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43) "모든 제시문은 문제 조건에 맞게 해석할 것"

    지난 시간에 이어 제시문의 형태에 따른 독해방법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소개했던 'not A but B' 형태의 제시문은 B라는 핵심을 꺼내기 위한 가장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제시문 형태였습니다. ⊙ 동일한 내용이 확장되는 형태의 제시문 가장 기본이 되는 형태는 아무래도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의 의견만을 강조하는 형태겠지요. 그것이 설명이든 주장이든, 내용의 동일성을 가지고 진행이 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독해가 상당히 쉬...

  • 학습 길잡이 기타

    '제야의 종소리'와 해맞이

    '송구영신(送舊迎新).'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다는 뜻이다. 많은 사람이 새해를 맞으면서 가장 먼저 듣는 것은 서울 보신각에서 울리는 '제야의 종소리'이다. 12월31일 밤 12시 정각 '땡' 소리와 함께 종소리가 울려 퍼진다. 새해를 여는 첫 울림인 '제야의 종소리'는 누구에게나 기대와 소망, 설렘으로 다가온다. 그런데 '새해'와 '제야의 종소리' 사이에는 찬찬히 따져보면 논리적인 모순이 자리 잡고 있다. 우선 우리가 무심코 말...

  • 학습 길잡이 기타

    159. 명령꼴의 두 형태

    '~해라'는 직접명령, '~하라'는 간접명령형 #기업구조 글로벌화 "나를 따르라." #금융사 구조조정 서둘러라. 신문 제목으로 쓰인 두 예는 우리말에서 명령꼴로 쓰이는 형태 두 가지를 보여준다. 가령 누구나 알고 있듯이 '(무엇무엇을) 하다'를 명령형으로 만들면 '~해라'가 된다. 이는 일반적인 명령형이다. 직접명령형이라고도 한다. 이에 비해 형태를 좀 달리 하는 '~하라'형도 있는데 이를 특수 명령형이라 한다. 또는 간접명령형이라...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91>

    전자기 유도와 뉴턴의 방법 [2010 경희대학교 수시 자연계 논술고사 문제 중]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호림의 S몰입 수학 <52>

    고교생이 꼭 알아야 할 수능형 문제 52

  • 학습 길잡이 기타

    <90> 같은 배에 탄 오나라 월나라 사람

    吳 越 同 舟 오나라 오 월나라 월 같을 동 배 주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에 타고 있음. 적의를 품은 사람끼리 같은 처지에 놓인 것을 비유함. 또는 적의를 품은 사람끼리라도 필요에 따라 서로 도울 수 있음. 손무가 쓴 병법서 「손자」에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타고 강을 건너다 큰 바람을 만나 배가 뒤집히려 한다면 그동안의 적개심을 버리고 서로 도와 어려움을 벗어나려 할...

  • 학습 길잡이 기타

    연세대 2011학년도 수시 논술 기출문제 풀이(下)

    자신이 선택한 제시문의'눈(目)을 장착'하고 답안을 써야 ☞출제 제시문은 생글생글 272호(12월6일자) 게재 내용 참조 <문제 1> 제시문 <가><나><다>는 과학적 탐구에 대한 여러 관점을 나타낸다. 이 관점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하시오.(1000자 안팎,50점) <문제 2> 제시문 <라>의 두 주장에 근거하여 [표 1][표 2]에 나타난 중요한 점들을 기술하고, 제시...

  • 학습 길잡이 기타

    (40) "글을 쓴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라"

    ⊙ 언어영역의 비문학 제시문과 다른 점 제시문의 내용이나 길이로만 보자면, 논술의 제시문들은 언어영역의 비문학 지문들과 그 성격이 비슷합니다. 실제로 그렇기 때문에, 대학에서도 이런 점을 고려하여 고등학교 과정을 충분히 이수했다면 읽을 수 있는 제시문이라고 말하곤 합니다. 하지만, 전혀 그렇진 않지요. 언어영역은 주어진 정보를 확인하는 객관식인 반면, 논술은 주어진 정보 중에서 조건에 맞게 필요한 정보를 자신이 직접 요약해 내야 하는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