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길잡이 기타
연세대 2011학년도 논술 입학시험(인문계) 문제풀이 <下>
인간만이 죽음에 대해 인식하는가? ☞ 출제 제시문은 생글 275호(2010년 12월 27일자) 게재내용 참고 <문제 1> 제시문 <가>, <나>, <다>에 나타난 죽음에 대한 태도를 비교하시오. (1000자 안팎, 50점) <문제 2> 제시문 <가>, <다> 각각의 입장에 근거하여 제시문 <라>의 실험 결과를 해석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쓰시오. (1000자 안팎,...
-
학습 길잡이 기타
(43) 독해의 기본틀, '주장과 근거'
제시문 내의 서술 구성에 대해 살펴본 지난 시간에 이어,이제부터 본격적으로 독해의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독해를 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글쓴이의 핵심적인 주장과 그 논증을 이해한다는 것입니다. 거칠고 쉽게 말하자면 '따라서' '즉' '결국' '그러므로'와 같은 연결어가 이런 힌트를 준다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확정적인 정보가 될 수 없습니다. 하나의 글 안에 이런 연결어는 수도 없이 쓰일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일부러 ...
-
학습 길잡이 기타
'구랍' 은 '지난해12월'
"네가 떡국을 먹으면 올해 몇 살이 되는 거지?" 신묘년 새해가 밝았다. 예전에 계절의 변화를 음력으로 따질 때는 한 해가 시작하는 첫 달을 '정월(正月)'이라 불렀다. 새해 첫 달의 첫날은 '정초(正初)'다. '원단(元旦)' '원일(元日)'이라고도 한다. 이런 말들은 양력으로 바뀐 오늘날에도 관습적으로 이어져 양력 1월을 여전히 정월, 그 첫날을 정초라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새해 첫날, 즉 1월 1일을 명절로 이르는 말인 '설'은 지...
-
학습 길잡이 기타
160. 된소리적기
콩과 보리도 구별 못하는 사람이 '숙맥 "너 같은 쑥맥한테 그런 일을 시킨 내가 잘못이지." "그는 울쩍한 마음을 달래려고 산보를 나갔다. " 단어 표기에 세심한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금세 어디가 틀렸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쑥맥'과 '울쩍'은 각각 '숙맥''울적'이라 적어야 맞는 말이다. 우리말을 적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진다. 하나는 '소리 나는 대로 적기'이고 다른 하나는 '형태 밝혀 적기'이다. 이 가운데 ...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92>
로그 나선(Logarithmic Spiral) [2010 서울대학교 정시 자연계 논술고사 문제 중]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호림의 S몰입 수학 <53>
고교생이 꼭 알아야 할 수능형 문제 53
-
학습 길잡이 기타
<91> 달팽이 뿔 위에서의 싸움
蝸 角 之 爭 달팽이 와 뿔 각 어조사 지 다툴 쟁 달팽이 뿔 위에서의 싸움. 하찮은 일로 벌이는 싸움. 「장자」에 나오는 말이다. 전국시대 위나라 혜왕이 맹약을 깬 제나라 위왕을 죽이려 하자 혜시가 대진인을 천거했다. 대진인이 말했다. "달팽이의 왼쪽 뿔에 촉씨가, 오른 쪽 뿔에는 만씨라는 나라가 있었습니다. 이 두 나라가 전쟁을 벌였는데 시체가 수만구나 되었고,패배하여 도망친 군대를 쫓아갔다가 돌아오는 데만 15일이...
-
학습 길잡이 기타
연세대 2011학년도 논술 입학시험(인문계) 문제풀이<上>
죽음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가 인간은 생명체로서의 본능이 약화된 존재이므로 동물계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다른 모든 종과 대조해볼 때 부인할 수 없는 특수성을 갖고 있다. 동물 집단과 그 집단 내 의사소통,연대성,공격성에 대해 아무리 연구를 한다고 하더라도 그 특수성이 덜해지는 것은 아니다. 인간의 이러한 특수성이란 이 세상에서 자신의 고유한 삶을 넘어서서 생각하거나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인간의 타고난 능력이다. 이런 이유로 인해 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