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23> 폴 새뮤얼슨 노벨상 수상기념 만찬 연설

    an important one from a scholarly point of view, you must read the works of the great masters. ⊙ 연설의 배경 폴 새뮤얼슨(Paul Samuelson)은 1970년 노벨상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1969년부터 노벨상에 경제학상이 생긴 후 두 번째로 상을 받았다. 당시 그의 나이는 55세였다. 당시 새뮤얼슨에게 이 상을 주기 위해 노벨 경제학상을 만들었다는 의혹이 ...

  • 학습 길잡이 기타

    <30> 불량 맹자 길들이기

    孟 母 斷 機 맏 맹 어미 모 끊을 단 베틀 기 맹자 어머니가 베틀의 베를 끊음. 학문은 중도에 그만두어서는 안 되고 꾸준히 노력해야 함. 맹자가 고향을 떠나 공부를 하다가 다 배웠다고 생각해 집으로 돌아왔다. 마침 베를 짜고 있던 어머니가 물었다. "공부는 어느 정도에 이르렀느냐?" "전과 같습니다." 그 말에 맹자 어머니는 짜고 있던 베를 칼로 끊어버렸다. 그리고 아들을 꾸짖으며 말했다. "공부를 중도에 그만두는...

  • 학습 길잡이 기타

    36. 볼프강 쉬벨부시「철도여행의 역사」

    “철도에 의하여 공간은 살해당했다” 수풀 사이를 달리는 낡은 시골열차는 종종 시심(詩心)을 불러일으키는 낭만적 대상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하지만 '철도에 의하여 공간은 살해당했다'며 살벌한 평가를 내리는 이가 있다. 하긴 시골 간이역에서나 볼 수 있는 여유로움이 깃든 열차가 아니라 대도시 사이를 달리는 최신식 열차를 떠올린다면 그 위용이며 엄청난 속도에서 아무래도 살기등등한 면을 발견하는 것도 사실이다. 이처럼 공간의 살해범으로 철도를 ...

  • 학습 길잡이 기타

    세종대학교 2010학년도 모의논술 문제풀이(下)

    세대는 본질적 개념인가, 나누기위해 만들어진 수단인가 <문제1> 제시문 (가)와 (나)에서 논자가 제시한 '세대'의 개념을 통해 제시문 (다)에서 제안한 접근방법이 한국사회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논하시오. (띄어쓰기 포함,500± 100자) 가 우리 사회에서 세대에 대한 관심은 부침을 거듭했다. 숱한 세대 용어가 화려하게 등장했다 사라졌다. 세대란 '명멸하는 이름'일 뿐이며,일시적인 유행에 지나지 않은 것이었을까. 보수적 ...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31>

    사다리꼴을 이용한 구분구적 〔2008학년도 연세대학교 수시 논술 〕 S·논술 자연계 논술 팀장 ximpson@hanmail.net

  • 학습 길잡이 기타

    삼천갑자 동방삭이 객사한 사연

    염라대왕은 저승사자에게 18만년이나 장수를 누려온 동방삭을 잡아오라는 명령을 내립니다. 저승사자는 동방삭을 잡으려고 용인 땅에 왔으나 그의 형체를 알지 못해 잡을 도리가 없자 한 가지 꾀를 냅니다. 동방삭이 호기심이 많다는 얘기를 들은 저승사자는 이 세상에서 아무도 하지 않는 일을 하고 있으면 그 모습을 보기 위해 제 발로 찾아 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음 날부터 저승사자는 숯내에서 검은 숯을 빨래를 하듯 빨기 시작합니다. 오랜 시간이...

  • 학습 길잡이 기타

    112. 군더더기 : '~에 있어(서)'의 남용

    문장의 생명은 '간결함'이다 "우리나라는 대만 중국과 더불어 반도체 자동차 전자제품 등 고부가가치 제조업을 기반으로 경제를 운용하는 나라로 분류된다. 제조업에 있어서는 상당한 경쟁력을 갖췄다고 하지만 세계 1위인 제품은 의외로 적다." "특히 요즘처럼 새로운 금융상품이 출현하거나 금융제도가 급변하는 시대에 있어서는 이에 맞는 통화지표를 개발하는 과제가 중앙은행의 가장 큰 역할 중의 하나다." 글을 쓸 때 습관적으로 '~에 있어(서)'란 표...

  • 학습 길잡이 기타

    대학별 적성평가 전형 분석 - <5> 가천의과대학교

    적성평가 반영비율 수시 1차 70%로 확대 수시1차 적성평가 반영비율이 전년도 30%에서 70%로 확대되어 매우 높아졌다. 적성평가의 실질 반영비율이 70%인 것이다. 적성평가는 계열구분 없이 언어 50문항,수리 50문항을 60분 안에 풀어야 한다. 전년보다 시간은 20분 줄고 문항 수도 40문항이 줄었다. 하지만 실질반영점수가 150점에서 200점으로 50점 증가하여 적성평가의 영향력은 더 커졌다. 대학 졸업 후 취업이 어려운 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