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학년도 대입전형 계획 분석
현재 고2가 치르는 2027학년도 대입의 전체적 윤곽이 발표됐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발표에 따르면 2027학년도 전국 4년제 대학의 총모집 인원은 34만5717명으로 집계됐다. 2026학년도 대비 538명이 늘었다. 수시 모집은 27만7583명(80.3%), 정시 모집은 6만8134명(19.7%)이다.전형 유형별로는 수시 학생부교과 15만6403명(45.2%), 학생부종합 8만1931명(23.7%), 논술 위주 1만2711명(3.7%), 실기·실적 위주 2만1954명(6.4%)을 선발할 계획이다. 2026학년도 대비 학생부교과는 908명, 학생부종합은 558명, 논술 위주는 152명, 실기·실적 위주는 89명이 늘었다. 그 외 기타 전형을 포함해 수시 전체는 2026학년도 대비 1735명을 더 선발한다. 반면 정시는 2026학년도 대비 1197명이 줄어 6만8134명이 예고됐다.
결과만 놓고 보면 전국 종합으로는 수시는 늘고, 정시는 줄었다고 할 수 있다. 수시 비중은 80.3%에 달한다. 수험생 입장에서 수시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은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는 전국 평균에 따른 ‘착시’라는 점을 분명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수도권, 더 나아가 서울권 주요 대학으로 좁혀보면 상황은 크게 달라진다.
![[2025학년도 대입 전략] 전국 정시 비중 20%…수도권은 34%, 통합수능 마지막 해…N수생 늘어날 수도](https://img.hankyung.com/photo/202505/AA.40423405.1.jpg)
현재 수치는 최초 발표한 계획 그대로다. 여기에 수시에서 선발하지 못해 정시로 넘어가는 이월 인원까지 감안하면 실제 정시 비중은 대학별로 40%대 중·후반에서 50%대 초반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주요 16개 대학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서강대, 한양대, 중앙대, 경희대 등 수험생 선호도가 높은 주요 대학이 대부분 포함돼 있다. 결국 2027학년도 또한 수도권 대학일수록, 더 나아가 서울권 주요 대학일수록 정시 비중이 높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수시와 정시 사이 균형 잡힌 준비를 강조하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다만 주요 대학 중 연세대는 2027학년도에 한시적으로 정원 감축이 발생해 지원 흐름 및 합격선에 변화가 예상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연세대는 2025학년도 논술 재시험 실시로 추가 합격자가 발생함에 따라 2027학년도 모집 정원을 일부 감축하기로 했다. 16개 학과에서 2026학년도 대비 58명을 줄인다. 감축 비율이 높은 학과로는 대기과학과 18.5%(5명), 생화학과 17.6%(3명), 도시공학과 17.1%(6명), 건축공학과 13.0%(9명), 화학과 11.6%(5명) 등이 있다.
![[2025학년도 대입 전략] 전국 정시 비중 20%…수도권은 34%, 통합수능 마지막 해…N수생 늘어날 수도](https://img.hankyung.com/photo/202505/AA.40423406.1.jpg)
선발 인원 증가 폭이 큰 대학으로는 서울권에선 삼육대 124명(148명→272명), 홍익대 75명(504명→579명), 서경대 43명(173명→216명), 경인권에선 신한대 85명(107명→192명), 가천대 32명(1036명→1068명), 지방권에선 고려대(세종) 67명(203명→270명), 경북대 22명(538명→560명) 등이 있다.
2027학년도 고3 학생 수는 44만4434명으로 추정된다. 2026학년도 45만3812명 대비 9378명(2.1%)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험생들은 학생 수가 줄어 경쟁이 덜하지 않을까 기대할 수 있겠지만 상황은 그리 녹록지가 않다. 2027학년도는 현행 통합 수능 마지막 해로 N수생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2028학년도에 수능 체제가 바뀌기 때문에 2027학년도를 마지막 기회로 보고 결판을 내려는 N수생이 늘어날 수 있다. 여기에 의대의 모집 정원이 아직도 결정되지 않아 혼란은 더 커질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