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Essay <43>- Quitters Never Win : Winners Never Quit!

    ▶ Rule 10 : 대명사를 정확하게 사용하라. 대명사는 문장 내에서 명사를 대신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항상 어떠한 대명사를 문장 내에 사용하더라도 그것의 선행사가 무엇인지 나타내는 것이 명확하여야 한다. 선행사라는 것은 대명사가 나타내는 특별한 명사를 말한다. Incorrect : The teacher told the student he was lazy. Correct : The student was lazy,and the te...

  • 학습 길잡이 기타

    <22> 교황 바오로 2세 '홀로코스트' 관련 연설

    I trust in you,O Lord: I say,'You are my God.' ⊙ 연설의 배경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2000년 3월 20일부터 역사적인 중동 순방길에 올랐다. 이 중동 순방길의 첫 기착지로 교황은 이슬라엘을 선택, 예루살렘을 방문했다. 교황 바오로 2세의 이스라엘 방문은 1964년 교황 바오로 6세 이후 36년 만에 이뤄진 일이었다. 예수그리스도 탄생 2000년을 기념해 이뤄진 교황의 중동 순방은 기독교의 부활...

  • 학습 길잡이 기타

    <29> 오리가 안개 속

    五 里 霧 中 다섯 오 마을 리 안개 무 가운데 중 5리(2㎞ 정도)가 안개 속. 어디에 있는지 찾을 길이 막연하거나,갈피를 잡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후한(後漢) 때 학식이 뛰어난 장해(張楷)라는 학자가 있었는데,속인(俗人)들과 어울리고 싶지 않아 시골로 들어가 숨어 살았다. 조정에서도 그를 등용하려 했지만 병을 핑계로 끝내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장해는 도술에 능하여 5리에 걸쳐 안개를 만들 수 있었다. 당시 3...

  • 학습 길잡이 기타

    35. 키케로「의무론」

    '도덕적 善'이 개인의 이익보다 우선해야 하는가? 이왕이면 가장 잘나고 싶고 누구보다도 앞서고 싶어하는 사람이 그러한 경쟁심을 거두고 자리를 양보하는 유일한 대상이 있다. 바로 자기 자식이다. 로마의 유명한 정치가이자 위대한 사상가였던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Marcus Tullius Cicero)도 이는 마찬가지여서 아들에게 "나는 네가 모든 점에서 나를 능가해주기를 바라는 유일한 사람"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예나 지금이나 자식들이 ...

  • 학습 길잡이 기타

    세종대학교 2010학년도 모의논술 문제풀이 (上)

    인터넷 언어는 오염되고 타락한 언어인가? <문제1> 제시문 (가)와 (나)에 나타나는 '말'과 '글'의 관계를 바탕으로 제시문 (다)에 나타난 필자의 언어관을 옹호하거나 비판하시오.(띄어쓰기 포함,500± 100자) 가 컴퓨터 채팅은 여러 점에서 말하기와 닮아 있으면서 자판을 두드려 글씨를 쓴다는 점에서 글쓰기이기도 하다. 내가 타이핑한 '말'이 상대방에 전달되어 모니터에 나타난다. 다시 상대방의 반응이 금방 내 모니터에 떠...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30>

    경희대학교 2010학년도 모의논술 〔등주정리와 등적정리 〕 S·논술 자연계 논술 팀장 ximpson@hanmail.net

  • 학습 길잡이 기타

    몸 이름 바로알기 ⑧ 사람을 살리기도 죽이기도 하는 '오금'

    "아름다운 금수강산. 우리나라는 어디를 가나 경관이 빼어나 보는 이로 하여금 오금을 저리게 한다. 가는 곳마다 마음 가득 다가오는 비경에 감탄사가 절로 나오며 아무리 봐도 끝이 없는 절경에 황홀할 지경이다." 한 인터넷매체가 보도한 이 글은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여행기의 도입부이다. 쉽게 씌어 읽기는 쉬우나 상투적인 표현들이라 독자들의 눈을 그리 오래 잡아 두지는 못한다는 게 단점이다. 찬찬히 읽다보면 어색한 부분도 있어 고개를 갸웃하...

  • 학습 길잡이 기타

    111. 띄어쓰기 공략법 : 동음이의어 '대'

    '자동차 두 대'와 '수십억대 재산가' '자동차 두 대' '연 5%대의 금리' '1990년대 말' '주파수대별로' '삼 대를 이어온 가업' '대학자? 대 학자?' '2 대 1의 비율' 띄어쓰기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은 많지만 우리말에 동음이의어가 많다는 점도 그 중 하나이다.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쓰는 말 '대'만 해도 '臺 代 帶 大 對' 등 여러 가지 의미의 서로 다른 말이다. 이런 동음이의어들은 그 의미에 따라 통사적 역할이 달라지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