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역사는 이야기다”…설화는 사실이 아니어도 가치가 있다
역사 연구의 중요 도구…역사적 사실도 있어 반면 성덕대왕 신종인 '에밀레종 설화'의 경우 당시 왕실의 권력투쟁을 이야기에 반영한 대표적 상징적 설화로 해석되고 있다. 종(鐘)을 만드는 데 실패를 거듭한 장인이 살아있는 어린아이를 용광로에 넣음으로써 마침내 완성시켰다는 이 종은 종이 울릴 때마다 '에밀레'라는 소리를 내기 때문에 에밀레종으로 불리게 됐다. 현대의 역사학자들은 무열왕계를 멸하고 한반도를 통일한 신라 문무왕이 이제는 무치가 아니...
-
커버스토리
서동과 선화공주의 러브스토리는 꾸며낸 이야기?
미륵사 석탑서 발견된 사리봉안기엔 '무왕의 부인은 다른 사람' 백제의 제30대 임금 무왕(武王 · 재위 600~641년)이 왕위에 오르기 전인 젊은 시절, 신라 제26대 진평왕의 셋째딸 선화(善花)공주가 예쁘다는 소문을 듣고 사모하던 끝에 경주에 가서 퍼뜨렸다는 것이 '서동요(薯童謠)'다. '서동'은 무왕의 어릴 때 이름으로,홀어머니를 모시고 마(薯)를 캐다 팔아 생계를 꾸렸다 해서 사람들이 이렇게 불렀다고 《삼국유사》'무왕 조(條)'는 전...
-
경제 기타
경제 어려운데 나만 살고 보자?…세계 무역 보호장벽 높아진다
美·유럽, 中과 덤핑 시비…자동차·철강 등 수입 규제 압박 세계 무역시장이 연초부터 팽팽한 긴장감에 휩싸여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경기 침체가 본격화하면서 여러 나라들이 앞다투어 자국 산업 보호책을 내놓고 있는 것이다. 서로 국익을 뺏기지 않겠다는 자국 우선주의가 결과적으로 국제 무역 질서를 파괴하는 상황에 이르지 않을지 불안과 우려를 높여놓고 있는 것이다. 경제가 나빠진 원인을 나라마다 서로 다른 나라 탓으로 돌리다 보면 결국 ...
-
경제 기타
머니마켓펀드(MMF)에 왜 돈이 몰리지?
경기 나빠 투자처 잃은 돈 유입…올들어 100조원 넘어 글로벌 경기침체로 시중자금의 단기부동화가 심화되면서 대표적인 단기투자상품인 머니마켓펀드(MMF)로 돈이 몰리고 있다. 자금의 단기부동화(短期浮動化)란 돈이 기업설비투자와 같이 생산적인 곳에 장기로 투자되지 못하고, 짧은 기간의 수익을 좇아 이리저리 움직인다는 의미다. 경기가 나빠지니까 은행에 맡긴 돈이 기업으로 흘러가 생산활동에 쓰이는 정상적인 흐름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다. 대신 하...
-
과학 기타
입는 컴퓨터… 차는 휴대폰… 접는 전자종이…“꿈이야? 생시야?”
차세대 신소재 '그래핀' 상용화 기술 국내서 개발 "투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꿈이 실현됐다." 국내 기술진에 의해 차세대 신소재인 '그래핀'의 상용화 기술이 개발됐다는 발표가 나오자 세계 과학계와 전자업계가 떠들썩하다. 그래핀이 도대체 어떤 물질이길래 이같이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는 것일까? 이는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을 원하는 크기대로 만들어낼 수 있게 되면 입는 컴퓨터, 팔찌 휴대폰, 접는 전자종이 등 영화 속에서만 볼...
-
경제 기타
부부 강간죄 인정해도 부작용 없을까요?
찬 “부인의 성적 자기결정권은 인격권 보호위해 마땅” 반 “동거의무에 어긋나고 이혼·재산분할 등에도 악용” 부산지법이 흉기로 위협해 부인을 성폭행한 40대에 대해 처음으로 강간죄를 인정하면서 '부부 강간죄'를 둘러싼 논란이 뜨겁다. 부부 강간을 인정해야 한다는 쪽에서는 "'법이 가정으로 들어갈 수 없다'는 전통적 관념은 시대에 뒤진 낡은 개념이며 부인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보호하기 위해 인정하는 게 당연하다"고 강조한다. 한마디로 부인 성...
-
앙코르와트와 킬링필드… 캄보디아엔 영광과 비극 '두얼굴'이 있었다
1월 12~16일 생글교사 캄보디아 연수…현지서 논술교육 세미나도 생글 선생님들은 또 '생글생글을 활용한 논술 교육'을 주제로 늦은 밤까지 세미나를 갖기도 했다. 생글 선생님들은 씨엠립에서는 교육환경이 가장 좋다는 덥마까라 공립 고등학교와 푸옥농업고등학교,한글학교 등을 방문해 그들의 교육시설을 견학하고 교육제도 등에 대한 설명도 들었다. 도서관이라고 해봤자 먼지가 가득 쌓인 낡은 몇 권의 책들이 있을 뿐인 학교들이었지만 반짝이는 까만 눈동...
-
캄보디아 연수를 다녀와서…
감동과 슬픔의 '앙코르 문명'…역사는 인간에게 겸손을 말한다 1970년대에 일어난 크메르 내전의 상흔(傷痕)은 우리들의 가슴을 또 한번 찡하게 했다. 죄 없이 이데올로기의 희생양이 된 200만명의 목숨들,죽지 않으려고 별의별 짓을 다했을 초라한 인간의 자존심 등을 생각할 때 이 나라 사람들이 더욱 측은해진다. 50여년 전 우리들이 겪었던 일들의 기억을 되살려 주는 캄보디아이기에 우린 결코 이 나라 사람들에게 교만할 수 없다. 불과 40여...