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입 전략
17개대 자연계 수학 합격선, 2등급 이내 80%…"수학은 기본, 국어·탐구 성적 좋으면 목표 높여라"
대입정보포털 ‘어디가’를 통해 발표된 2025학년도 주요 대학 정시 입시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인문계·자연계 모두 수학이 당락에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부터 ‘어디가’를 통해 각 대학이 수능 국어, 수학, 탐구, 영어 과목별 70%컷을 발표하면서 학과별로 합격생의 과목별 강약 분석이 가능해졌다. 대학별·학과별로 어떤 과목 성적이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지를 알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이는 목표 대학을 공략하기 위해 어떤 과목을 더 보완해야 하는지 앞으로의 수능 학습전략과도 맞닿아 있는 중요한 판단 기준이다.종로학원이 연세대·성균관대·서강대·한양대·중앙대·경희대·이화여대·한국외대·서울시립대·건국대·홍익대·숙명여대·국민대·세종대·단국대·인하대·아주대 등 주요 17개 대학 학과별 정시 합격선(과목별 70%컷)을 분석한 결과, 자연계 학과 중 수학 합격선이 2등급 이내 학과는 80.0%(315개 학과 중 252곳)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중 연세대, 성균관대, 서강대, 한양대 등 최상위권 대학은 수학 2등급 이내가 100.0%다.자연계 학과의 등급별 분포를 자세히 뜯어보면, 수학 1등급은 35.9%(113개 학과), 2등급은 44.1%(139개 학과), 3등급은 17.5%(55개 학과), 4등급은 2.5%(8개 학과)로 조사됐다. 수학 실력이 뒷받침되지 못한다면 애초부터 경쟁이 어려운 구조라고 볼 수 있다. 국어는 2등급 이내 비율은 44.1%(315개 학과 중 139곳)로 분석됐다. 더 구체적으로는 1등급 15.2%(48개 학과), 2등급 28.9%(91개 학과), 3등급 42.9%(135개 학과), 4등급 12.4%(39개 학과), 5등급 0.6%(2개 학과) 분포로 확인된다. 탐구
-
대입 전략
연세대 등 17개대 인문계 합격생 절반이 이과생, '문과 침공' 현상 지속…변수 고려해 전략 짜야
종로학원이 대입정보포털 ‘어디가’를 통해 발표된 2025학년도 주요 대학 입시 결과를 분석한 결과, 통합 수능 체제에서 이과생(수학 미적분, 기하 선택)의 ‘문과 침공’이 많은 대학에서 광범위하게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17개 대학 인문계 학과 정시 합격생 중 절반이 넘는 학생이 이과생이었다. 심지어 합격생 전원이 이과생인 학과도 상당수다. 기존엔 서울대 등 일부 대학에서만 확인되던 사실이었지만, 올해는 ‘어디가’ 발표를 통해 전국 대학의 현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됐다.종로학원이 연세대, 성균관대, 서강대, 한양대, 중앙대, 경희대, 이화여대, 한국외대, 서울시립대, 건국대, 홍익대, 숙명여대, 국민대, 세종대, 단국대, 아주대, 인하대 등 주요 17개 대학의 ‘어디가’ 발표 2025학년도 정시 입시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이들 대학의 인문계 학과 합격생 중 이과생은 평균 55.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계 학과 합격생의 절반 넘는 인원이 수학 기준 미적분, 기하를 선택한 이과 학생이었다는 것이다.공개 학과 기준 대학별 평균을 살펴보면, 인문계 학과 합격생의 이과생 비중은 한양대가 87.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서강대 86.6%, 건국대 71.9%, 서울시립대 66.9%, 성균관대 61.0%, 이화여대 60.3% 순이었다. 이과생 비중이 절반을 넘는 대학으로는 단국대 57.2%, 아주대 54.7%, 중앙대 53.8%, 국민대 51.7%, 숙명여대 51.2%, 연세대 50.3% 등이 있다.심지어 합격생 전원이 이과생인 곳도 17개 대학 내 21개 학과나 됐다. 연세대 아동가족학과, 성균관대 자유전공계열, 서강대 인문학기반자유전공학부, 이화여대 의예과(인문), 한양대 영어교육과, 한국외대 프랑스어교
-
대입 전략
의대 평균 283.2점…학교별로 294~275점 예상, SKY 인문 285~269점, 자연 282~263점 지원 가능
6월 모의평가는 당해 N수생이 처음 가세하는 전국 모의고사로 본인의 전국 위치를 객관적으로 점검하기에 좋다. 입시전략 측면에선 6월 모평 결과로 정시에서 지원 가능한 수준을 점검한 뒤 수시에서 이보다 한두 단계 높은 대학을 목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월 모평 결과로 수시 및 정시 입시전략의 큰 틀을 세운 뒤 9월 모평을 통해 지원 대학, 학과를 확정 짓는다고 보면 된다. 6월 모평 가채점 기준 주요대 및 의약학 정시 지원 가능점수를 분석해본다.종로학원이 6월 모평 가채점 기준 정시 지원 가능 점수(국어, 수학, 탐구(2) 원점수 합, 300점 만점 기준)를 분석한 결과,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SKY 인문계열 학과는 최고 285점에서 최저 269점 사이에서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됐다. SKY 자연계는 최고 294점에서 최저 263점 사이 합격선이 예상된다. 주요 10개대 인문은 최고 286점에서 최저 255점, 자연은 최고 291점에서 최저 251점 사이로 분석됐다. 인서울 최저 지원 가능 점수는 인문은 221점, 자연은 216점으로 전망됐다.주요 10개대 인문계열 학과를 대학별로 살펴보면, 서울대는 학과별 평균 277.1점(285~272), 연세대 270.8점(272~269), 고려대 271.0점(272~269), 성균관대 266.5점(271~265), 서강대 266.7점(269~265), 한양대 264.9점(269~263), 중앙대 263.1점(265~260), 경희대 260.4점(286~255), 이화여대 264.1점(286~259), 한국외대 259.8점(265~255) 수준에서 합격선이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10개대 자연계열의 경우, 서울대는 평균 275.2점(294~270), 연세대 268.2점(292~263), 고려대 267.7점(290~263), 성균관대 266.2점(291~257), 서강대 260.8점(269~257), 한양대 261.9점(288~257), 중앙대 258.9점(285~252), 경희대 259.9점(285~251), 이화여대 262.6점(285~254), 한국외대 257점(Language&
-
대입 전략
올 26개 의대 지역인재 선발, 59%까지 확대, 1215명 규모…지방권 학생들에겐 '기회'
올해 의대 모집정원은 교육부 발표 기준 39개 대학 3123명으로 대폭 축소됐다. 전체 선발 규모는 2024학년도 수준으로 조정됐지만, 비수도권 26개 의대의 지역인재 선발은 2024학년도 대비 늘면서 지방권 학생들에겐 기회가 더 열릴 것으로 보인다.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등 메디컬 분야는 전국 선발과 지역 선발로 나뉜다. 지역인재는 해당 권역 학생들만 지원 가능한 전형으로 전국 선발과 대비해 경쟁률 및 합격선이 소폭 낮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지방권 학생들의 관심이 높은 전형이다.서울, 인천, 경기 소재를 제외한 지방권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는 6개 권역으로 나뉘어 지역인재 전형을 실시한다. 6개 권역은 호남권(광주·전북·전남), 충청권(대전·충북·충남·세종), 대구경북권(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권(부산·울산·경남), 강원권(강원), 제주권(제주)으로 구분된다. 강원과 제주는 대학별로 최소 20% 이상을, 나머지 권역은 대학별로 최소 40% 이상을 지역인재로 선발해야 하는데, 의대의 경우 올해 이 비율이 무려 59.0%까지 늘었다. 지방권 의대는 열에 여섯은 해당 권역 학생들을 선발하겠다는 것이다.올해 의대 지역인재 선발 규모는 교육부 발표 기준 수시·정시 합산 총 1215명(59.0%)에 달한다. 2024학년도 대비 190명이 늘었다. 권역별 지역인재 선발 규모를 살펴보면, 호남권 의대의 지역인재 비율이 71.5%(전체 492명 중 352명)로 가장 높게 확인됐고, 다음으로 부울경 65.0%(471명 중 306명), 대구경북권 60.1%(366명 중 220명), 충청권 56.1%(401명 중 225명), 제주권 52.5%(40명 중 21명), 강원권 31.6%(288명 중 91명) 순으로 높게 분석됐다.의대의 경우 권역별로 지역인재 비율이
-
대입 전략
의대정원 축소에도 N수생 역대 최대 전망, 사탐런 가속화…탐구과목, 수능 최대 변수로
올해 수능 판도가 심상치 않다. 졸업생 등 N수생은 2005학년도 이래 22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이과 과학탐구 응시생들이 사회탐구 과목으로 갈아타는 사탐런 현상은 더욱 가속화될 기세다. 의대 모집 정원은 확대 전 2024학년도 기준으로 회귀하면서 자연계 최상위권 입시는 다시 요동칠 수밖에 없게 됐다. 올해 6월 모의평가 접수자 분석을 통해 올해 입시 흐름을 분석해본다.종로학원이 6월 모평 접수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검정고시 포함 졸업생 등 N수생은 8만9887명으로 6월 모평 접수자 통계를 발표하기 시작한 2011학년도 이래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된다. 의대 모집 정원이 확대 전 2024학년도 기준 3058명으로 회귀했음에도 N수생은 더 늘었다. 지난해 6월 8만8698명보다 1189명이 증가했다. 이에 따라 올해 본수능 N수생 접수자는 18만 명대 후반에서 19만 명대 사이로 추정돼 2005학년도 이래 22년 만에 역대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6월 모평은 그해 N수생이 처음으로 응시하는 전국 모의고사이기 때문에 당해 연도 본수능의 N수생 비중을 예측해볼 수 있는 바로미터라고 할 수 있다. 실제 지난해도 6월 모평 N수생 접수자가 최고를 기록하자 본수능 N수생도 역대 최고를 나타냈었다. 고3 재학생 입장에선 올해 수능이 재수 이상 N수생과 경쟁이 어느 해보다 치열한 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N수생 증가는 의대 정원 확대 등 몇몇 이슈로 인한 일시적 현상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의대 모집 정원이 전년 대비 크게 축소됐음에도 N수생이 늘었다는 것은 N수가 이제는 일부 상위권이 아니라 전 성적대의 일반적 현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계속되는 취업난 등으로 대학 간판에 대한 선
-
대입 전략
17개 의대 정시 평균 98.19점 → 97.44점 떨어져…수시는 서울권 제외 하락…메디컬 전반 내림세
2025학년도는 전국 40개 의대(의학전문대학원 포함)의 모집 정원이 전년 대비 1509명 늘면서 의대 입시에 대한 관심이 최고조에 이르던 해다. 전체 모집 정원이 3058명에서 4567명으로 큰 폭으로 늘면서 의대 최저 합격선은 하락할 것이란 예측이 많았다. 의대가 최상위권 학생을 블랙홀처럼 흡수하면 치대, 한의대, 약대 등 메디컬 학과 전반의 합격선도 연쇄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종로학원이 2024학년도, 2025학년도 2개년 동일 기준 발표 대학으로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의 수시·정시 일반전형 합격선을 분석한 결과, 실제 메디컬 전반의 합격선 하락 추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점수에 맞춰 지원하는 안정 지원 경향이 강한 정시에서 합격선 하락 추세는 더 뚜렷했다. 대학별 발표 성적 기준이 70%컷, 평균, 최저 등으로 달라 대학 간 직접 비교는 힘들지만, 2개년 변화 추이를 살펴보는 데는 유의미할 것으로 보인다.먼저 의대 수시 학생부교과 전형을 살펴보면, 2개년 동일 기준 발표 20개 대학의 합격선을 분석한 결과, 2024학년도 평균 1.24등급에서 2025학년도 1.35등급으로 0.11등급이 하락했다. 권역별로 들여다보면 서울권(3개교)을 제외한 모든 권역에서 합격선 하락이 목격됐다. 경인권보다 지방권 하락 폭이 더 컸다. 경인권(2개교)은 같은 기간 1.00등급에서 1.06등급으로 0.06등급 하락에 그쳤지만, 지방권(15개교)은 1.28등급에서 1.41등급으로 0.13등급이 떨어졌다. 지방권 중에선 부울경(부산·울산·경남 3개교)의 하락 폭이 0.16등급(1.18등급 → 1.34등급)으로 가장 컸다.의대 수시 학생부종합도 유사한 추세다. 합격선 발표 18개 대학 기준 1.87등급에서 1.95등급으로 0.08등급이 하락했
-
대입 전략
의약학계열 합격선 전반적 상승…쏠림 뚜렷, 하락 예상됐던 일반학과, 수시도 올라 이례적
고려대가 4월 말 2026학년도 입학설명회를 통해 2025학년도 입시 결과를 발표하면서 대학입시 최상위 그룹인 연세대와 고려대 두 곳의 올해 신입생 입시 결과(70%컷)가 공개됐다. 연세대는 먼저 3월 중 입시 결과를 발표했다. 연세대와 고려대는 최상위 입시 판도를 읽을 수 있는 바로미터라고 할 수 있다.종로학원이 연세대와 고려대의 2024~2025학년도 입시를 분석한 결과, 수시는 합격선의 전반적 상승이, 정시는 유지 및 하락 추세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이례적 양상이다. 당초 의약학 쏠림으로 자연계 일반학과에 대한 합격 기대감이 커지면 틈새를 노린 상향 지원이 늘어날 것으로 봤다. 그래서 의약학을 제외한 곳의 합격선은 다소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하지만 연세대와 고려대 수시에선 정반대 결과가 나왔다. 의약학뿐 아니라 타 학과도 전반적으로 상승 추세가 뚜렷했다.수시를 먼저 살펴보면, 학생부교과 전형에서 연세대 추천형 인문계열은 2024학년도 평균 1.56등급에서 2025학년도 1.47등급으로 0.08등급이 상승했고, 자연계열은 같은 기간 1.46등급에서 1.28등급으로 0.18등급이 올랐다. 학생부종합 활동우수형 전형은 인문은 2.21등급에서 2.16등급으로, 자연은 1.86등급에서 1.76등급으로 합격선이 올랐다.고려대 수시도 이와 유사한 모습이다. 학생부교과 학교장추천 전형에서 인문은 평균 1.54등급에서 1.49등급으로 0.05등급이 상승했고, 자연은 1.50등급에서 1.38등급으로 0.12등급이 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학생부종합 학업우수전형의 상승 폭은 인문, 자연 각각 0.24등급, 0.04등급 수준을 나타냈다.수시 의약학계열의 상승세는 더 뚜렷하다. 의약학은 연세대와 고려대 내에서도 이미 최상위권을 형성
-
대입 전략
전국 정시 비중 20%…수도권은 34%, 통합수능 마지막 해…N수생 늘어날 수도
현재 고2가 치르는 2027학년도 대입의 전체적 윤곽이 발표됐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발표에 따르면 2027학년도 전국 4년제 대학의 총모집 인원은 34만5717명으로 집계됐다. 2026학년도 대비 538명이 늘었다. 수시 모집은 27만7583명(80.3%), 정시 모집은 6만8134명(19.7%)이다.전형 유형별로는 수시 학생부교과 15만6403명(45.2%), 학생부종합 8만1931명(23.7%), 논술 위주 1만2711명(3.7%), 실기·실적 위주 2만1954명(6.4%)을 선발할 계획이다. 2026학년도 대비 학생부교과는 908명, 학생부종합은 558명, 논술 위주는 152명, 실기·실적 위주는 89명이 늘었다. 그 외 기타 전형을 포함해 수시 전체는 2026학년도 대비 1735명을 더 선발한다. 반면 정시는 2026학년도 대비 1197명이 줄어 6만8134명이 예고됐다.결과만 놓고 보면 전국 종합으로는 수시는 늘고, 정시는 줄었다고 할 수 있다. 수시 비중은 80.3%에 달한다. 수험생 입장에서 수시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은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는 전국 평균에 따른 ‘착시’라는 점을 분명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수도권, 더 나아가 서울권 주요 대학으로 좁혀보면 상황은 크게 달라진다.먼저 수도권 소재 대학의 정시 비중은 전국 평균 19.7%보다 높은 34.2%(13만4787명 중 4만6031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주요 대학은 정시 비중이 더 높다. 2022학년도 대입부터 정시를 40% 이상으로 확대한 서울 주요 16개 대학의 2027학년도 정시 비중은 43.4%(5만730명 중 2만1997명)로 분석된다. 이들 대학의 2026학년도 정시 비중은 평균 44.0% 수준이다. 주요 대학은 꾸준하게 정시 비중이 평균 43~44%를 유지한다고 볼 수 있다. 정시 하락 폭은 0.6%에 불과해 입시 지형에 영향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