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金이라는 단일 재화에 각국 통화가치를 고정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기 이전까지 유지되어 왔던 고전적 금본위제는 국제결제시스템의 효율성을 제고함으로써 세계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금본위제의 기본 구조는 금의 수출입에 통제를 가하지 않음으로써 국제 금가격이 단일 가격으로 형성된 가운데 각국이 자국통화의 가치를 금의 가치에 고정하는 것이다. 금본위제의 효율성은 금이 '뉴머레어(numeraire)'로서의 역할을 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뉴머레어'란 가치를 갖는 재화를 교환의 기준으로 삼는 것...

  • 학습 길잡이 기타

    명사의 사막화

    <술집에서 우리는 닭의 모래주머니 구운 것을 즐겨 먹었지요, '똥집,똥집' 하기는 싫고 '모래주머니'라고 하기엔 너무 길고 해서 주인과 '꼬꼬집'이라고 부르기로 합의했습니다만 그건 우리 마음에 지나지 않았지요. 주인은 주방 쪽으로 돌아서면서 이랬지요. '똥집 한 사라.'> 작가 이윤기씨는 10여년 전 발표한 한 글에서 우리말 명사가 사라져 간다고 지적했다. 복잡한 사회에서는 분화된 언어가 필요한데 국어에서는 새로운 우리말의 창출은...

  • 진학 길잡이 기타

    2008학년도 서울대 논술고사 2차 예시문항 ① 인문계열

    다음 제시문을 읽고 논제에 답하시오. [ 문항 1 ] <제시문> (가) 모 전자회사는 일 년 전에 2년 동안 6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새로운 모델의 냉장고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그 시점에서는 이 제품이 완성되었을 때, 투자한 금액의 15%~20%의 수익이 15년 동안 매년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러나 1년 동안 2억원을 사용한 후에 다시 살펴보았더니, 개발 초기에 예상치 못한 환경 관련 비용의 증가로 인해 개발비용이 ...

  • 학습 길잡이 기타

    토지 공개념 제도를 둘러싼 공공성 강화와 재산권 침해 논쟁

    생글생글 51호(6월5일자)에 실린 제5회 '실전!글쓰기'에서는 경희여고 3학년 최나래 학생의 글이 최우수작으로 선정됐습니다. 총평 전문과 우수작 10편은 '생글생글i' (www.sgsgi.com)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모든 도전자에 대한 간단한 총평 지도를 해드리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첫회부터 빠짐없이 실전! 글쓰기에 참여한 학생들에겐 특별히 감사드립니다. -------------------------------------...

  • 학습 길잡이 기타

    21. Collocation ①

    단어끼리도 '짝'이 맞아야 올바른 언어 영어는 일부 감탄사나 명령문을 제외하면 대부분 두 단어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단어들을 아무렇게나 조합을 시킨다고 해서 말이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단어끼리의 짝이 정확히 맞을 때 올바른 언어가 된다. collocation은 이와 같은 문장 속에서의 단어들의 배열을 의미하며,정확하고 정교한 영어를 구사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일종의 단어 나열 법칙이다. 'collocation'하면 ...

  • 학습 길잡이 기타

    비문논쟁 (2)

    '피들이 흘러가는 혈맥들''서기한 광채''슬픈 마음을 울 눈도 없이 고독했다'….지난 호에 소개한 김동리-이어령 간 비문논쟁을 통해 우리가 글쓰기에서 유념해야 할 부분들을 살펴보자. 우선 '피들'은 어떻게 봐야 할까. '-들'은 복수접미사다. 명사뿐만 아니라 "빨리들 해라" "잘들 한다"처럼 부사에도 자연스럽게 붙는다. '들'이 자주 쓰이다 보니 남용되는 경우도 많다. 자체로 복수 의미를 담고 있는 단어에까지 붙이는 게 그런 경우다. ...

  • 학습 길잡이 기타

    국제수지적자->통화감소->물가하락->수출증대

    지난회에 언급했듯이 네트워크효과에 의해 복본위제가 상당히 오랫동안 유지되어 왔다면 전 세계적으로 금본위제가 채택된 것 역시 네트워크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가운데서도 가장 먼저 금본위제로 진행한 나라는 독일이었다. 보불전쟁의 발발로 러시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왕국이 태환을 정지함에 따라 독일은 복본위제를 유지할 명분이 없어졌다. 더구나 독일의 대외무역거래는 상당 부분 영국의 런던에서 스털링으로 거래되고 있었다. 따라서 독일은 1871...

  • 학습 길잡이 기타

    (다산칼럼) 정당정치의 효용성

    ☞한국경제신문 6월5일자 A39면 이번 지방선거의 투표율은 지난번 대선이나 총선에 비해 몹시 낮게 나타났다. 무슨 이유일까? 투표 전에 이미 대세는 한나라당 쪽으로 기울어졌다고 했다. 만일 한 사람이 한나라당 지지자라면 그는 투표를 위해 시간을 낭비하느니 그 시간을 다른 목적으로 쓰려 했을 것이다. 자기의 한 표 없이도 한나라당이 이기는 데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을 테니까. 열린우리당 지지자도 마찬가지다. 자기가 애써 투표장에 나가 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