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 인터넷을 통한 영어학습법(6)
언어능력은 얼마나 많은 텍스트(text)에 노출되는가에 따라 그 실력이 정해진다. 현대에서 인터넷만큼 풍부한 콘텐츠를 제공해주는 곳을 찾기 힘들다. 2002년 월드컵 때 보여준 전국적인 열기에서 확인됐듯이 현대인들의 스포츠에 대한 관심과 참여는 대단하다. 박찬호 최희섭 박세리 박지성 등 해외진출 선수들에 대한 관심이 없는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스포츠에 대한 정보도 얻고 동시에 영어도 공부할 수 있는 좋은 사이트들은 헤아릴 수 없...
-
경기부양 했더니 형편이 더 어려워져?
우리는 지난 몇 차례의 설명을 통해 '국제관계를 고려하면 어떤 경제적 변화가 반드시 이론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지 않는다'는 것을 보아왔다. 근린궁핍화 역시 오늘날 한 국가의 경제가 다른 나라와의 관계를 무시하고 운영될 수 없다는 현실을 잘 보여준다. 지역통합,환율변동,무역전쟁과 같은 말들은 더 이상 경제학 교과서의 한 구석에 가려 있는 용어가 아니다. 컴퓨터의 발달에 의한 세계적 통신망의 구축은 국가 간의 경제적 작용과 반작용...
-
'사이시옷'의 비밀
'기발,바줄,해발,내가,코등,해볕,내물,홰불,회수.' 북한의 인민학교(초등학교)와 고등중학교(중·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뽑은 단어들이다. 이것들을 우리식으로 적으면 각각 '깃발,밧줄,햇발,냇가,콧등,햇볕,냇물,횃불,횟수'가 된다. 우리가 '만둣국/만두국''최댓값/최대값' 따위의 말을 두고 규범 표기와 시각적 어색함 사이에서 고민하는 동안 북한에서는 아예 사이시옷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했다. 1966년 남한의 격인 을 제정...
-
모의평가 백분위 95 논술 부족한 재수생인데‥
'생글생글 Young 한국경제신문'에서는 복잡해진 대학입시와 대학마다,계열마다 다른 전형으로 인해 혼란을 겪고 있는 수험생의 고민을 덜어주기 위해 전문가의 입시상담 컨설팅 코너를 마련합니다. 대입 컨설팅 업계에서 오랜 경력을 쌓아온 김영일교육컨설팅㈜ 김영일 소장이 상담을 전담합니다. 상담을 받고 싶은 학생은 e메일(consulting@01consulting.co.kr)로 보내주세요. 이름과 나이 학교 학년 계열 학생부 성적과 모의고사 성적...
-
2007학년 수능 내년 11월16일에‥ 1주일 빨라져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2006년 11월16일 시행되고 성적은 12월13일 통보된다. 2006학년도 수능이 오는 11월23일에 실시되는 것에 비하면 시험일이 일주일 정도 빨라진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이 같은 내용의 '2007학년도 대입전형 기본계획' 주요 사항을 행정예고,의견 수렴을 거친 뒤 이달 말께 최종 확정하기로 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2007학년도 수능시험은 시험일을 수요일에서 목요일로 변경,11월 셋째주 목요일 실시한다. ...
-
수도권 전문대 4곳 대학으로 통합
같은 재단에 소속된 4년제 대학과 전문대 간 통·폐합으로 고려대병설보건대 서울보건대 등 수도권 4개 전문대가 문을 닫는다. 이들의 입학 정원(3646명)도 함께 사라진다. 대신 고려대 을지의과대 등 4개 4년제 대학 정원이 2788명 늘어난다. 교육인적자원부가 대학구조조정 사업의 하나로 사립대 통ㆍ폐합 신청을 받은 결과 8개 사립대가 2006학년도 통·폐합을 신청했다. 신청 대학은 △고려대·고려대병설보건대 △삼육대·삼육의명대 △가천의대·...
-
9. 인터넷을 통한 영어학습법(5)
이번에는 최근 발생한 런던 테러에 대한 기사를 다루고자 한다. '제2의 9·11참사'라 불리는 '7월7일 런던 테러'는 2012년 올림픽 유치 성공과 스코틀랜드에서 열린 G8(서방선진 7개국 및 러시아)정상회담이라는 행사가 맞물려 있는 와중에 터졌다. 테러의 진정한 의도에 대해서는 아직도 여러 가지 추측이 난무하고 있다. 이번 기사는 영국 가디언(The Guardian)지의 영문 사이트(www.guardian.co.uk)에 게재된 것이다....
-
생산자가 하나인데 독점 아니라고?
수요와 공급은 시장에서 만나 거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균형이 성립된다. 이 짧은 표현 안에 경제학의 기본원리가 모두 포함돼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요는 소비자들이 어떻게 합리적인 선택을 통해 재화와 서비스를 구입하고자 하는가를 분석하는 소비자이론에서 나온다. 공급은 기업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어떤 의사결정에 따라 합리적으로 시장에 재화 및 서비스를 공급할 것인가를 분석하는 생산자 이론에서 나온다. 이들 두 민간 경제주체(소비자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