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 기타
빛을 내는 반도체 LED‥생활 곳곳에 파고드는 '빛의 혁명'
전광판·휴대폰·노트북·자동차 등 안쓰이는 곳 없어 로또 복권을 파는 가게 앞에는 늘 반짝이는 전광판이 켜져 있다. '1등 당첨금 24억3500만원.당신이 주인공입니다'.흘러가는 문구를 보고 있노라면 가슴이 두근두근, 상상의 날개가 펴지면서 복권 한 장 사고 싶은 마음이 절로 든다. 지하철이나 철도 역사에도 곳곳에 전광판이 설치돼 있다. 다음 열차가 어디쯤 왔는지, 행선지는 어디인지 시시각각으로 표시된다. 저녁 무렵, 노곤한 몸으로 버스...
-
경제 기타
(29) 신훈 금호아시아나 건설부문 부회장
'촌놈'이라고 무시 이 악물고 공부로 승부 "젊은이들, 실패 두려워 말고 집념갖고 도전" '국내 도급순위 1위 건설업체인 대우건설 인수를 진두지휘한 승부사', 'IT 지식으로 무장한 디지털 CEO'. 신훈 금호아시아나 건설부문 부회장(62)에게 꼬리표처럼 항상 따라붙는 수식어다. 신 부회장과 일면식이 없는 사람이라면 그의 화려한 이력만 보고 차가운 사람이라고 미리 단정짓기 쉽지만 실제 그의 모습은 구수한 '된장찌개'에 가깝다. 오히려 ...
-
경제 기타
FTA협상 중단 요구해도 되나요?
서두르거나 비밀로 추진해선 안되지만 수출로 먹고 사는 우리나라 국익엔 도움 ⇒한국경제신문 3월17일자 A5면 열린우리당 김근태 전 의장이 16일 현 정부와 각을 세우며 대선행보를 재개했다. 2·14 전당대회 후 칩거 한 달여 만이다. 김 전 의장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논란이 되고 있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에 대해 "이대로 가서는 안되며 다음 정부에 체결과 비준동의를 넘겨야 한다"며 "참여정부가 3월 말까지 한·미 FTA를...
-
경제 기타
상장기업들의 다양한 M&A 방어장치
선진국형 초다수결의제·황금낙하산 도입 늘어 일부에서는 "소액주주 권기 경시될 가능성" 우려도 기업들의 정기주주총회가 막바지를 항해 치닫고 있다. 12월 결산법인들은 3월말까지 주주총회를 모두 마치게 된다. 경영진은 지난해 1년 동안 기업의 실적을 주주들에게 보고해 승인을 받게 된다. 임원 임명과 해임, 승진, 연봉 책정 등 다양한 사안들이 주주총회를 통해 통과된다. 그밖에 정관변경을 요하는 중요 사안들이 주주총회 안건으로 오른다. ...
-
경제 기타
버려지는 새 교과서…방관하는 교육당국
새학기마다 쓰레기장에 교과서·참고서 쌓여 울산 중구의 모 고교 분리수거장에는 요즘 버려진 교과서 참고서들로 가득 차 있다. 이 중 절반은 겉이 반질한 새 책들이다. 모두 올해 3학년이 되는 학생들이 학기가 시작되면서 구입한 책을 버렸기 때문이다. 특정 과목을 제외하고는 문제집으로 수업을 하는 것이 원인이다. 심지어 모든 수업을 문제집으로 하는 학교도 있다. 한국고등학교학생회연합회(한고학연)가 전국 고교생 38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
경제 기타
(기자 수첩) 경계성 인격장애에 관심을
우리의 기분은 시시각각 변한다. 하루에도 몇 번씩 좋았다, 화났다 한다. 그런데 보통사람보다 이러한 감정 변화의 기복이 심한 사람들이 있다. 무언가를 갑자기 좋아했다가 금방 싫어하고, 좋고 싫음의 중간 단계가 없는 사람들이다. 이런 현상이 지나칠 경우 '경계성 인격 장애'로 이어진다. 자제력이 없고 매우 충동적이며 심한 정서적 불안정과 함께 자신의 자아상, 목표 등이 불분명한 정신질환자다. 경계성 인격 장애는 상대편을 지나치게 이상화하거나...
-
경제 기타
예체능 계열 배려해 주세요
실기 준비위해 학교별 별도 반 편성 필요 새 학년 새 학기가 시작되고 벌써 한 달 가까이 시간이 흘렀다. 입시의 본격적인 시작과 함께 고3 교실에는 긴장이 맴돌고 피곤해 하는 학생도 부쩍 늘었다. 그런데 이런 때 이유 아닌 이유로 스트레스를 받는 학생들이 있다. 바로 '예체능 계열' 학생, 이 중에서도 학교 내에 예체능 반이 개설되어 있지 않은 학생들이다. 물론 이들 중에는 중학생 때 이미 진로를 정한 경우도 있지만 고등학교에 들어 와...
-
교양 기타
(35) 앨프리드 W. 크로스비 '수량화 혁명'
근대 과학문명이 왜 유럽에서 발전하게 됐을까? 10세기까지만 해도 유럽은 이슬람이나 중국에 비해 문명의 발전이 한참이나 뒤떨어진 지역이었다. 하지만 16세기에 이를 즈음 유럽인들은 다른 문명에 앞서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시작했고 근대화를 이뤄나갔다. 이후 유럽 제국주의는 탁월한 항해술과 우수한 무기를 바탕으로 다른 대륙을 정복했고, 20세기 초까지 식민지 지배를 계속하였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 수 있었을까? 근대 과학문명의 발전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