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CLE 창업주 래리 엘리슨…실리콘밸리 악동 '미국내 5번째 부자'

세계적 소프트웨어 업체 오라클의 래리 엘리슨 회장(62)은 '괴짜' 부자다.


잘 나가는 기업의 최고경영자(CEO)이자 미국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갑부지만,당장 쓸 돈이 부족해 은행 빚을 끌어다 쓰는 해프닝을 벌인 주인공이기도 하다.


잦은 이혼과 결혼으로 '플레이보이'라는 소리를 듣기도 한다.


다른 회사의 '뒷조사'를 위해 사설탐정을 고용해 쓰레기통을 뒤지는 것도 주저하지 않는다.


현지 언론들은 이런 그에게 '실리콘밸리의 악동'이란 별명을 붙여줬다.



◆'오라클 신화' 이끈 자수성가형 거부


미국의 경제전문지 포브스에 따르면 엘리슨의 총 재산은 작년 9월 170억여달러(약 17조원)였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회장(510억달러),워런 버핏 벅셔해서웨이 회장(400억달러),폴 앨런 MS 공동 창업자(225억달러),마이클 델 델컴퓨터 회장(180억달러)에 이어 미국에서 5번째다.


미국의 다른 거부들과 마찬가지로 그 역시 자수성가형이다.


러시아 유대인 출신인 엘리슨은 1944년 뉴욕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당시 19세의 미혼모였다.


그는 생후 9개월 때 시카고의 먼 친척 집에 입양됐다.


양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일리노이대학을 중퇴하고 무작정 캘리포니아로 갔다.


70년대 중반 한 데이터베이스 회사에서 일하던 그는 그곳에서 창업 동지인 에드 오우츠와 로버트 마이너를 만난다.


1977년 엘리슨은 이들과 함께 단돈 1200달러로 오라클의 전신인 '시스템개발연구소(SDL)'를 창업했다가 곧바로 회사 이름을 '관계형 소프트웨어(RSI)'로 바꾼다.


이때 참여했던 미국 국방부 발주 프로젝트 이름이 신의 계시란 뜻의 '오라클(Oracle)'이었다.


1983년에는 프로젝트 이름을 따 회사 이름을 아예 오라클로 변경했다.


신의 계시를 잘 따라서였을까.


이후 오라클은 승승장구해 MS에 버금가는 IT업계의 강자로 성장했다.


MS가 PC 기반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는 윈도(운영체계)를 만든 것과 달리 오라클은 데이터베이스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굳혔다.


데이터베이스는 인터넷 서버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는 '포스트 PC' 시대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역대 최고 연봉 CEO


그는 '고정관념을 깨는 젊은 마인드'를 중시해 회사 내 직급을 파괴하고 마케팅을 중시하는 경영 전략을 폈다.


'품질이 좋은 제품이 잘 팔리는 게 아니라 고객이 원하는 제품이 잘 팔린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당시 신생 기업이던 오라클의 발빠른 시장 대처 능력은 IBM 등 굴지의 대기업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다.


그는 '오라클 신화'의 주인공으로 1990년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이 선정한 '올해의 최고 경영자상'을 수상했다.


연봉도 천문학적 수준으로 뛰었다.


미국의 경제주간지 포천에 따르면 엘리슨은 2001년 한 해에만 7억600만달러의 연봉을 챙겨 지금까지 미국 CEO 중 가장 많은 연봉을 받은 사람으로 기록돼 있다.


기반을 다져가던 1990년대 중반 엘리슨은 사설탐정을 고용해 친어머니를 찾아냈고,배 다른 여동생의 학비를 대주면서 '가족의 가치'를 중시하는 미국인들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엘리슨은 '강한 CEO론'의 신봉자로도 잘 알려져 있다.


CEO가 임원들에게 너무 의존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그의 생각도 많이 바뀐 듯하다.


그는 지난해 주 80시간에 달하던 근무시간을 40~50시간으로 줄이고 업무의 상당 부분을 휘하의 공동사장들에게 위임했다.


그는 이때 "과로야말로 미친 짓"이라는 말을 남겼다.


주용석 한국경제신문 국제부 기자 hohoboy@hankyung.com



< 가장 아끼는 요트 이름 '사쿠라' .. 일본 취향 >


경영 성과와는 별개로 엘리슨은 톡톡 튀는 언행으로 구설수에 자주 올랐다.


우선 그는 '여성 편력'이 심하다는 평을 듣고 있다.


2003년 크리스마스 직전에는 25세 연하의 로맨스 작가 멜라니 크래프트와 네 번째 결혼식을 올려 화제를 모았다.


그는 요트광이기도 하다.


미국과 호주에서 열리는 세계 요트대회에 꼬박꼬박 참가하고 회사 이름을 딴 요트에 거금을 쾌척하는 일도 마다하지 않는다.


문제는 이런 라이프 스타일 탓에 종종 빚에 쪼들린다는 점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최근 엘리슨이 2000년 중반 10억달러에 달하는 빚을 진 적이 있었다고 보도했다.


그런데도 엘리슨은 새 요트 구입,품위 유지 등에 향후 3년간 7억달러 이상 더 쓸 계획을 갖고 있었다는 후문이다.


주주들과의 소송으로 곤욕을 치른 적도 있다.


2001년 일부 주주가 엘리슨 회장을 내부자거래 혐의로 법원에 제소한 것이 발단이었다.


엘리슨은 결국 작년 11월 소송 취하 대가로 1억2200만달러를 지불하기로 합의했다.


그는 유달리 승부욕이 강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2000~2001년 MS가 반독점 소송에 휘말렸을 때의 일이다.


일부 시민단체 등이 MS를 편들자 엘리슨은 이들 단체가 MS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았다는 사실을 폭로하기 위해 사설 탐정을 고용,쓰레기통까지 뒤지게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그에게는 '실리콘밸리의 사무라이'라는 별명이 따라다녔다.


'사무라이'라는 별명은 그의 일본 취향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샌프란시스코 금문교가 보이는 곳에 지어진 그의 저택은 일본식 정원과 가구들로 유명하다.


이 저택은 건설비만 1억달러가 들었으며 엘리슨은 사후에 이 저택을 스탠퍼드대에 기증하겠다고 유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가 아끼는 요트 이름도 '사쿠라'(벚꽃)다.


거침없는 말투로 '독설가'라는 수식어도 따라다닌다.


9·11사태 이후에는 미국 내 신분증 발급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겠다고 나섰다가 사생활 보호를 위한 시민단체로부터 '최악의 기업인'에 뽑히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