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지역분쟁 격화… '석유 파이프라인' 강타
지구촌 전역이 지정학적 혹은 정치적 분쟁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이란 핵문제와 북한 미사일 발사 문제가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중동지역에서는 이스라엘이 레바논을 공격하면서 전쟁 발발의 위기감마저 떠오르고 있다. 인도에선 무장 반군의 소행으로 보이는 열차 폭탄 테러가 발생했고,아프리카 최대 산유국인 나이지리아에선 송유관 파괴 행위가 빈발하는 등 종족·종교 간 갈등도 끊이지 않고 있다. 브라질과 멕시코 등 남미지역에서도 대형...
-
커버스토리
미국ㆍ유럽 대형 석유회사가 채굴해서 유통
"이란 핵문제로 국제유가가 치솟았습니다. 미국의 휘발유 재고가 감소했다는 소식이 유가를 밀어올렸습니다." 국제 석유 가격의 움직임은 거의 매일 언론에 보도된다. 세계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만큼 유가 변화는 빠뜨릴 수 없는 주요 뉴스다. 신문과 방송은 유가가 배럴당 몇 달러 움직였는지,무슨 요인이 가격 변화에 영향을 미쳤는지,앞으로 유가 전망은 어떤지 등을 알려준다. 특히 전쟁 테러 자연재해 등 국제적 주목을 받는 사건이 터...
-
경제 기타
'투자은행'이 뭐길래 증권사들 변신 서두르나
한국경제신문을 보면 '아이비(IB)' 란 단어가 자주 등장한다. IB가 뭘까. Internet Banking의 약자인가,아니면 Intelligent Building의 약자인가. 사전을 찾아보면 IB는 '국제공통대학입학 자격'을 뜻하는 International Baccalaureate의 약자로 나와 있다. 금융 증권 용어로 IB는 Investment Bank의 약자로 '투자은행'을 말한다. 그렇다면 투자은행이란 무엇일까. 최근 증권...
-
경제 기타
세계 자동차 업계 전운 감돈다..美 GM-佛 르노-日 닛산 '연합군' 추진
150년 자동차 산업 사상 최대의 '빅뱅'이 시작됐다. 세계 최대 자동차 회사이지만 경영난에 봉착한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르노-닛산차(세계 4위)의 투자를 받아들여 서로 손잡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화들짝 놀란 일본의 도요타자동차(2위)도 늦기 전에 르노-닛산차를 제치고 GM과 제휴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예상 시나리오는 미국 포드자동차(3위)와 르노-닛산차의 제휴 가능성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한마디로 세계 ...
-
경제 기타
(4) 김신배 SK텔레콤 사장
1994년 김신배 SK텔레콤 사장(52)은 점심을 먹고 나면 서울 인사동 화랑가를 휘적 휘적 다녔다. 기와로 지은 고풍스러운 분위기에 전통차도 팔았던 경인미술관이나 빨간 벽돌 바닥에 대학을 갓 졸업한 신예 화가들의 작품들을 전시했던 관훈미술관이 단골로 찾는 갤러리였다. 당시 그가 일하던 곳은 종로구 관훈동에 위치한 SI(시스템 통합)업체인 '동양시스템 하우스'.경영지원본부장이 그의 직함이었다. 차세대 사업으로 각광받고 있던 통신사업의 주역...
-
생글생글i로 논술주제 총정리 하세요
교육인적자원부가 대입논술 가이드라인에서 영어지문 출제를 금지하고,통합교과형 논술을 장려하자 각 대학의 논술 출제 경향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사고력과 창의력을 강조한다는 점이 새로 나타난 논술의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제시문들의 수가 늘어났고,제시문들 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하는 유형이 많다. 제시문이 다루는 논제는 심층적이고 원론적인 내용들도 있지만 사회현상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요구하거나 사회의 새로운 흐름과 관련된 주제...
-
e대학 합격 컨설팅.학습습관 검사 등 대입정보 서비스 업그레이드
생글생글i(www.sgsgi.com)가 오는 31일부터 대입 정보 서비스를 대폭 보강합니다. 이달 말까지 생글생글i에 가입하는 유료 회원들은 신설되는 대입정보 서비스를 할인받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생글생글i는 우선 'e대학합격컨설팅' 코너를 마련합니다. 해마다 달라지는 복잡한 입시 전형으로 혼란을 겪는 수험생들을 위해 '김영일 교육 컨설팅'과 제휴,수험생 성적을 과학적으로 분석해 종합 입시 정보를 제공합니다. '김영일 교육 컨설팅'은 현재...
-
학습 길잡이 기타
대공항의 원인 테민논쟁의 종합..인플레이션보다 더 무서운 디플레이션
대공황의 원인과 진행과정에 대한 경제이론적 해명을 둘러싸고 거시경제학의 양대 학파 사이에 끊임없는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고 했다. 그렇다면 어느 쪽 견해가 옳은 것인가, 혹은 더 옳은 것인가. 이에 대해서는 일도양단 식의 결론이 어렵다. 다만 최근 들어 양측의 견해를 조화시켜 수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생겨나고 있다. 양측 견해를 종합하려는 시도는 우선 물가하락의 경제적 효과에서 대공황이 심화된 요인을 찾고자 한다. 우리는 인플레이션이 극심한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