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제6회 생글논술 경시대회 3400여명 참가
고1,2 기준 5회대회 보다 소폭 늘어…중등부 첫 실시 한국경제신문이 주최한 제6회 생글논술경시대회가 지난 18일 서울 건국대와 전국 60여개 학교에서 34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치러졌다. 대입 수시와 수능으로 바쁜 고3을 제외하고 고1,2와 중학생을 대상으로 치러진 이번 생글논술 경시대회 참가인원은 지난 상반기 5회 대회의 고1,2 참가 인원(3200여명)보다 소폭 증가했다. 개인 응시생 340명이 시험을 친 건국대에서는 이른 아침부터...
-
제6회 생글 논술 경시대회 인문계 고 1·2 유형 문제
인터넷이 민주주의의 발전을 가져오는가? ※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많은 사이버스페이스 옹호자들에게 새로운 디지털 공간은 속세에서 보다 나은 삶을 실현할 수 있는 장소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천국과 같은 사이버'의 꿈은 단순히 도피주의적인 영생이나 신비주의적인 전지(全知)를 위한 것이 아니다. 사이버스페이스는 인간 상호 간의 관계와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그럼으로써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
-
제6회 생글 논술 경시대회 인문계 고 1·2 유형 해제
사이버 공간이 더 민주적이라 할 수는 없다 ⊙ 출제 의도 '아고라'는 미디어다. 2008년 대한민국의 아고라는 많은 사람들이 '모인' 공간이다. 그리스의 아고라가 현실세계의 물리적 공간이었다면 대한민국의 인터넷 토론방 아고라는 사이버스페이스에 존재하는 가상공간이다. 이곳에서 대화와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쌍방향적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정보의 흐름이 일방적이던 기존의 매체와는 달리 인터넷에서는 네티즌이 정보 공급과 수용의 주체가 될 수 ...
-
경제 기타
열린 기아체험은 살아있는 교육
지난 11일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12시간 동안 서울고에서 '서울고와 국인이 함께하는 열린 기아체험'행사가 열렸다. 세계 최대 기독교 NGO 해외아동 결연후원인 월드비전이 후원한 이날 행사에는 서울고 1,2학년 학생 300명과 국인 36명이 참가했다. 국인은 국가적 인재,국제적 인재의 줄임말로,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에서 수시 합격생인 우수 예비대학생을 대상으로 서류와 면접 등을 통해 선발한 학생들이다. 이들은 2월에 중국 시장경제 연...
-
경제 기타
학교 수업과 인터넷 강의는 보완재
명지외국어고등학교 야간자습시간 도서관은 귀에 이어폰을 꽂은 채 공부하는 학생들로 가득하다. 그들 가운데서 자습서와 PMP(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번갈아 보며 공부하는 학생들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자신들의 PMP에 다운로드한 인터넷 강의를 듣고 있다. 학생들이 매일 학원을 다닐 수 없는 기숙학교에 있기에 이러한 인터넷 강의는 학교 수업을 보충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기를 끈다. 학교 수업은 시간과 장소가 정해져 있지만 인터넷...
-
경제 기타
체육시간의 모순…변화가 필요한 때
우리나라 고등학교의 체육시간은 대부분 '체육시간'으로서의 특성이 없다. 체육시간이면 모든 학생들이 운동장으로 뛰어나가고,끝나면 교실로 돌아와 다음 수업을 준비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런 식의 체육시간은 오직 '체육'의 형식적인 면만 충족시킬 뿐이다. 교사들은 기본적인 체조만 실행한 뒤 '자유시간'을 표방하고,그 뒤로는 학생들이 무엇을 하든 자유다. 학생들은 흩어져 마음이 맞는 친구들끼리 놀거나,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도 상당수다....
-
학습 길잡이 기타
2009학년도 서강대 모의논술 문제
기계도 인간이 될 수 있다? 다음 네 제시문을 읽고 [문제1]과 [문제2]에 대해 논술하라. 가 여기에서 나는,만약에 원숭이 또는 이성이 없는 다른 동물의 모양과 기관을 가진 기계가 있다면,이 기계가 동물이 아니라고 말할 방법이 없다는 것을 보이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우리의 몸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가능한 한 우리의 행동을 모방하는 기계가 있다면,이런 기계는 인간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는 두 가지 확실한 방법이 있다. 첫째,기계는 ...
-
학습 길잡이 기타
2009학년도 서강대 모의논술 해제
제시문의 허점 공격보단 창의적 사고에 의한 비판을 하라 논리적 연관성을 찾으라는 말을 보고서는 의아해 할지도 모르겠다. 비교하는 것도,비판하는 것도 아니고 연관성을 찾으라니 이게 무슨 소린가 하고 말이다. 하지만 연관성이란 그저 제시문 간의 관계를 밝히라는 말일 뿐이다. 여기서 '관계'란 기껏해야 공통,대조,인과,원리와 사례,전제와 현상 이상 나올 가능성이 매우 적다. 결국 '제시문을 비교하시오'란 말과 다를 바가 없는 문제가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