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하루 15시간 울며 공부해 5개월 만에 합격했어요"

    공인중개사 최보람 집토스 쌍문점 지점장 단일 자격증 시험 중 응시자가 가장 많은 공인중개사 시험은 수학능력시험과 토익, 9급 공무원 시험과 더불어 '4대 시험'으로 불린다. 공인중개사가 되기 위해 도전하는 이들은 매년 급증하고 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인생 2막을 준비하는 4050세대의 수능이라 불렸지만 20~30대 응시자도 늘어나는 추세다. 공인중개사는 기획 부동산, 전세 사기 등 나쁜 뉴스의 중심에 있는 직업이기도 하다...

  • 커버스토리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41년 머뭇거린 이유

    이르면 2026년 우리는 설악산 오색약수터 근처에서 출발하는 케이블카를 타고 해발 1430m 고지인 끝청까지 올라가면서 설악의 절경을 즐길 수 있을 듯합니다.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설치를 놓고 무려 41년 동안 이어져온 찬반 논란이 지난 2월 27일 최종적으로 정리됐기 때문입니다. 환경부는 강원도 양양군이 작년 12월 제출한 ‘설악산 국립공원 오색케이블카 설치 사업’에 대해 몇 가지 조건을 붙여 승인했습니다. 강원도와 양양군...

  • 영어 이야기

    tender가 동사로 쓰일 땐 '입찰 참여'가 돼요

    Kakao is expected to launch its own tender offer to raise its stake once the court makes a decision on the injunction, industry sources said. The IT behemoth was known to have completed preparation for the takeover bid regardless of the court’...

  • 생글기자

    질병 위험까지 높이는 아동 학대, 사라져야 한다

    보건복지부의 ‘2021 아동 학대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아동 학대 신고 접수 건수는 5만3932건으로 전년보다 27.6% 증가했다. 아동학대 판단 건수도 3만7605건으로 전년 대비 21.7% 늘었다. 아동 학대 신고 접수와 판단 건수는 지난 5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아동 학대 문제는 코로나 사태를 겪으며 더 심해졌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아이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했고, 교사와의 접촉도 제한돼 아동 ...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문법과 감수성 변화가 디지털 언어 부른다

    젊은 세대의 문해력이 문제로 떠올랐다. 한 웹툰 작가가 사인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불편을 끼쳤다며 ‘심심한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라고 공지하자 네티즌이 ‘제대로 된 사과도 아니고 심심한 사과를 하느냐’며 비난을 퍼부었다. 심심한(甚深, 깊고 간절한)을 ‘지루하고 재미없는’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20대 초반의 한 래퍼는 ‘하루 이틀 삼일 사흘 일주일이 지나가&rsqu...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季布一諾 (계포일락)

    ▶ 한자풀이 季: 계절 계 布: 베 포 一: 한 일 諾: 승낙할 락 계포가 한 번 한 약속이란 뜻으로 약속을 하면 반드시 지킴을 이름 - <사기(史記)> 계포(季布)는 초나라 출신의 한나라 장수다. 항우 밑에서 무장으로 있으면서 여러 싸움에서 유방을 괴롭혔다. 그러나 항우가 유방에게 패해 죽자 졸지에 쫓기는 몸이 됐다. 숨어 지내던 계포는 다시 한나라에 등용돼 낭중(郞中) 벼슬을 지내다 하동태수가 됐다. 그는 비록 두 ...

  • 경제 기타

    협상·입찰·경매·면접에도 게임 상황이 발생하죠

    이번 주에는 경제현상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게임에 대해 알아보자. 이미 배운 용의자의 딜레마게임과 성대결게임은 완비된 정보하의 정태적 게임이라고 한다. 완비됐다는 것은 영어 complete를 번역한 표현이고, 정태적이라는 말은 게임에 참가하는 경기자들의 행동이 동시에 진행된다는 의미로, 동시게임이라고도 한다. 따라서 현실에서 발생하는 게임 상황은 정보가 어느 정도 갖춰졌느냐에 따라 1차적으로 완비된 정보게임과 불완비된 정보게임으로 구분되고, ...

  • 대학 생글이 통신

    쉬운 과목·어려운 과목 분리해 복습하면 효과적

    오늘은 복습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제가 고민했던 것들을 참고해 각자에게 맞는 방법으로 적용해보길 바랍니다. 처음 배운 것을 100% 완벽하게 이해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수업에서 전부 이해했다고 생각했더라도 시간이 조금 지난 뒤 다시 그 내용을 들여다보거나 응용하는 문제를 풀 때면 막히는 경우가 있었을 것입니다. 저는 복습할 때 잘 이해했다고 느낀 과목과 어렵게 느낀 과목을 분류했습니다. 잘 이해했다고 생각하는 과목은 일단 빠르게 읽어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