽중앙은행(ECB)이 있는 독일 프랑크푸르트로 가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도 엄습했다. (현재 유로화를 통용하는 12개 유로존 국가 중에 영국은 빠져있다.)
그러나 유로화 체제는 오히려 시티의 금융시장 장악력을 더 높여주었다. 군소 센터들이 문을 닫고 런던이 유로화 거래의 중심으로 떠오른 것이다. 정보기술(IT)의 발달로 유로존이 아닌 런던에서 모든 금융 비즈니스가 이뤄질 수 있었던 것도 한 요인이다.
이처럼 빅뱅은 시티가 국제적 증권거래센터로 위상을 확고히 하는 전환점이 됐다. 영국 내 금융회사를 보호해주던 규제를 없애자 외국 금융회사들은 이를 두손 들어 반겼다. 당시 미국에선 증권거래를 할 수 없었던 미국 은행들이 런던을 하나의 실험실로 활용했다. 미국 투자은행들은 또 깜짝놀랄 정도의 보너스와 조기 퇴직 등을 시티에서 선보이기도 했다.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시티는 실력보다는 학맥이 지배하던 정말 케케묵은 동네로 유명했는데 빅뱅 이후 실적주의로 변화해왔다"고 소개했다.
첨단 금융공법으로 만들어진 파생상품(화폐 증권 원자재 등 기초 자산에서 파생돼 나온 상품,선물옵션,스왑 등을 말함)의 거래에서도 시티가 주도권을 확보하게 됐다. 다른 거래소보다 4~5배 많은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금융회사들이 공동으로 자금을 대출해주는 신디케이트론의 경우,작년 유럽이 54% 급증한 데 반해 미국은 15% 증가에 그쳤다. 헤지펀드 자산도 2003~2005년 유럽에서 80% 성장한 데 반해 미국은 28% 성장에 그쳤다. 모두 시티의 영향력이 커졌다는 방증이다.
이 같은 성장에는 금융업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한 것도 밑거름이 됐다. 미국은 회계감사를 강화한 사베인스-옥슬리법(2002년 도입),이자율 제한 등으로 영국보다 훨씬 강도 높은 규제책을 쓰고 있다. 반면 영란은행(영국 중앙은행)은 외국은행을 가볍게 모니터링하는 정도의 규제에 그쳐 시티의 경쟁력 강화를 이끌고 있다. 중동의 오일머니(석유수출로 번 돈)가 자신들을 사실상 배척하는 미국보다는 유럽과 아시아로 흘러들고 있는 것도 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영국 유력신문인 파이낸셜타임스는 런던이 경쟁력 있는 인재와 자본을 세계 각지로부터 끌어당기고 있다고 전했다. 시티에서 금융업에 종사는 전문 인력은 과거 15년 사이에 50%가 늘었다. 소득세율이 20년 전에 비해 상당폭 떨어진 것도 배경으로 작용했다.
또 세계 최고의 금융회사들이 모여드는 금융 클러스터로 확고한 뿌리를 내리면서 거래 비용이 더 낮아졌으며 각종 리스크도 줄어들고 있다. 이제 '런던'하면 믿을 만한 시장,신속한 서비스가 되는 시장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이다. 시티 사람들은 또 "글로벌적인 시각에서 생각한다"고 자랑한다. 시티에 있는 BNP파리바 은행의 경우 35%가 외국인일 정도로 글로벌화가 진전됐다.
파이낸셜타임스는 경쟁을 가로막는 장벽을 허물어야 경제가 번창한다는 교훈을 '시티의 부활'에서 얻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장규호 한국경제신문 국제부 기자 danielc@hankyung.com
[ 빅뱅(Big Bang) 원래 우주의 기원 설명하는 물리학 용어 ]
빅뱅(Big Bang)이란 원래 우주의 기원을 설명하는 물리학 용어였다. 말 그대로 '대폭발'이 있은 뒤에 우주가 생성됐다는 가설. 1986년 영국의 금융개혁 이후 '획기적인 금융혁신'를 뜻하는 말로도 쓰이게 됐다. 통상 은행 보험 증권의 영역 구분이 없어지고 금융자본의 집중과 거대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우주의 폭발'에 비견된다는 뜻에서 이렇게 부른다.
1986년 당시 영국 금융당국은 국제 금융중심지로서 위상이 흔들리던 런던 시티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과감한 개혁작업을 벌였다. 은행과 증권회사 간 장벽 철폐,주식매매 위탁수수료 자유화,증권개래소 가입자격 완전 자유화,외국 금융회사의 자유로운 시장 진입 등이 핵심 내용이었다. 이로써 미국의 대형 금융회사들이 시티로 몰려들었고 주식매매 수수료 인하 경쟁이 벌어져 런던 금융시장은 일대 격변을 겪었다. 14년 만인 2000년 은행과 보험,증권 등을 통합하는 금융서비스 및 시장법을 제정해 빅뱅을 마무리지었다.
미국에서도 이자율,영업지역,업무영역에 걸쳐 있던 각종 구분을 없애면서 세계 금융업의 빅뱅을 재촉했다. 일본에선 거품경제가 붕괴된 1990년대 하시모토 총리 정권 때부터 금융빅뱅을 추진했다. 이제 미쓰비시UFJ,미즈호,스미토모미쓰이 등 3대 대형 금융그룹으로 금융시장이 완전 재편됐다. 우리나라는 자본시장통합법이 내년 상반기에 통과되면 본격적인 빅뱅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획기적인 금융혁신을 뜻하는 말이죠. 은행 증권 같은 금융업계에선 한편으론 '구조조정'과 동의어로 생각할 수도 있지요.
이 (금융)빅뱅이 지난달 말로 20주년을 맞았습니다.
그 역사를 개척한 영국 런던 금융가 '더 시티'(The City.이하 시티)가 세계 금융업의 메카로 부활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미국 월가에 몰렸던 기업공개(IPO.쉬운 말로는 증시 상장) 물량이 시티 쪽으로 선회하고 있고 헤지펀드 자산 운용의 중심지로도 각광받기 시작했다고 하는군요. 그러면 좋은 뜻으로 해석해도 괜찮을 것 같네요.
뉴욕타임스는 최근 아시아와 러시아에 고속 성장 기업들이 많아 이들이 지리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런던 증시가 뉴욕보다 선호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런던 소재 뉴욕은행의 마이클 콜 폰테인 전무는 "1980,90년대에는 미국 금융시장을 거치지 않고 거대한 금융거래가 이뤄지기 힘들었다"며 "이제는 그런 분위기가 사라졌다"고 말했다.
시티의 부활은 길게 보면 1986년 10월27일 영국 정부가 단행한 획기적 금융개혁 정책인 '빅뱅'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영국 금융당국은 주식매매 위탁수수료 자유화 등을 골자로 하는 금융회사 간 경쟁촉진 및 시장자유화 대책으로 위축돼 있던 금융시장 수술에 나섰다.
처음 10년간은 위태로운 순간의 연속이었다. 1990년대 초에는 불황이 찾아와 시티에도 감원바람이 불었다. 1995년 SG워버그가 더스위스(스위스 은행)에 매각되는 등 투자은행 2곳이 나가 떨어졌다. 영국이 유로화를 도입하지 않기로 하자 금융회사들이 시티를 떠나 유럽중앙은행(ECB)이 있는 독일 프랑크푸르트로 가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도 엄습했다. (현재 유로화를 통용하는 12개 유로존 국가 중에 영국은 빠져있다.)
그러나 유로화 체제는 오히려 시티의 금융시장 장악력을 더 높여주었다. 군소 센터들이 문을 닫고 런던이 유로화 거래의 중심으로 떠오른 것이다. 정보기술(IT)의 발달로 유로존이 아닌 런던에서 모든 금융 비즈니스가 이뤄질 수 있었던 것도 한 요인이다.
이처럼 빅뱅은 시티가 국제적 증권거래센터로 위상을 확고히 하는 전환점이 됐다. 영국 내 금융회사를 보호해주던 규제를 없애자 외국 금융회사들은 이를 두손 들어 반겼다. 당시 미국에선 증권거래를 할 수 없었던 미국 은행들이 런던을 하나의 실험실로 활용했다. 미국 투자은행들은 또 깜짝놀랄 정도의 보너스와 조기 퇴직 등을 시티에서 선보이기도 했다.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시티는 실력보다는 학맥이 지배하던 정말 케케묵은 동네로 유명했는데 빅뱅 이후 실적주의로 변화해왔다"고 소개했다.
첨단 금융공법으로 만들어진 파생상품(화폐 증권 원자재 등 기초 자산에서 파생돼 나온 상품,선물옵션,스왑 등을 말함)의 거래에서도 시티가 주도권을 확보하게 됐다. 다른 거래소보다 4~5배 많은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금융회사들이 공동으로 자금을 대출해주는 신디케이트론의 경우,작년 유럽이 54% 급증한 데 반해 미국은 15% 증가에 그쳤다. 헤지펀드 자산도 2003~2005년 유럽에서 80% 성장한 데 반해 미국은 28% 성장에 그쳤다. 모두 시티의 영향력이 커졌다는 방증이다.
이 같은 성장에는 금융업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한 것도 밑거름이 됐다. 미국은 회계감사를 강화한 사베인스-옥슬리법(2002년 도입),이자율 제한 등으로 영국보다 훨씬 강도 높은 규제책을 쓰고 있다. 반면 영란은행(영국 중앙은행)은 외국은행을 가볍게 모니터링하는 정도의 규제에 그쳐 시티의 경쟁력 강화를 이끌고 있다. 중동의 오일머니(석유수출로 번 돈)가 자신들을 사실상 배척하는 미국보다는 유럽과 아시아로 흘러들고 있는 것도 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영국 유력신문인 파이낸셜타임스는 런던이 경쟁력 있는 인재와 자본을 세계 각지로부터 끌어당기고 있다고 전했다. 시티에서 금융업에 종사는 전문 인력은 과거 15년 사이에 50%가 늘었다. 소득세율이 20년 전에 비해 상당폭 떨어진 것도 배경으로 작용했다.
또 세계 최고의 금융회사들이 모여드는 금융 클러스터로 확고한 뿌리를 내리면서 거래 비용이 더 낮아졌으며 각종 리스크도 줄어들고 있다. 이제 '런던'하면 믿을 만한 시장,신속한 서비스가 되는 시장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이다. 시티 사람들은 또 "글로벌적인 시각에서 생각한다"고 자랑한다. 시티에 있는 BNP파리바 은행의 경우 35%가 외국인일 정도로 글로벌화가 진전됐다.
파이낸셜타임스는 경쟁을 가로막는 장벽을 허물어야 경제가 번창한다는 교훈을 '시티의 부활'에서 얻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장규호 한국경제신문 국제부 기자 danielc@hankyung.com
[ 빅뱅(Big Bang) 원래 우주의 기원 설명하는 물리학 용어 ]
빅뱅(Big Bang)이란 원래 우주의 기원을 설명하는 물리학 용어였다. 말 그대로 '대폭발'이 있은 뒤에 우주가 생성됐다는 가설. 1986년 영국의 금융개혁 이후 '획기적인 금융혁신'를 뜻하는 말로도 쓰이게 됐다. 통상 은행 보험 증권의 영역 구분이 없어지고 금융자본의 집중과 거대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우주의 폭발'에 비견된다는 뜻에서 이렇게 부른다.
1986년 당시 영국 금융당국은 국제 금융중심지로서 위상이 흔들리던 런던 시티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과감한 개혁작업을 벌였다. 은행과 증권회사 간 장벽 철폐,주식매매 위탁수수료 자유화,증권개래소 가입자격 완전 자유화,외국 금융회사의 자유로운 시장 진입 등이 핵심 내용이었다. 이로써 미국의 대형 금융회사들이 시티로 몰려들었고 주식매매 수수료 인하 경쟁이 벌어져 런던 금융시장은 일대 격변을 겪었다. 14년 만인 2000년 은행과 보험,증권 등을 통합하는 금융서비스 및 시장법을 제정해 빅뱅을 마무리지었다.
미국에서도 이자율,영업지역,업무영역에 걸쳐 있던 각종 구분을 없애면서 세계 금융업의 빅뱅을 재촉했다. 일본에선 거품경제가 붕괴된 1990년대 하시모토 총리 정권 때부터 금융빅뱅을 추진했다. 이제 미쓰비시UFJ,미즈호,스미토모미쓰이 등 3대 대형 금융그룹으로 금융시장이 완전 재편됐다. 우리나라는 자본시장통합법이 내년 상반기에 통과되면 본격적인 빅뱅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