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주가상승률 낮은 '다우10' 투자 저위험 고수익
다우지수를 활용한 투자전략으로 '다우10'이라는 게 있다. 1980년대 미국의 투자자문가인 존 슬래터가 제시한 이 투자전략은 매년 마지막 거래일에 다우지수 편입종목 30개 가운데 주가 상승률이 가장 낮은 10개 종목을 사들이는 것이다. 실제 수익률은 어떨까. 1928년 이후 1997년까지 다우10 전략의 수익률을 계산해본 결과 복리기준 연평균 13.21%로 이 기간 다우지수(11.40%)나 S&P500지수(10.64%)의 연평균 상승률보다...
-
경제 기타
미국 '家事의 여왕' 마사 스튜어트, 수감생활 고통딛고 재기 날갯짓
미국에서 '가사의 여왕'으로 불리는 마사 스튜어트(64)는 오뚝이 같은 기업인이다. 그는 3년 전 한 제약회사의 주식을 절묘한 타이밍에 팔았다가 내부자 거래 혐의로 기소돼 올해 3월까지 감옥에 있었다. 스튜어트는 앤더슨 연방 교도소에서 죄수번호 55170-054를 달고 다른 여죄수들로부터 인스턴트 음식을 전자레인지에 데워 먹는 방법을 배웠다. 출소 후에는 지난 8월까지 뉴욕 자택에서 연금 상태에 있었다. 발목에 위치 추적용 전자 발찌를 ...
-
살인범에서 반폭력 운동가 변신…윌리엄스 형장의 이슬로
갱단 출신의 살인범에서 반폭력 운동가로 변신해 노벨 평화상 후보에 5번이나 이름을 올렸던 '사형수' 스탠리 투키 윌리엄스(51)가 끝내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윌리엄스의 사형은 지난 13일 0시35분(한국시간 13일 오후 5시35분)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인근 샌틴교도소에서 독극물 주사로 집행됐다. 사형 집행이 확정됐지만 그래도 마지막으로 윌리엄스에게 구원의 손길을 뻗칠 수 있었던 사람은 영화 '터미네이터'의 주인공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
-
83개국이 사형제도 유지…한국은 폐지특별법 국회상정
사형제도 폐지 논란은 우리나라에서도 '진행형'이다. 유영철씨의 엽기적인 살인 사건이 있었던 지난해에는 사형제 존치론이 힘을 얻는 듯 하다가 이내 다시 폐지 쪽으로 무게가 실리고 있다. 최근에는 박정희 대통령 시절 8명에게 사형이 선고됐던 인혁당 및 민청학련 사건이 조작된 것으로 밝혀져 사형이 자칫 '법적 살인'으로까지 비화될 수 있다는 사실도 보여줬다. 그러한 시대 분위기를 반영한 듯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형 선고를 받고 집행을 기다리고 있는 ...
-
문명 충돌 뒤에는 경제 갈등 숨어있다 …호주서도 백인·아랍계 폭력사태
이슬람과 서구사회가 또다시 충돌했다. 이번에는 호주에서다. 지난 11일 시드니 남쪽해변에서 레바논계 청년들이 사소한 말다툼 끝에 호주 자원봉사 구조대원을 폭행하면서 백인과 아랍계 청년들 간 충돌이 보복전 양상으로 불거졌다. 호주는 지리적으로 대양주에 위치해 있지만 서구적 가치를 따르는 나라다. 영국에서 발생한 7·7 런던테러,10월 말 프랑스 소요사태에 이어 호주에서마저 이슬람과 서구사회가 충돌한 셈이다. 호주에서의 인종충돌은 다분히 감정적...
-
경제 기타
화면 더 크고 선명하게 .. 두께 더 얇게
"한국이 오랜 숙적인 일본을 물리쳤다. 이에 일본은 바다 건너 대만과 손잡고 한국을 공격한다. 일본·대만 연합은 힘이 부치자 중국을 새로운 우군으로 삼았다." 언뜻 보면 광개토대왕비에 나와 있는 비문의 한 구절 같다. 하지만 이는 최근 LCD(초박막액정표시장치),PDP(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OLED(유기발광다이오드)로 이어지는 디지털TV 시장 주도권을 두고 한국 일본 대만이 벌이고 있는 풍경이다. 최근 들어 한국.일본.대만 간 디스플...
-
경제 기타
세계 LCD.PDP 절반은 한국기업 제품
디스플레이의 주요 제조 국가는 모두 아시아에 몰려 있다. 한국 일본 대만 3국이다. 중국이 새로 가세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경쟁은 한국·일본·대만 3각 축을 중심으로 진행 중이다. 1차 디스플레이 전쟁은 일단 삼성 LG의 한국 진영이 우세하다. 일본은 LCD,PDP,OLED 등을 가장 먼저 개발하고도 특유의 조심성 때문에 매번 대규모 투자 시기를 놓쳐 한국에 주도권을 뺏겼다. 반도체를 만들면서 대규모 적기 투자의 중요성을 체득한 한국 기...
-
경제 기타
日, 亞 외환위기때 투자 유보한 것이 패착
한국이 디스플레이 생산량과 전 세계 시장점유율에서 일본을 제친 데는 적극적 투자 못지않게 일본의 오판도 크게 작용했다. 2002년까지 일본은 LCD,PDP 분야에서 세계 어느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절대강자였다. LCD는 1990년 일본의 샤프가 세계 최초로 양산을 시작했다. 삼성전자 LG필립스LCD보다 무려 5년이 빨랐다. PDP도 한국보다 3년 빠른 98년부터 마쓰시타,파이어니어,후지쓰 등 일본 간판기업들이 양산체제를 구축했다. 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