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24. 영화와 관련된 영어 표현들 ①

    What kind of movies do you like?→ 어떤 종류의 영화를 좋아해? 영화는 잘 아는 대로 movie라고 하고 film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영국에서는 flick이라는 말도 종종 쓰이며 catch a flick이라는 표현은 '영화를 본다'는 구어적인 표현으로 가끔씩 사용된다. 영화관은 cinema나 movie theater라고 부른다. movie가 빠진 theater는 영화보다는 연극이나 뮤지컬을 공연하는 극장이란 뜻...

  • 학습 길잡이 기타

    ⑥ 에드워드 W.사이드「오리엔탈리즘」

    “서양이 동양보다 우월하다는 편견이 오리엔탈리즘을 낳았다” ⊙ 왜 이 책을 읽어야 하는가? <사례1> 2006년 3월부터 서울시내 모든 초중학교로 확대 운영된 방과후 학교제도. 갑씨의 아들이 다니는 서울 ○○중학교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에 원어민 영어강사가 초빙된다고 한다. 학교 운영위원인 갑씨는 공고를 통해 미리 지원한 원어민 영어강사들을 뽑는 회의에 참가했다. 학교운영위원회는 서류전형을 통해 최종 두 명을 추렸다. A는...

  • 학습 길잡이 기타

    2009학년도 서강대학교 수시 2-1 인문/국제어문학부 논술기출문제 풀이 (下)

    민주주의가 소크라테스를 죽였다? *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제에 답하시오. 가 1744년 루소가 모든 사회구성원의 관습과 태도라는 의미에서 여론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1780년대에 철학자들은 여론을 정치적 관점에서 지칭하는 의미로 공동의지,대중정신,대중의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민주주의 이전 철학자들은 '집단의 마음' 또는 '일반의지'에 관심을 두고 이것이 정치질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의 중점을 두...

  • 학습 길잡이 기타

    캐세이, 키타이의 모태 '거란'

    2004년 5월 한국 산악계에 비보 한 통이 날아들었다. 에베레스트 원정을 떠났던 계명대 산악팀 박무택,백준호,장민씨 등 세 명이 정상 정복에 성공하고 하산하는 도중 사망했다는 소식이었다. 2005년 3월14일,설산에 잠들어 있는 세 명의 시신을 찾기 위해 서울에서 원정대가 네팔로 출발했다. 산악인 엄홍길씨를 등반대장으로 한 이 팀은 '초모랑마 휴먼원정대'라 이름 붙여졌다. 산에 묻힌 동료들의 시신을 수습하기 위해 산 사나이들이 뭉친 이...

  • 학습 길잡이 기타

    80. 쥐불놀이와 쥐불놓이

    쥐불알만한 사람은 없다 지난 9일은 정월 대보름날이었다. 음력으로 1월15일을 흔히 '대보름날'이라고 하는데,이는 정월 보름날을 명절로 이르는 말이다. 새벽에 귀밝이술을 마시고 부럼을 깨물며 약밥,오곡밥 따위를 먹는다. '대보름'이라 하는 말은 '대보름날'을 줄여 이르는 것이다. 이번 대보름달은 52년 만에 보는 가장 둥근 달이었다고 한다. 예전에는 정월 대보름 전날이면 동네 아이들이 들판에 모여 작은 깡통에 줄을 매 불을 붙인 뒤 ...

  • 학습 길잡이 기타

    Essay⑪ - Feast your eyes on this diamond ring. (눈요기하다)

    Writing 이든 Speaking 이든 points가 없으면 쓸 말이 없고 할 말이 없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Writing을 못하고 Speaking 점수가 낮은 이유는 여러분이 해외 경험이 없거나 짧아서가 아니다. 이것은 누구나 하는 아주 큰 착각이다. 할 말이 없고 쓸 포인트를 못 찾는다는 것을 다시 한번 더 명심하자. 예를 들어 While some students prefer to study alone,others prefer ...

  • 학습 길잡이 기타

    유경호의 자·수·전(48)

    대학별 자연계 논술 분석 「고려대 편 I 」

  • 학습 길잡이 기타

    19. 김정한「모래톱 이야기」

    지식인이란 어떤 존재인가? ⊙ 지식인을 위한 변명 프랑스의 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는 「지식인을 위한 변명」에서 '지식인은 잉여적인 존재이며,스스로 버림받은 존재'라고 규정한 바가 있다. 얼핏 생각하기에 이 말은 대단히 모순적인 것처럼 느껴진다. 왜냐하면 인류 역사의 진보를 가능하게 한 것이 늘 새로운 지식을 추구했던 지식인들의 몫이었음을 생각할 때 지식인은 우리 사회에서 가장 필요한 존재이며,사회를 이끌어가는 이들임에 틀림없다고 생각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