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학 길잡이 기타
학생눈으로 본 '조기유학 생생 체험'
조기유학 이야기를 학생이 직접 쓴 책이 나왔다. '너는 어떻게 할래'(도서출판 우리들,9800원)라는 제목의 이 책은 중학교 2학년 때까지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서 살다 캐나다로 조기유학을 떠난 뒤 현재 토론토 톤힐중등학교(Thornhill secondary school) 12학년(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이소정양(17)이 쓴 만 4년간의 기록이다. '대한민국 사교육 1번지'인 서울 대치동에서 캐나다로 조기유학을 떠난 이양은 만 4년의 ...
-
학습 길잡이 기타
23.단락의 전개방식
단락에서 사용된 전개 방식을 알아보자.위의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세 글 모두 통념,질문,문제 등을 먼저 제시하고 '통념에 대한 비판','질문에 대한 대답','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일반론적인 것을 먼저 제시하고 그에 대한 필자의 의견을 개진하는 구성이므로 비판,대답,해결책에 해당하는 부분이 각 단락의 주제문이라고 할 수 있다. 지시 사항에 따라 각 단락을 먼저 읽어보자. 1.각 단락의 주제문을 찾아라. 2....
-
학습 길잡이 기타
탄력성(上) 75% 장악 독점아니라고?
경제학에서 탄력성의 개념은 한 경제변수의 변화가 다른 경제변수의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가를 측정하는데 쓰인다. 굳이 패러독스라고 할 것까지야 없지만,탄력성과 관련한 재미있는 내용을 2회에 걸쳐 소개한다. 탄력성을 구하는 공식을 살펴보자.탄력성의 개념을 나타내는 공식은 얼핏 보기에 좀 복잡해 보인다. 공식을 외워도 가격이 분모에 들어가는지 분자에 들어가는지 헛갈리게 마련이다. 공식을 외우지 말고 개념을 정리해 두면 언제든 공식을 ...
-
학습 길잡이 기타
'짱' 전성시대
"앞으로는 '탈레반'이라 말고 '개혁짱'으로 불러주시기 바랍니다." 지난해 초 모당의 S의원이 기자들에게 특별한 주문을 했다. 자신의 강성 개혁 이미지 때문에 세간에 '탈레반'이란 별명이 따라붙자 "탈레반은 너무 과격하고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다"며 이미지 관리에 나선 것이다. 맞짱,노짱(盧-),얼짱,몸짱,안짱(安-),개혁짱,강짱(强-)….바야흐로 '짱'전성시대다. 어지간한 명사 뒤에 갖다 붙이면 새로운 말이 탄생한다. 생산성이 매우 뛰...
-
진학 길잡이 기타
학생부 성적 괜찮은데 고려대 영어교육과 희망
'생글생글 Young 한국경제신문'에서는 복잡해진 대학입시와 대학마다, 계열마다 다른 전형으로 인해 혼란을 겪고 있는 수험생의 고민을 덜어주기 위해 전문가의 입시상담 컨설팅 코너를 마련합니다. 대입 컨설팅 업계에서 오랜 경력을 쌓아온 김영일교육컨설팅(주) 김영일 소장이 상담을 전담합니다. 상담을 받고 싶은 학생은 e메일(consulting@01consulting@co.kr)로 보내주세요. 이름과 나이, 학교, 학년, 계열, 학생부 성적과 ...
-
진학 길잡이 기타
한경 논술아카데미 열기 후끈‥ 일선 가지들 고등학교서 직접 강의
한국경제신문 기자들이 일선 고교를 찾아가 직접 논술 강의를 하는 '한경 논술아카데미'가 본격 시작됐다. 한경 경제교육연구소는 지난 29일 오후 서울 상문고와 수원 수일고에서 경제 시사문제를 주제로 한 첫 논술 강좌를 열었다. 상문고 시청각실에는 90여명의 학생이 노경목 한국경제신문 기자가 진행하는 논술수업에 참여,'쌀시장 개방을 국민투표로 해결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공부했다. 이날 수업에서 제시된 글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론과 플라톤의 ...
-
학습 길잡이 기타
22. 단락의 전개방식 - 유형 응용
자연과 벗하여 책을 읽기가 좋은 계절이다. 이번 호에서는 '문학으로의 초대'라고 할 수 있는 글을 골랐다. 이 글은 영문 에세이의 전형적인 구조에 따라 쓰인 짧고 쉬운 비평이다. 불운한 천재 시인이자 소설가 Edgar Allan Poe의 특징에 관한 글로,단락별로 '서론-본론-결론'이 짜임새 있게 전개되어 있다. 이 지면을 통해 Poe의 표현 특징을 알아보고 여러분 스스로 'The Tell-Tale Heart'를 찾아 읽게 된다면 이 칼...
-
학습 길잡이 기타
상대를 못믿으니 이익이 줄어들지?
경제학 이론의 복잡한 것들 가운데 하나가 게임 이론이다. 게임 이론은 포커와 같은 게임에서 어떤 전략을 가지고 임하는가에 따라 보수가 달라진다는 데 착안해 경제학에 응용한 이론이다.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이 있는 선택을 하도록 함으로써 보수를 최대화하려는 경제적 행위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게임 이론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이른바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라는 것이다. 먼저 죄수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